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은 “美 임금·물가 모두 높아…연준 적기 대응 중요해”

미 노동시장, 조기은퇴·워라밸 등 구직자 우위 시장 형성
임금·물가 동시 상승 가능성 높아…조기 금리인상 가능성 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최근 미국의 임금과 물가 상승세가 예년보다 높게 이어지고 있어, 올해 금리 인상을 시사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적기 정책대응이 더 중요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미국 노동시장의 최근 특징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물가·임금 상승률의 공통 요소 간 상관계수는 지난해 1~10월 0.70으로 지난 2020년 3~10월 0.65보다 높아졌다. 일정 부문에 국한된 특이 요소와 달리 공통 요소는 전 산업에 해당하는 경제 전체적 여건을 말한다. 임금과 물가가 특이 요소가 아닌 공통 요소로 인해 높아지고 있으므로 최근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으로 한 단계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미국 노동시장이 구직자 우위로 형성되면서 나타났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우선 팬데믹 이후 고용 회복이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퇴직자가 사상 최대인 452만7000명을 기록하는 등 사상 최고급 자발적 퇴직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조기 은퇴하거나 더 나은 일자리(decent job)를 찾기 위해서다. 임금 상승률도 금융위기 이후인 2010~2014년엔 평균 2.0%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1~11월 평균 3.9%를 기록하는 등 예년보다 높은 상태다.
 
미국 노동시장 구인 건수 및 구직자 수. 지난해 5월 들어 구인 건수가 구직자 수를 웃돌며 노동수요가 노동공급을 초과했다. [사진 한국은행]
 
이런 배경에서 미국의 임금과 물가 상승세는 과거보다 수준이 높을뿐 아니라 산업과 품목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물가에 대한 관심도 지난해와 달리 인건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 요금 상승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은은 올해 금리 인상을 시사한 미 연준의 적기 정책대응이 더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한은 관계자는 “임금·물가의 지속적인 상승 가능성은 공급 측면의 일시적 물가압력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 측 물가압력 증대에 대한 통화정책의 적절한 대응 여부에 달려 있다”라고 말했다.
 
앞서 5일(현지시각)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도 같은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회의에 참여한 연준 이사들은 “경제,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전망을 고려할 때 앞서 예상했던 것보다 더 일찍 또는 더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시 회의에서 연준은 올해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이르면 3월부터 금리 인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생명, 2024 퇴직연금 아카데미 실시

2현대캐피탈, 호주·인도네시아 사업 박차 가한다

3KB라이프생명사회공헌재단, 2024 사회공헌 발대식 개최

4현대해상, 첨단안전장치 장착 할인 대상 확대

5“모든 대출 정보 한눈에”…뱅크샐러드, 대출 홈 개편

6네이버페이, 동네시장·노점에서 이용 가능한 ‘QR 송금’ 서비스 출시

7아시아 최대 웹3 B2B 콘퍼런스 ‘어돕션’ 글로벌 기업 총출동한다

8LG전자, 뉴욕 타임스스퀘어서 ‘동물 보호’ 메시지 전달

9빌보드코리아 론칭 임박…파트너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실시간 뉴스

1삼성생명, 2024 퇴직연금 아카데미 실시

2현대캐피탈, 호주·인도네시아 사업 박차 가한다

3KB라이프생명사회공헌재단, 2024 사회공헌 발대식 개최

4현대해상, 첨단안전장치 장착 할인 대상 확대

5“모든 대출 정보 한눈에”…뱅크샐러드, 대출 홈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