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오픈AI, 구글 클라우드 도입…MS 독점 깨고 다각화 행보
- 챗GPT·API, 구글·MS·오라클·코어위브 클라우드 병행 사용

오픈AI는 구글을 신규 공급업체로 추가하며, 챗GPT와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포함해 마이크로소프트(MS), 코어위브, 오라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MS는 오픈AI의 최대 협력사이며, 오라클은 지난해 MS 및 오픈AI와 협력을 발표하고 오픈AI에 더 많은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기 위해 MS 클라우드인 애저 AI 플랫폼을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로 확장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지난 3월 오픈AI는 코어위브와 약 120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을 체결하며 클라우드 용량을 확보했다.
오픈AI가 사용할 구글 인프라 운영 지역은 미국을 비롯해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등이다.
이번 결정은 오픈AI가 기존 MS 클라우드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구조에서 벗어나 수요 증가에 따른 컴퓨팅 파워 확보를 위한 전략적 조치로 풀이된다.
오픈AI와 MS는 그동안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에는 양사 모두 개발자용 AI 툴을 판매하고 기업 대상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상호 경쟁 구도로 가고 있다.
오픈AI와 MS는 올해 1월 오픈AI가 추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 MS에 우선 협상권이 있지만, 독점 공급은 포기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오픈AI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지난 4월 컴퓨팅 용량 부족 문제를 호소하며 "그래픽처리장치(GPU) 용량 10만 개 단위로 지금 당장 제공 가능한 사람 있으면 연락 바란다"라는 글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특히, 오픈AI의 구글 클라우드 사용은 구글의 경우 오픈AI의 최대 경쟁사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오픈AI는 2022년 11월 챗GPT를 출시하며 당시 AI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구글을 제치는가 하면 잇따라 AI 모델을 출시하며 구글과 경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챗GPT 검색 엔진을 출시하며, 전 세계 90%의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 아성에 도전하고 있고, 최근에는 구글 크롬과 같은 웹브라우저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구글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독방 인권침해…에어컨 놔달라" 인권위에 진정 '우르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소시 태연 아냐' 김태연 측 "강한 유감"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제헌절 휴일 지정되나…李대통령 검토 지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실체는 그게 아닌데"…모회사 뒷배 반영, 투자판단 흐린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글 픽’ 멧세라, 디앤디파마텍 통해 경구용 비만약 강자로 도약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