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 소비자물가 전년 동월 대비 4.1% 올라
高물가에 미국 연준 금리 빅스텝도 예고
시장에선 한은 총재 공백에 인상 어렵단 분위기도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통위는 오는 1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업계에서는 지난 2월 24일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다수 금통위원이 물가 상승에 따른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한 만큼 한은이 이번 달 금리 인상을 결정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1%, 전월 대비 0.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4%대 상승률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지난 1년 간의 소비자물가에 대한 체감상승률을 뜻하는 ‘물가 인식’과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모두 2.9%로 집계됐다. 각각 2014년 1월(2.9%)과 2014년 4월(2.9%)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1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물가 상승이 진정되지 않으면서 금리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1일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도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관련 질문에 “상반기의 경우 부득이하게 한은의 예상(3.1%)보다 높아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한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연말까지 진행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은이 이번에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결정해 한미 간 금리 격차를 키울 가능성도 있다.
시장도 한은의 금리 인상을 높게 점치고 있다. 다만 한은 총재의 공백에 따른 동결 분위기도 감지된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1~6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0%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예상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23%는 금리 보합을, 7%는 하락을 각각 전망했다.
다만 이달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한 응답 비율은 직전 조사의 88%보다 크게 낮아졌다. 물가 상승 및 미국의 긴축이 본격화하며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한은 총재가 공석이라 금통위원들이 새 총재 취임 전까지 금리 결정을 미룰 것이란 시장 분석으로 풀이된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내각 첫 인사청문회 돌입…‘낙마 리스크’ 시험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선 단행…교육 최은옥·병무청장 첫 여성 홍소영(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