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차 접종자도 확진 판정
구체적 특성 파악도 안돼

XL 재조합 변이 감염자는 지난달 23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3차접종까지 완료했으며 증상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방대본은 XL이 현재까지 계통이 확인된 17가지(XA∼XS) 재조합 변이 중 하나로 분석한다. BA.1(변이 오미크론)과 BA.2(스텔스 오미크론) 유전자가 재조합된 것으로, 구체적인 특성에 대해선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는 것이 방대본 측의 설명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XL은 지난 2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후 전날까지 영국에서만 66건이 확인됐다. 영국보건안전청은 지난달 25일 “이 재조합 변이가 대부분 특별한 확산 없이 소멸 보고된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XL 재조합 변이는 WHO에서 오미크론으로 분류하고 있어 특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전파력 XL 재조합 변이 중증도 등 분석자료가 없어 계속 경과 추이를 점검 강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 제약업계, USTR에 "韓 약값 통제 개선해야" 요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종범 "'최강야구' 합류, 욕 많이 먹는 거 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러다 중국이 가장 먼저 탄소중립?' 농담 나오는 이유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세계 최초 산부인과 수술용 로봇 앞세운 WSI, 사상 최대 실적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