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투자비 1조원 넘어" K-바이오 대박…전 세계 자본 몰리는 이유는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회원사 33개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연구개발(R&D) 및 투자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임상연구 투자 규모는 전년 대비 18.8% 증가한 약 1조36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외 본사의 직접 투자를 제외한 한국 지사의 집행 금액이다.
최근 5년간 국내 R&D 투자는 연평균 14.8% 증가했다. 이 가운데 임상 단계에서 사용된 의약품 개발 관련 비용이 전체의 42.9%(약 4452억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업계는 글로벌 제약사의 R&D 확대가 단순한 자금 유입을 넘어, 임상연구의 질적 성장과 국내 의료기술의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항암제와 희귀질환 치료제 등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분야에 대한 연구가 빠르게 확대됐다. 최근 5년간 주요 임상 대비 항암제 연구는 연평균 5.7%, 희귀질환 치료제 연구는 10.1% 증가했다. 2024년 기준 항암제 임상연구는 974건(69.4%), 희귀질환 치료제 연구는 184건(13.1%)을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에서 수행된 전체 임상연구는 1691건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했으나, 최근 5년간 연평균 3.1% 증가세를 유지했다. 1~3상 임상시험 참여 환자는 2만2696명으로 10.3% 늘었고, 치료목적 승인으로 임상약을 투여받은 환자도 418명에 달했다. 3상 임상은 667건으로 전년보다 3.6%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R&D 활동 종사 인력은 2470명으로 전년 대비 7.4% 늘었으며, 전체 중 임상연구 인력이 52.6%를 차지했다. 글로벌 제약사의 투자가 국내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셈이다.
다만 글로벌 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한국의 임상연구 점유율은 2023년 4위에서 2024년 6위로 하락했고, 서울 역시 도시별 순위에서 중국 베이징에 1위를 내줬다.
헤럴드경제 보도에 따르면 업계는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신기술이 적용된 항암제 등 중증질환 임상은 까다로운 승인 절차와 안전성 기준으로 인해 참여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고, 승인까지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또한 팬데믹 이후 글로벌 제약업계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은 분산형 임상연구(DCT)에 대한 제도화도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격 모니터링과 전자동의(e-Consent) 등 디지털 기반 연구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KRPIA는 “글로벌 제약사의 투자 확대와 공동연구 활성화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라며 “한국의 연구 인프라와 인재 역량을 바탕으로 혁신 치료제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임상·R&D 허브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제넥신 “추가 자금 필요하면 부동산 매각부터 추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보플2’ 최립우, 12월 첫 솔로곡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성, 엔비디아에 HBM4 공급…업계 최대 'AI 팩토리' 구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성장 한계 드러난 여행 플랫폼…밸류 조정에 회수 대신 ‘버티기’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 파트너사 LG화학 업고 안정적 현금창출원 확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