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빌리기 무섭네”…주담대 금리 6% 육박…연말엔 7% 가나
긴축, 물가 상승 영향…기준금리 오르며 주담대 금리도 껑충
주담대 고정 금리 연 4.060-5.770%…연내 7% 가능성도
![올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꾸준히 올릴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연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대에 이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연합뉴스]](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2/14/9f25c538-553b-4829-89fa-d5ce7a6727ca.jpg)
올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꾸준히 올릴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연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대에 이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연합뉴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10일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580-5.230% 수준이다. 지난해 말(3.710-5.070%)과 비교해 상단이 0.160%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지난달 17일 1.55%(신규 코픽스 기준)에서 1.69%로 0.140%포인트 상승했기 때문이다.
주담대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연 4.060-5.770%로, 지난해 말(3.600-4.978%)보다 최저·최고 금리가 0.460%포인트, 0.792%포인트씩 상승했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지표로 쓰이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가 이 기간 동안 2.259%에서 2.793%로 0.534%포인트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대출금리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15일 발표 예정인 1월 기준 코픽스가 더 오를 가능성이 다분해서다. 코픽스는 국내 7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되는데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비중을 따지면 예·적금이 70-80%에 이른다.
앞서 지난달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자 시중은행들도 예금금리를 최대 0.3%포인트 올린 바 있다. 이로 인해 1월 기준 코픽스는 전월(1.69%)보다 높아져 1.70%를 넘어설 여지가 크다. 또 은행들은 이달 중순부터 이를 반영해 주담대 변동금리를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와 함께 한은도 올해 최대 5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라며 "올 연말 주담대 금리가 7%대에 이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