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3~4일, 대부분 보험주 7~8% 상승
금리 인상되며 채권수익률 상승 기대

2월 들어 보험주, 최고 18% 상승
손해보험주는 삼성화재가 +4.24%, +0.96%, 현대해상이 +4.72%, +0.75%, DB손해보험이 +5.32%, +1.42%, 롯데손해보험은 +7.74%, +9.06%, 한화손해보험은 +5.63%, +0.80%, 흥국화재는 +4.86%, +1.19% 상승했다.
메리츠화재는 3일 +7.85% 상승했고 4일에는 보합 마감했다. 대부분의 보험주들이 이틀간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이는 지난 1월 보험주들이 비교적 약세를 보인 것과 대비되는 수치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올해 기준금리를 세차례 올릴 수 있다고 시사했고 국내 기준금리도 인상 기조를 보이고 있다. 장기금리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관련주인 보험주가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월 말, 김지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삼성생명의 목표주가를 9만원(현 6만3400원)으로 높이며 "금리상승에 대한 기대는 생보주 투자심리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삼성생명은 대표적인 수혜주"라고 밝혔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달 메리츠화재에 대해 '메리츠금융지주 내에서 핵심 계열사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목표주가를 종전 4만2000원에서 6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보험사는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로 수익을 내기 위해 채권을 장기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장기 채권수익률은 보험사 자산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다.
이와 관련 채권물 금리가 상승세를 보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4일 기준 전거래일보다 0.053%포인트 오른 2.619%를 기록했다. 지난 2018년 6월19일(2.620%) 이후 3년7개월여만에 최고치다.
20년물과 50년물도 각각 0.055%포인트, 0.053%포인트 올라 2.639%, 2.503%를 기록했다. 20년물은 2018년 6월15일(2.673%) 이후 최고치다.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보다 0.036%포인트 상승한 2.194%로 집계됐다. 5년물은 0.045%포인트 오른 2.418%로 거래를 마감했다.
보험연구원은 지난 5일 ‘2022년 보험산업이 주목할 환경변화: 자산운용 환경 변화와 고려사항’ 보고서에서 "올해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보험사가 신규로 매입하는 채권금리도 상승해 보험사 자산운용 여건이 보다 개선될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제한이 완화돼 해외 실사가 자유로워질 경우 해외대체투자가 용이해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