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기술 유출' 8건 중 5건 중국행…"수익 65억원 환수"
- 반도체 3건·기계 2건 등…경찰 "집중 단속할 것"

23일 경찰청 국사수사본부가 집계한 올해 6월 기준 해외 기술유출 현황을 보면 국가별로 중국이 5건(62.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인도네시아·베트남이 각각 1건으로 집계됐다.
기술 유형별로는 반도체가 3건, 기계 2건이었고, 디스플레이·전기전자·기타 등이 각각 1건씩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자동차 등 국내 주력산업과 관련해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아 해외로 유출되면 국가 안보와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국가핵심기술 유출도 1건 있었다.
경찰은 7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100일간 국가핵심기술 등 중요기술의 해외 유출 및 알선 등 행위를 집중 단속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개정된 산업기술보호법이 전날부터 시행되며 해외 기술유출 범죄 구성요건이 완화되고, 기술 침해행위에 소개·알선·유인 행위가 추가되는 등 처벌 대상이 확대되는 데 맞춰 집중단속을 전개하겠다는 방침으로 보인다.
아울러 단속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관계기관과 협력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범죄수익은 전액 환수할 예정이다.
지난해 경찰은 해외 기술유출 사건 27건을 송치해 범죄수익 65억원을 환수했다.
이중 중국으로 유출된 건수는 20건으로 약 75%를 차지했는데, 중국을 향한 유출은 올해도 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새 정부의 경제·산업 대도약이라는 정책 목표를 뒷받침하겠다"며 "기술유출로 어떠한 경제적 이익도 얻을 수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김상환 헌재소장 등 4명 임명 재가(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빽가 신곡, KBS서 부적격 판정…"'이것' 때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김상환 헌재소장 등 4명 임명 재가(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김창수 F&F 회장, 테일러메이드 이해상충 논란…센트로이드, 소송 검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이프릴바이오, 하반기 SAFA 경쟁력 검증…추가 기술수출 이어지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