유통
김병주 MBK 회장 “홈플러스 회생, ‘인가 전 M&A’가 최선”
- 13일 국회 정무위 일부 의원 비공개 면담

19일 정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 1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일부 의원과 비공개 면담을 하고 홈플러스에 관한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이날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5000억원을 전량 무상 소각해 회사의 M&A를 최대한 돕겠지만, 1조원 이상의 사재를 출연하는 방안은 수용할 수 없다고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홈플러스의 새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회사를 청산하지 않고 채권자와 협의해 자체 회생 절차를 밟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사도 밝혔다.
정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홈플러스의 회생 성공을 위해 3000억원의 재무적 부담을 지고 있다는 사실도 설명했다. 김 회장이 1000억원 규모의 사재를 출연하고 MBK파트너스가 2000억원 규모의 대출 연대 보증을 서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다만 MBK는 20일 입장자료를 통해 김 회장이 국회에서 면담한 것은 맞지만, 미팅의 주된 내용은 홈플러스 회생을 위한 향후 방안 설명과 협조 요청이었다고 강조했다.
MBK 관계자는 “김 회장은 홈플러스 회생을 위해서는 삼일회계법인의 조사보고서의 권고대로 인가 전 M&A가 최선의 방법이며, 인가 전 M&A가 수월하게 진행되록 기존 주주인 MBK는 2조5000억원의 보통주 투자금을 무상소각할 것이라고 했다”라고 전했다.
그는 “홈플러스를 위해 이미 김 회장 개인은 1000억원 이상, MBK는 1500억원 등 약 3000억원의 재무적 부담을 지는 상황이라는 점을 전달했다”며 “인가 전 M&A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MBK는 “미팅에서 홈플러스 회생을 위해 1조원의 사재를 출연할지에 관한 문의나 요구는 없었다”면서 “김 회장이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채무가 2조9000억원에 달하고, 만성적 경영난에 채권 피해자 배상 부담과 퇴직연금 미납 등 악재까지 겹친 상태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가 이런 부실을 해소하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투자까지 하려면 약 1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계와 노동계에서는 MBK와 김 회장이 홈플러스 경영 실패의 책임을 지고 1조원대 자금을 홈플러스에 투자하라는 요구가 잇따랐다.
MBK에 따르면 김 회장은 앞서 소상공인 거래처에 대한 채무 변제를 돕고자 사재 400억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했고, 회사를 위해 600억원의 대출 지급 보증을 섰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원빈♥이나영, 10년 만 투샷 포착…의외 인물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원빈♥이나영, 10년 만 투샷 포착…의외 인물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산업·통상장관 美 남아 돌파구 모색…백악관 “생산적 협상”(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슈퍼달러에 웃었던 국민연금, 올해 환율 효과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삼천당 상한가 만든 비만치료제 BE Study...전문가들은 ‘반신반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