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캄보디아 은행서 ‘뱅크런’...초국가적 범죄조직에 돈 못 맡겨

캄보디아의 주요 민영은행인 프린스은행에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했다.
모기업 프린스홀딩그룹이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지정된 직후 터진 일이다.
현지 금융시장 전반으로 불안이 번지며, 캄보디아 중앙은행과 당국이 긴급 대응에 나섰다.
17일(현지시간) 외신과 현지 금융 관계자들에 따르면 수도 프놈펜의 프린스은행 주요 지점에는 이른 아침부터 현금을 찾으려는 고객들이 몰리며 긴 줄이 형성됐다. 일부 점포에서는 현금 부족으로 출금이 지연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등 혼란이 빚어졌다.
이번 사태의 배경에는 지난 14일 미국과 영국 정부가 동시에 발표한 프린스그룹 제재 조치가 있다.
미 법무부는 그룹 회장 '천즈'를 투자사기, 강제노동,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하며 약 150억 달러(약 20조 5000억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 법무부 역사상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몰수 사례로 기록됐다.
미 재무부는 프린스그룹을 공식적으로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분류하고, 관련 개인 및 법인 146곳을 제재 목록에 추가했다. 영국 정부도 천즈 회장의 영국 내 자산을 동결하며 공조 제재에 나섰다.
프린스그룹은 그동안 부동산, 금융, 리조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하며 캄보디아 경제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았지만, 조사 결과 동남아 지역에 불법 온라인 사기 센터를 운영하고, 인신매매를 통해 감금된 사람들을 강제 노동에 동원한 사실이 드러났다.
‘경제권력’의 외피 뒤에 국제 범죄 네트워크가 자리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 여파는 고스란히 은행으로 향했다. 예금주들은 “범죄 조직과 연루된 금융기관에 돈을 맡길 수 없다”며 잇따라 인출에 나섰고, 일부 고객은 “계좌가 제재로 동결될 수 있다”는 소문에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지점을 찾아 나섰다.
프린스은행은 “미국 재무부의 제재 조치가 은행 운영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고객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불신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현재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긴급 유동성 지원과 예금 보호 대책을 포함한 비상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일 은행에 국한되지 않고 캄보디아 금융 시스템 전반의 신뢰 위기로 확산될 가능성을 경고한다.
특히 프린스그룹이 서울에도 사무소를 운영해 온 정황이 포착되면서, 국내에서도 관련성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캄보디아 구금’ 한국인 64명 송환…범죄 혐의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손연재, 벌써 둘째 계획?…"꼭 낳을 것"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캄보디아 구금’ 한국인 64명 송환…범죄 혐의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연금 고갈 우려'…전통자산 한계에 VC에 눈 돌리는 유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공식 의료 인정’ 로킷헬스케어 급등...외국인 투심 몰린 휴온스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