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맥짚기] 5G·치매치료 관련주에 관심 둘 만
[증시 맥짚기] 5G·치매치료 관련주에 관심 둘 만

시장에서는 대주주를 주식을 특별히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알고 있다. 최소 5%는 넘어야 대주주로 봐 줄 정도다. 소득세법은 대주주를 분류하는 기준이 또 다르다. 지분율 또는 보유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나누는데, 한 종목의 보유 액수가 15억원을 넘으면 대주주가 된다. 주식 매매 때 일반투자자는 거래세만 내면 되는 반면 대주주는 차익에 대해 최대 27.5%의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 그만큼 투자를 하기 힘들다는 의미가 된다. 주식을 보유한 입장에서 또 다른 지출을 해야 하기 때문인데 세금을 줄이려 하는 게 당연하다.
2년 가까운 주가 하락으로 투자 형태 보수화
이런 이유가 아니더라도 올해 중소형주는 성과가 좋지 않았다. 7월까지는 대형주와 비슷하게 움직였지만 8월이 되면서 서로 방향이 달라져 코스피가 1900에서 2150까지 오르는 동안 중소형주는 제지리걸음을 계속했다. 중소형주의 실적이 대형주보다 특히 나빠서가 아니다. 반도체를 제외한 다른 대형주와 마찬가지로 중소형주도 지난해에 비해 10% 정도 이익이 줄어드는 정도였는데 주가는 완전 딴판이었다. 중소형주가 대형주에 비해 힘을 쓰지 못한 건 외국인 매수가 대형주에 몰렸기 때문이다. 하반기에 외국인이 제일 많이 사들인 종목이 반도체다. 반도체 2개사의 순매수액이 시장 전체 순매수보다 많을 정도이므로 반도체를 뺀 다른 종목은 오히려 순매도를 한 게 된다.
2년 가까운 주가 하락으로 투자 형태가 현실적이 된 점도 중소형주에 불리했다. 중소형주는 실제 발생한 이익 이상으로 미래 성장성이 주가를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 앞으로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면 지금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주가가 견뎌낼 수 있다. 반면 대형주는 중소형주보다 현실적이다. 이미 성장 단계를 지나 이익이 갑자기 늘어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성장성의 힘이 가장 좋은 때는 대세 상승이 끝나고 하락 조정까지 마무리된 이후다. 대세 상승을 거치면서 수익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가 높아지는데, 이를 채워줄 수 있는 방법이 성장성 밖에 없어서다. 문제는 기대가 지속되는 기간인데 조정이 길면 길수록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약해진다. 이익이 줄어들고 영업 상황이 나빠져 미래를 생각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2018년 초에 코스피가 최고점을 기록했으니까 지금은 주가 하락이 시작되고 2년이 지났다. 성장에 대한 기대가 꺾일 만한 시간이 됐는데 투자 패턴이 보수화돼 중소형주보다 대형주의 힘이 강해졌다.
앞으로는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강해지는 역전현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11월 중순까지 이어진 주가 상승이 2150에서 마무리됐다. 지금은 미국 시장이 사상 최고치 거듭 경신하는 데도 우리 시장은 오히려 후퇴하고 있는 상태다. 시장이 넘기 어려운 벽에 부딪친 건데 박스권이 완성됐다고 봐야 한다. 앞으로 상단 2150, 하단 1900을 경계로 한 긴 횡보국면이 예상된다. 주가가 박스권 하단까지 내려가는 동안 그리고 하락이 멈추고 횡보하는 기간 모두 중소형주가 대형주보다 우위에 설 가능성이 있다. 대형주가 오르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와야 한다. 경기나 기업 실적 호전을 통해 상승 모멘텀도 만들어져야 한다. 지금은 둘 중 어느 것도 기대하기 힘든 상태다. 주가가 지지부진해 주식시장으로 돈의 유입이 끊겼다. 주가가 오르고 한참 지나야 시장으로 돈이 들어오던 과거 패턴에 비춰볼 때 당분간 돈이 들어올 가능성도 없다.
IT 중소형 중에서는 5G 관련주가, 바이오에서는 치매치료 관련 제품이 관심을 모을 것이다. 올해 5G 장비주는 세 번의 상승이 있었다. 1월 세계 주요 통신회사들이 5G 투자 계획을 발표했을 때, 4월에 국내 통신 3사가 투자 계획을 발표했을 때, 그리고 1, 2분기 통신장비 업체 실적이 발표됐을 때가 그 시기였다. 내년에 글로벌 통신사들의 5G 투자가 크게 늘어날 걸로 전망된다. 중국은 차이나모바일이 60% 에 달하는 시장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5G 조기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제4 이동통신사업자인 라쿠텐의 시장 진입에 위협을 느낀 기존 통신사들이 가입자를 유지하기 위해 5G 조기 도입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T-Mobile과 스프린트 간 합병 후 우량 가입자 유치 경쟁이 벌어져 5G 투자가 늘어날 것이다. 충분히 하나의 테마를 만들 수 있을 만큼 상황이 진전되기 때문에 5G에 대한 가시적 효과에 의한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
바이오주 관심 두되 보수적 접근을
- 이종우 증시칼럼니스트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