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한 해외 부동산 투자] 국내 부동산·금융시장 쪼그라들자 해외로…
[급증한 해외 부동산 투자] 국내 부동산·금융시장 쪼그라들자 해외로…

송금건수는 베트남, 송금액은 미국이 1위

최근에는 톱스타의 잇따른 해외 부동산 직접투자가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김태희-비 부부는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인근 도시의 주택을 구입한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됐고, 올해 초에는 이병헌-이민정 부부가 LA에 주택을 매입했다.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도 활발하다.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는 나오는 족족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대신자산운용이 일본 도쿄에 있는 오피스 빌딩에 투자하는 공모펀드(대신재팬하임부동산투자신탁제3호)는 800억원어치가 조기 ‘완판’ 됐다. 앞서 나온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한국투자밀라노 부동산펀드1호’, 현대자산운용의 ‘현대유퍼스트부동산25호’, 대신자산운용의 ‘대신재팬하임부동산3호’ 등도 완판 행진을 보였다. 밀라노부동산펀드1호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는 사무용 빌딩에 투자하는 공모펀드인데, 출시 사흘 만에 모집금액 546억원을 모두 채웠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과거엔 해외 부동산 펀드 대부분이 사모펀드(자산가 소수만 투자할 수 있는 펀드)였지만 최근 공모펀드가 늘면서 일반 투자자가 몰리고 있다”며 “증권시장에 비해 안정적인 데다 수익성도 좋은 편”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해외 부동산시장이 투자자의 관심을 끄는 건 국내에 마땅한 투자처가 없기 때문이다.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 유동자금은 최근 급속히 늘어 1000조원이 넘는다. 한국은행·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6개월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시중의 단기 부동자금은 4월 말 기준 1129조7242억원으로 1년 전보다 28조원가량 증가했다. 부동자금의 증가는 주식시장 등 투자처를 찾지 못해 쌓여 있는 뭉칫돈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국내 부동산시장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책으로 위축되고 있다. 특히 대출 규제뿐만 아니라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인상으로 투자 매력이 뚝 떨어졌다.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투자 자문센터장은 “과거에는 부동산시장이 위축되면 자산가들이 저가 매수에 나서는 경향을 보였지만 최근에는 보유세 인상으로 이 마저도 매력도 사라졌다”며 “그러다보니 자산가를 중심으로 해외 부동산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환경이나 자녀 교육 문제 등으로 이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이주자(대한민국 국적자 중 해외 이주를 목적으로 외교부에 신고한 사람)는 6257명으로 2017년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해외부동산 투자가 당분간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기조가 이어지면서 국내 부동산시장이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는 데다 경제까지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해외 부동산 투자 환경도 좋아졌다. 정부는 4월 행정규칙 개정을 통해 부동산 계약금 송금 한도 규정을 없앴다. 해외 부동산은 2008년 금액에 관계없이 살 수 있게 됐지만, 계약금 20만 달러(약 2억3100만원) 한도 규정이 남아 있어 고가 부동산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유동 자금이 풍부한 데다 국내 부동산·금융시장에 대한 매력이 떨어지고 있어 당분가 해외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분위기에 휩쓸린 투자는 삼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직접투자든 간접투자든 해외 부동산은 현지 사정을 파악하기 어려운 데다 법적 다툼 등이 발생했을 때 즉각적인 대처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박 노리기보단 배당수익에 초점 둬야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