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SK, 사상 첫 재계 2위로…업비트 운영 두나무, 대기업 합류
- 12년 만에 5대 그룹 내 순위 바뀌어
SK, 물적 분할에 따른 신규 설립 등으로 자산↑
고객예치금 약 6조원 두나무, 대기업 지정

27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2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자료에 따르면 SK는 자산총액 291조9690억원을 기록하며 257조8450억원의 현대자동차를 제치고 기업집단 2위에 올랐다. 1위는 자산총액 483조9190억원의 삼성이다.
SK는 지난해보다 자산이 52조4390억원 늘었다. 공정위는 “반도체 매출 증가, 물적 분할에 따른 신규 설립, 석유사업 성장 등에 따라 SK가 최초로 자산총액 기준 2위가 됐다”며 “SK와 현대차의 자산총액 기준 순위가 바뀌면서 상위 5개 기업집단 내 순위가 2010년 이후 최초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SK와 현대차만 놓고 보면 두 기업집단의 순위가 뒤바뀐 것은 2004년 이후 18년 만이다. 현대차도 지난해보다 자산이 11조7610억원 늘었지만, SK보다 자산총액이 약 34조원 적어 3위로 밀려났다.

이번에 새롭게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지정된 기업은 크래프톤, 보성, KG, 일진, 오케이금융그룹 등 8개 기업집단이다. 이 가운데 눈에 띄는 곳은 가상화폐 거래소를 운영하는 두나무다. 공정위에 따르면 두나무 자산총액은 약 10조8225억원이고, 이 중 고객예치금은 약 5조8120억원이다. 공정위는 가상자산 거래를 위해 업비트 고객이 예치한 돈도 두나무의 자산으로 판단했다. 두나무의 기업집단 순위는 44위다.
김재신 공정위 부위원장은 “고객예치금은 두나무의 통제하에 있고 여기에서 나오는 경제적 효익을 두나무가 얻고 있어 자산으로 편입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이 채택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이라며 “(가상자산 거래소 운영사가) 금융·보험사가 아닌 상태에서 고객예치금을 자산에서 제외할 법적 근거도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정위는 2024년부터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지정할 때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이 아닌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5% 이상인 집단을 지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정거래법 전면 개정에 따라 해당 기준을 변경하는 시점이 명목 GDP가 2천조원을 초과하는 것이 확정된 해의 다음 해부터인데, 지난해 명목 GDP가 2천57조4천억원이고 그 확정치가 내년 6월께 발표되기 때문이다.
김재신 부위원장은 향후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도 GDP와 연동시킬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대기업집단이 지는 공시 의무와 사익편취 사후 규제 2가지는 기업집단으로서 갖게 되는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며 “현 단계에서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차에서 쉬겠다"더니...택배기사 닷새간 3명 사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영철, 라디오도 불참하고 응급실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년 실업급여 하한액 月198만1440원…상한액 넘는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