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국회 문턱 넘은 ‘부동산 3법’ - 크리스마스 선물 받은 재건축 시장 ‘방긋’
- 국회 문턱 넘은 ‘부동산 3법’ - 크리스마스 선물 받은 재건축 시장 ‘방긋’

오랜 기간 국회에서 표류했던 이들 법안은 시장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분양가 상한제는 2009년 관련 개정안 발의후 6년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게 된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도 2년 만이다. 서울 장지동 위례박사공인 김찬경 사장은 “바꾸겠다고 발표한 법이 몇 년씩 미뤄지면서 결과를 기다리는 관망수요가 늘어나며 시장이 경직되고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이 쌓여 다른 정책 효과도 떨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시장이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3법이 모두 시행되면 사업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여야는 올해 말까지였던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유예 기간을 2017년으로 3년 연장한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가 적용되면 재건축으로 얻는 수익을 내놔야 하기 때문에 사업성이 떨 어진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는 낡은 아파트를 재건축한 후 조합원 1인당 평균 3000만원 이상의 이익이 발생하면 이익의 일부를 국가에 돌려 주는 제도다. 이번에 유예 기간이 연장되지 않았다면 올해 관리처분인가를 받지 못한 재건축 아파트는 2015부터 이익을 토해내야 한다. 결국 재건축을 추진하는 단지가 줄어들어 재건축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 KB국민은행 임채우 부동산전문위원은 “공사비(추가부담금)을 내며 재건축을 하는 이유는 새 아파트로 탈바꿈 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기 때문인데 재건축으로 인한 수익을 토해낸다면 사실상 재건축의 매력이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조합원이 분양 받을 수 있는 주택 수가 현재 1가구에서 3가구로 늘어나는 것도 호재다. 현재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선 재건축 조합원이 주택을 여러 가구 보유하고 있어도 한 가구만 분양받을 수 있고 나머지는 현금 정산해야 한다. 유엔알컨설팅 박상언 대표는 “임대 등을 목적으로 여러 가구를 분양 받고 싶어도 제약이 있었지만 주택 수 제한이 풀리면 중소형 여러가구를 노린 투자 수요도 재건축 시장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오랜 낮잠에서 깨어났지만…

부동산 3법이 모두 시행되면 서울에서만 2만5000여 가구 재건축 단지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재건축 단지가 몰려 있는 강남권(강남?서초?송파구)을 중심으로 재건축 사업에 속도가 붙고 수익성이 좋아지면서 관심 갖는 투자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3단지 조합 관계자는 “결국 재건축은 집값 상승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어야 사업이 추진될 수 있다”며 “초과 이익 환수,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 등 걸림돌이 사라진 만큼 잡음이 줄고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시장에선 별다른 반응은 없다. 주택시장 비수기로 꼽히는 겨울인데다, 관련 개정안이 국회에서 오랫동안 표류한 탓에 당장 약발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9·1대책으로 시장이 들썩일 때 통과가 됐더라면 효과가 있었겠지만 시장 흐름을 바꾸기에는 늦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은 사실상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위례신도시, 서울 강남권 등 일부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분양가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최근 5~6년 간 분양시장이 착 가라앉은 탓에 지금도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를 비싸게 책정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분양대행사인 내외주건 정연식 전무는 “비싸면 팔리지 않기 때문에 건설 업체들이 알아서 가격을 내리고 있다”며 “올해 분양시장에서 인기를 끈 새 아파트도 대부분 주변 시세보다 가격이 싼 단지”라고 말했다. 한국주택협회 김동수 정책실장은 “저금리·저성장 시대에 접어들어 이전처럼 ‘묻지마 청약’이 활개를 친 상황이 아니라 분양가가 크게 오르기는 힘들 것”이라며 “아파트 품질이나 기술 개발에 탄력이 붙어 주택건설산업 발전에 긍정적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형 건설 업체 임원은 “구매력 있는 수요층의 주택 구입을 유도하고 그간 분양가로 빚어진 조합과 시공사(건설 업체) 간 재건축 분담금 분쟁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수혜지역은 서울 강남권에 국한될 수도
장기적으론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서울 도곡동 아크로공인 관계자는 “집값이 바로 반등하는 식의 반응은 없겠지만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를 덜고 새 아파트를 여러 가구 분양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 거래가 활발해지고 주택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박원갑 전문위원은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에 따른 일반분양가 상승 등 전체적으로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강남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다시 가라앉고 있는 분위기 반등의 기회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훈 KIC CIO 내달 임기 끝인데…연임 가능성 '모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일간스포츠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 룰 포함' 상법 개정안, 법사위서 여야 합의처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