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13일 신사옥 ‘1784’ 내부 공개
AI·로봇 등 신기술 집약한 최첨단 공간
로봇이 그림 그리고 다른 로봇 세척해
“기술 간 시너지로 연구·개발 속도낼 것”

네이버 신사옥 1784에는 직원들의 손과 발이 되는 똑똑한 로봇 ‘루키’가 있다. 높이 약 1m인 이 로봇은 네이버가 지난 13일 공개한 신사옥 1784 곳곳을 누비며 직원들의 편의를 돕는다. 작은 택배는 물론 평지에 세울 수 있는 물건이라면 모두 실어 나를 수 있다.
신사옥 1784의 마스코트이기도 한 루키가 최근 가장 많이 하는 일은 택배 배달이다. 21층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이 스마트폰으로 ‘로봇으로 택배 받기’를 선택하면, 6층 배달 공간에 있는 루키가 택배를 싣고 직원의 자리까지 직접 가져다준다. 네이버 직원뿐만 아니라 신사옥에 입주한 스타트업 직원과 편의시설 관계자들도 이 로봇을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가 오는 6월 재택근무를 종료하면 루키는 더 바빠질 예정이다. 사옥 곳곳에 마련된 카페테리아에서 도시락, 커피 등을 싣고 연면적 5만평, 지하 8층~지상 28층 규모의 신사옥을 발 빠르게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신사옥 2층에 마련된 ‘아크 모니터링룸’에선 운행 중인 로봇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알고리즘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 시스템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했다.
네이버는 루키가 신사옥 내부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도록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 ‘로보포트’(roboport)도 만들었다. 로봇이 신사옥과 같은 고층 건물 내부를 활보하려면 수직 이동이 원활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로 로봇이 수직 이동하려면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네이버는 루키 외 다양한 로봇을 개발하고 신사옥 1784를 첨단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계획이다. 우선 양팔로봇 ‘앰비덱스’(AMBIDEX)를 루키의 소독용 로봇으로 시범 운영한다. 이 로봇은 네이버랩스가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 함께 개발한 것으로, 로봇이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비전과 힘 제어 등 고차원 기술이 접목됐다.


최 대표는 이날 네이버의 미래 목표와 전략도 함께 발표했다. 그는 “네이버는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와 기술 리더십, 국내외 파트너 기업들과의 시너지를 통해 ‘멀티플’ 성장을 만들어 내야 하는 단계에 진입했다”며 “해외에 새로운 글로벌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고 5년 이내 전 세계에서 10억명의 사용자와 매출 15조원을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선모은 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새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에 김형두 재판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지아, 하의실종 패션... 민낯에도 굴욕 無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 커피선불충전금 '쌈짓돈' 된다?…운영 실태 보니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루닛 vs 딥노이드, 생성형AI 의료기기로 치열한 시장선점 경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