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현대차·GM, 글로벌 전략차 공동개발…첫 5종 로드맵 공개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모두 탑재할 수 있는 중남미 시장용 중형 픽업, 소형 픽업, 소형 승용, 소형 SUV 등 4개 차종과 ▲북미 시장을 겨냥한 전기 상용 밴을 포함한 총 5종의 신차를 공동 개발한다.
향후 이들 차량의 양산이 본격화되면 연간 80만 대 이상의 생산 및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양측은 기대하고 있다.
개발 주도권은 차량 유형에 따라 분담된다. GM은 중형 트럭 플랫폼을, 현대차는 소형 차종과 전기 상용 밴의 플랫폼 개발을 각각 맡는다. 양사는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하되, 각 브랜드 고유의 디자인과 실내외 구성으로 차별화를 꾀할 예정이다.
현재 양사는 2028년 출시를 목표로 중남미 전략 차종의 디자인 및 설계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이르면 2028년부터 전기 상용 밴의 현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호세 무뇨스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GM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세그먼트 영역과 시장에서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더 나은 가치와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북미 및 남미 시장에서의 양사 간 협력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원하는 아름다운 디자인, 고품질, 안전 지향의 차량과 만족할 만한 기술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판 아민 GM 글로벌 구매·공급망 부문 수석 부사장은 “오늘 발표된 차량들은 중남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그먼트와 북미 시장의 상용차 부문을 타겟으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GM과 현대차는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보다 빠르고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에 공동 개발하는 첫 번째 차량들은 양사가 보유한 상호 보완적 강점과 스케일의 시너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양사는 향후 북미 및 남미 지역에서 소재, 운송, 물류 분야 공동 소싱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원자재, 부품, 복합 시스템 전반에 걸친 협력 확대도 검토 중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제조를 위한 협력 일환으로, 탄소 저감형 강판 등 친환경 소재 활용 분야에서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은 지난해 9월 체결한 양사의 업무협약(MOU)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배터리 전기차, 수소 연료전지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 기술 영역으로까지 협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정부·전공의 복귀안 일부 합의…전문의 시험 논의 미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단독] 김병만, 9월 결혼…'하객 고려' 서울서 혼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반도체 100% 관세는 사실상 中겨냥”…한국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애경산업 이달 본입찰…‘큰손’ 태광산업에 쏠리는 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대규모 기술수출에도 주가 원점 바이오벤처들…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