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챗GPT에 뺏긴 밥그릇' 인력 45% 해고…약 1500억원 아낀다?
 
2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래라에 본사를 둔 체그는 전체 인력의 약 45%에 해당하는 388명을 정리해고한다고 27일 발표했다. 구조조정 배경에 대해서는 “생성형 AI와 검색 패턴 변화로 인해 체그의 방문자 수와 매출이 크게 줄었다”는 설명을 내놨다.
실제로 최근 학생들이 과제 수행 시 체그 대신 챗GPT 같은 AI 서비스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체그의 이용률이 급감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구조조정을 통해 체그는 내년 약 1억~1억1000만 달러(한화 1430억~1580억원)의 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퇴직금 등으로 약 1500만~1900만 달러(한화 210억~270억원)의 비용이 발생할 예정이다.
체그는 다음달 10일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계획이다.
경영진 교체도 단행됐다. 댄 로젠스웨이그 이사회 의장이 최고경영자(CEO)로 복귀하고, 지난해 CEO로 임명됐던 네이선 슐츠는 자리에서 물러나 로젠스웨이그와 이사회 고문 역할을 역임한다.
체그는 최근 매각이나 비상장 전환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했지만, 독립 상장사로 남기로 했다.
앞으로는 운영 효율화를 통해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약 400억 달러(한화 57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직업 교육 시장’에 집중할 계획이다. 기존의 학생 대상 학습 서비스 대신, 기업을 상대로 어학·직무 적응·AI 기술 교육 등을 제공하는 B2B 직업 교육 기업으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체그는 이 새로운 부문에서 올해 약 7000만 달러(한화 1003억원) 매출을 예상하며, 내년에는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앞서 지난 28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도 조직 슬림화를 위해 직원 1만4천명을 감원한다고 밝힌 바 있었다.
아마존 베스 인력 경험 및 기술 담당 수석부사장은 "이 세대의 AI는 인터넷 혁명 이후 우리가 보게 된 가장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AI는 (기존 시장은 물론 새로운 시장 모두에서) 기업들이 그 어느 때보다 더 빠르게 혁신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제넥신 “추가 자금 필요하면 부동산 매각부터 추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보플2’ 최립우, 12월 첫 솔로곡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성, 엔비디아에 HBM4 공급…업계 최대 'AI 팩토리' 구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성장 한계 드러난 여행 플랫폼…밸류 조정에 회수 대신 ‘버티기’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 파트너사 LG화학 업고 안정적 현금창출원 확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