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파월 '금리 인하' 가능성 발언에...뉴욕 증시 '껑충'
- 3대 지수 큰 폭 상승 마감
파월 "통화정책 조정 가능성 있다"

22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6.24포인트(1.89%) 오른 45,631.7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96.74포인트(1.52%) 오른 6,466.9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396.22포인트(1.88%) 오른 21,496.54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는 지난해 12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S&P500 지수는 6거래일 만에 반등해 지난 14일 기록한 사상 최고치(6,468.54)에 근접했다.
다우와 나스닥 지수는 오전 장중 2% 넘게 올랐다가 오후 들어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한 것이다.
파월 의장은 이날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노동시장 하방 위험을 강조하며 정책 조정 가능성을 열었다. 그는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며 "다만 정책이 여전히 제약적인 영역에 있는 만큼 기본 전망과 리스크 균형의 변화가 통화정책 조정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종합적으로 볼 때, 노동시장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노동 공급과 수요 모두가 크게 둔화한 특이한 형태의 균형"이라며 "이러한 특이한 상황은 고용 하방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리스크가 현실화하면, 급격한 해고와 실업률 상승으로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은 파월 의장의 이런 발언을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해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9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확률을 약 83%로 반영했다. 전날의 75%에서 상승한 수치다.
뉴욕타임스(NYT)는 "금리 인하를 재개한다는 가장 강력한 신호"라며 "명시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았으나, 경제 악화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이 분명히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대형 기술주 주가가 크게 올랐다. 시가총액 1위인 엔비디아는 1.72%, 구글 알파벳은 3.04%, 아마존은 3.10% 각각 올랐다. 메타는 2.12%, 애플은 1.27% 각각 상승했다. 테슬라는 6.22% 급등했고, 인공지능(AI) 주도주 팔란티어도 1.64% 올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생때같은 아들, 살려내"…열차 사고로 떠난 30세 신입, 눈물로 배웅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린·이수, 11년 만에 이혼…"절차 마무리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너도 나도 ‘사실무근’…살 사람 없는 홈플러스 매각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세금 0원에 150억 환차익 ‘잭팟’…유럽 빌딩 투자했더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압타바이오, 급성신손상 예방약 내년 기술이전 자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