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당선인 “LTV 80% 확대로 내 집 마련 기회” 약속
은행업계에선 DSR 변경 없인 실효성 의문 제기해
“DSR 변경 시 대출 시장 또 다시 불안정해질 수도”

LTV 상한 최대 80%…법적 제약 크지 않아
윤 당선인은 생애 첫 주택구매자뿐만 아니라 모든 차주에게 지역과 상관없이 LTV를 70%로 단일화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서울과 수도권 대부분은 LTV의 40~50%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지방 등 비규제지역만 70% 수준이다.
윤 당선인과 국민의힘은 LTV 상한선을 단일화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완화해 대출 문턱을 낮추겠다는 방침이다. 은행업계는 LTV 상향 조정이 정부의 결정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고 법적 제약이 크지 않아 윤 당선인의 공약대로 쉽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DSR 변경 시 대출 시장 불안정 확대 우려↑

DSR은 차주의 상환 능력을 심사하는 제도로, 금융위원회는 올해 1월부터 2억원 넘는 대출에 대해, 7월부터는 1억원이 넘는 대출에 차주별 DSR 40% 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소득이 적은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의 경우 주택 구매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대출이 전혀 없는 고객이 매매가 6억원 아파트를 구매하기 위해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로 4억원을 받을 경우, 금리 3.5%를 적용하면 연간 원리금이 2154만원이 나온다. 연 소득이 5000만원이라고 해도 DSR 43.11%가 책정된다. 그만큼 고소득자가 아닌 이상 대출 받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윤 당선인이 대출 문턱을 낮추려면 DSR 규제 완화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다만 은행업계에선 현 대출 시장 상황에서 DSR을 변경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한다.
DSR을 낮추면 다시 갭투자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빚내서 투자)에 나서는 사람들이 많아져 자칫 부동산 가격 상승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융당국이 주담대 등을 관리하며 최근 대출 시장이 안정화 됐는데, DSR 완화를 통해 규제를 풀어주면 대출 시장이 다시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대출 시장은 금융당국이 규제를 강화하면서 안정을 되찾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한은)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약 1060조1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00억원 줄어 3개월 연속 감소했다. 한은은 “은행들의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가 지속되고 있고,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 대출금리 상승 등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