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IFM인베 “인프라 투자 성장 가속화…향후 5년간 20% 성장 기대”
- "높은 수요 대비 부족한 공급은 문제"

또한 투자자들이 지정학적 위험과 거시경제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사모 시장에 주목하면서 인프라에 투자하는 투자자 비율이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49%에서 60%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IFM인베스터스는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프라이빗 마켓 700’ 설문을 11일 발표했다. IFM인베스터스는 호주 17개 퇴직연금 기금이 공동 설립한 세계 4위 인프라 운용사다. 연 1회 발간되는 ‘프라이빗 마켓 700’ 설문은 전 세계 700명이 넘는 시니어급 투자 전문가의 응답을 토대로 최신 사모 시장 투자 동향을 파악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익률과 리스크 관리가 인프라 투자와 전체 사모 시장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절반에 가까운(47%) 투자자가 사모 시장 투자의 주요 이유로 다각화, 인플레이션 헤지, 회복 탄력성을 꼽았다.
투자자들은 지난 12~18개월간 인프라 지분·대출 투자 수익률이 기대치를 충족하거나 초과하면서 포트폴리오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고 답했다.
인프라 지분 투자에서는 절반 이상(57%)이, 인프라 대출 투자에서는 49%가 수익률이 기대치보다 높았다고 답했다. 인프라 지분 투자의 기대 수익률은 현재 13.4%로, 2024년 대비 200bp 상승했다. 사모주식(13.65%)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인프라 대출의 기대 수익률은 9.6%로, 2024년 대비 170bp 상승했다.
인프라 투자에 대한 주요 장벽으로는 자산 배분 제약과 거래 공급 부족이 꼽혔다. 또한 응답자의 60%는 높아진 위험 조정 수익률을 기반으로 민간 자본이 인프라로 더 많이 유입될 것이라 답했다.
루바 니쿨리나 IFM인베스터스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주식과 유사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낮은 변동성을 보이는 인프라 자산은 불확실성의 시기에도 제역할을 한다”고 짚었다.
이어 “에너지, 교통, 디지털 연결성을 비롯해 필수적인 수요를 충족하는 인프라 자산은 지분·대출 투자 모두 기대 수익률이 크게 상승했으며 향후 더 많은 알파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역별로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인프라 지분·대출 투자 비중이 56%로 가장 높았다. 향후 3~5년간 6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인프라 지분 투자 중 가장 강력한 기회를 제공하는 상위 3개 분야는 병원·학교·경기장·정부 건물·사회주택·저소득 주택 등 사회 인프라(55%), 디지털·인공지능·통신(47%), 환경(47%) 순이었다.
인프라 대출 투자에서 가장 강력한 기회를 제공하는 상위 3개 분야는 디지털·AI·통신(45%), 사회 인프라(45%), 교통(43%)이 꼽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현대바이오, 뎅기열 신약 베트남 북·남부 국립병원서 제형변경 동시 승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韓 야구 명예의 전당 16일 착공식, 개장은 언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주주 10억 고집 안해"…李 말 한마디에 또 천장 뚫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5조' 복정역 환승센터 개발, 토지계약 '아직'…연말까지 협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연내 빅딜 기대감’ 큐라클·지투지바이오 급등[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