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감염 사례 국내서도 첫 등장해
3차 접종자도 확진 판정
구체적 특성 파악도 안돼
![지난 6일 서울역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4/12/bf905e96-fa28-4210-9799-2fffeb0212d7.jpg)
지난 6일 서울역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XL 재조합 변이 감염자는 지난달 23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3차접종까지 완료했으며 증상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방대본은 XL이 현재까지 계통이 확인된 17가지(XA∼XS) 재조합 변이 중 하나로 분석한다. BA.1(변이 오미크론)과 BA.2(스텔스 오미크론) 유전자가 재조합된 것으로, 구체적인 특성에 대해선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는 것이 방대본 측의 설명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XL은 지난 2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후 전날까지 영국에서만 66건이 확인됐다. 영국보건안전청은 지난달 25일 “이 재조합 변이가 대부분 특별한 확산 없이 소멸 보고된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XL 재조합 변이는 WHO에서 오미크론으로 분류하고 있어 특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전파력 XL 재조합 변이 중증도 등 분석자료가 없어 계속 경과 추이를 점검 강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