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경제성장률 0.7%…소비·투자 주춤
올해 전망치 3% 하향조정 불가피
![[연합뉴스]](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4/26/f1979b7c-3fb1-425b-a0fb-a538538e1c7a.jpg)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0.7%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인 1.2%와 비교하면 성장세가 절반 수준으로 위축됐다.
분기별 실질 GDP 성장률은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후 3분기(2.2%) 증가 전환한 다음 4분기(1.1%), 2021년 1분기(1.7%), 2분기(0.8%), 3분기(0.3%), 4분기(1.2%)에 이어 올 1분기까지 7분기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하지만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보다 0.5%포인트나 떨어졌다.
올해 1분기 경제 성장은 수출이 주도했다. 수출은 반도체,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1% 늘었고 수입은 원유 등이 늘어 0.7% 증가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2.1% 성장했다.
반면 소비와 투자는 급격히 얼어붙었다. 민간소비는 0.5% 감소했고, 건설투자는 2.4% 줄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줄어 4.0%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건설업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은 소폭 줄었으나 제조업이 증가를 지속했다. 농림어업은 축산업을 중심으로 4.1% 증가하고, 제조업도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늘어 3.4%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모두 줄어 0.6%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 등이 늘었으나 운수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 줄어 0.1% 감소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기대비 0.6% 감소하면서 성장률을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1% 늘었다. 소비 위축과 정부 지출이 줄어들면서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3.0%)는 하향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