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터리로 흔들린 테슬라, FSD로 韓 시장 승부수 [테슬라 자율주행 오나]①
- 배터리 오류에 발목 잡힌 브랜드 신뢰
완전자율주행 도입으로 반등 시도
테슬라코리아는 최근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에 짧은 게시물을 올려 FSD 출시를 예고했다. 게시물에 포함된 영상에서는 서울 시내 도로에서 테슬라 차량이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로 변경, 교차로 통과, 주차까지 수행하는 모습이 담겼다. 기존에 국내 판매 모델에서 FSD 옵션을 표시만 해왔던 것과 달리, 이번 공개는 공식 채널에서 ‘한국 출시’를 명시했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의미 있는 신호로 평가한다.
흔들리는 1위 전기차
국내 전기차 판매 1위 테슬라의 최근 상황은 녹록지 않다. 국내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오류, 이른바 ‘BMS a079 코드’ 논란이 연이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BMS는 전기차 배터리의 ▲충·방전 ▲온도 ▲셀 간 전압 밸런스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핵심 장치로, 오류가 발생하면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충전 용량을 제한하는 ‘보호 모드’가 작동한다.
국내 테슬라 차주들이 공유한 사례를 보면, 경고가 표시된 일부 차량은 완충 상태임에도 실제 주행 가능 거리가 평소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물리적 고장이 아닐 수 있지만, BMS가 위험 상태로 판단해 배터리 사용 범위를 강제로 축소한 결과다.
더불어민주당 박상혁·박용갑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테슬라코리아가 2017년부터 올해 9월까지 판매한 13만4429대 차량 가운데 BMS 오류가 한 차례 이상 발생한 차량은 4350대로 전체의 3.2%에 달했다. 특히 모델S와 모델X의 경우 오류 발생 비율이 17%를 넘어섰다. 일부 차량에서 충전 용량이 절반 수준으로 제한된 사례가 알려지면서 소비자 불만과 논란은 빠르게 확산됐다.
실제로 최근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도 영향이 나타났다. 전기차 거래 플랫폼 케이카(K Car)의 분석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3의 7월 평균 매매가는 3847만원에서 9월 3729만원으로 하락했다. 모델 Y 가격 역시 7월 4918만원에서 9월 4789만원으로 떨어졌다. 전기차 특성상 배터리 상태가 잔존가치를 좌우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간의 가격 하락 폭 자체는 크지 않더라도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된다.
신규 등록대수에서도 감소세가 뚜렷하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10월 테슬라 신규 등록대수는 4350대로 전월 대비 52% 급감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단순 월별 수요 변동이 아닌, 소비자 신뢰 하락이 수치로 확인된 사례로 해석하고 있다.
FSD, 반전의 카드 될까
이런 상황에서 테슬라가 내놓은 전략적 대응은 FSD 감독형이다. FSD 감독형은 운전자가 개입을 전제로 차량이 대부분의 주행을 수행하는 ‘감독형 자율주행’ 기능으로,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기준 레벨2~2+에 해당한다.
테슬라가 제공하는 FSD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핵심 기준은 ‘운전자의 개입 여부’다. 먼저 감독형(FSD Supervised)은 시스템이 가감속, 조향, 차선 변경 등 대부분의 주행 기능을 수행하지만 운전자는 여전히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 시스템 오류나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시 운전대를 잡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법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여전히 운전 책임은 사람에게 남아 있다.
반면 비감독형은 운전자의 개입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차량 스스로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경로를 계획하며 위험 요소를 판단해 주행을 이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운전자가 영화를 보거나 휴식을 취해도 무방하다. 즉 운전 행위의 주체가 사람에서 차량으로 완전히 넘어가는 수준인 셈이다.
테슬라코리아가 이번에 공식적으로 FSD 감독형 한국 출시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단순 마케팅 문구가 아닌, 실제 기능 도입을 전제로 한 메시지가 공개됐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분위기 전환을 노린 포석’으로 평가한다.
글로벌 기준으로 FSD 감독형은 아직 모든 지역에서 제공되는 기술이 아니다. 테슬라는 미국, 캐나다, 중국 등 자율주행 인프라와 규제가 비교적 정비된 시장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멕시코, 호주, 뉴질랜드로 공급 지역을 확장했다. 한국이 ‘다음 순번’으로 언급된 배경에도 이러한 지역 확장 전략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 조사 기관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올해 운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 자율주행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3.6%가 자율주행차 도입을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답했으며, 향후 자율주행차 구매 의향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도 40.6%에 달했다. 이러한 수치는 한국 시장이 자율주행차 수용에 있어 글로벌 상위권임을 보여준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소비자 기술 수용 속도 측면에서 글로벌 상위권 시장”이라며 “한국에서 FSD가 정식 적용될 경우, 테슬라가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잃었던 점유율 일부를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글로벌 최초 시총 1조달러 돌파 앞둔 제약사는?[제약·바이오 해외토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자진하차 아니었다”…이이경 ‘놀뭐’ 저격 파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뉴욕증시 반등 출발…연준 2인자 “12월 인하 여지”에 안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GS건설, 유동성 개선됐는데 '적정 이상' 차입금은 부담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죽는 줄 알았던 큐렉소…매출 지도 뒤집고 역전 드라마에 복수까지 '성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