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결혼 안 해도 출산" 인식 확산…혼외 출생 사상 최대
- 통계청 "출산 문화 변화 뚜렷"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300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보다 8300명(3.6%) 늘어난 것이다. 출생아 수 증가는 2015년 이후 9년 만이다. 지난해 첫째아는 7800명(5.6%), 둘째아는 1500명(2.0%) 각각 증가했고, 셋째아 이상은 1000명(-5.8%) 감소했다. 첫째아 비중은 61.3%, 둘째아 비중은 31.8%, 셋째아 이상 비중은 6.8%였다.
출생아 중 혼외자 비율은 2020년 이후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며 지난해 처음으로 5%를 넘어섰다. 실제 혼외 출생아는 1만3800명으로, 전체 출생아의 5.8%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혼인 외 출생아 비중은 2014년~2017년까지 1.9%~2.0%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년(2.2%)부터 늘어 2022년 3.9%, 2023년 4.7% 등으로 최근 3년 새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는 '결혼을 해야 아이를 낳는다'는 인식이 변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박현정 인구동향과장은 "'결혼해야 아이를 낳는다'는 인식이 변화한 영향이 크다"며 "관련 조사에서 '결혼하지 않아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질문 항목에 긍정적으로 답변하는 비율이 2008년 21.5%에서 2024년 37.2%로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한편,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7세로 전년보다 0.1세 높아졌다. 출생아 부(父)의 평균 연령은 36.1세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30대 후반이 37.5%로 가장 많고, 30대 초반(35.9%), 40대 초반(14.7%), 20대 후반(7.1%), 40대 후반(3.0%) 등 순이었다. 20대 초반(0.7%)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비중을 기록했고, 50세 이상(1.0%)은 역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Syntekabio Expands Global Contracts, Boosts Growth with Next-Gen AI Platforms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다혜, 과감한 모노키니로 '해변 여신' 등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덩치 확 키운 HD현대重…방산 매출 10조 키운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교직원공제회, 뉴욕사무소 파견 인원 선발…관건은 '교육부 승인'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셀비온, 국내 첫 방사선치료제 상용화...‘코아스템켐온·유한양행처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