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 “건전성 개선…경기회복 지연 대비 손실흡수능력 높여야”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7413억원으로 전년보다 25.9%(5642억원) 증가했다.
농협이 1조9784억원, 신협 5127억원, 수협 1587억원, 산림조합이 91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며 모든 업권이 증가세를 보였다. 금감원은 “상호금융권은 대출 규모 증가 및 저원가성 예금 증가 등에 따른 이자 이익 확대로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예금·대출 등 금융영업에 해당하는 신용사업 부문의 순이익은 이자 이익 증가 영향으로 2020년보다 5827억원 증가한 4조471억원이었다. 다만 경제사업 부문은 1조3058억원 적자를 보이며 적자 규모가 전년보다 소폭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상호금융의 총자산은 631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8%(47조원) 증가했다.

대출 연체율은 1.17%로 1년 전보다 0.37%포인트 내렸다. 가계대출 연체율(0.82%)과 기업대출 연체율(1.76%)이 각각 0.37%포인트, 0.47%포인트 내리며 모두 개선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1%포인트 개선된 1.61%였다.
대손 충당금은 10조6574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7.9%(7834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말 순자본 비율은 0.14%포인트 오른 8.31%로 최소 규제 비율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감원은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대출 규모 증가 및 금융지원 지속 등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인다”면서도 “경기회복이 지연되며 잠재부실이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가계대출 증가 속도 및 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주문하는 등 상호금융권의 손실흡수 능력을 높일 계획”이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시적인 자금난을 겪고 있는 취약 차주에 대해서는 필요 자금을 적기에 공급하고, 선제적 채무조정 등을 통해 금융부담을 완화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차에서 쉬겠다"더니...택배기사 닷새간 3명 사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영철, 라디오도 불참하고 응급실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년 실업급여 하한액 月198만1440원…상한액 넘는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