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글로벌 공급망 교란·가계부채 등 韓경제 3대 리스크 대비해야"
- 중국경제 경착륙, 스테그플레이션도 우려
상경계 교수 150명 대상 '신정부 한국 경제 주요 리스크와 대응방안' 설문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대학 상경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신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리스크를 설문 조사해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16일 밝혔다.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와 중국 경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등 위험 요인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응답자들 가운데 과반은 ‘미·중 갈등 격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심화’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발생 확률이 높음(47.3%)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절반에 육박했고 보통이라고 답한 비율도 35.3% 수준이었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에 대해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도 53.3%로 집계됐다.
공급망 교란에 대비해 어떤 대응책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았다.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도 문제로 꼽혔다. 발생 확률이 높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치명적이라는 해석이다. 발생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한 답변은 41.3%였다.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한 전문가는 42.0% 수준이었다. 교수들은 가계부채 문제의 효과적 해결방안으로 기준금리 인상(28.5%), ‘고용 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방어력 강화’(17.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중국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해서도 교수들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경제가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우리 정부가 ‘수출 다변화 지원정책’(47.0%)을 펴야 한다고 답했다.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 높은 산업 내수지원책 강화’(18.6%) 필요성에 대한 대답이 뒤를 이었다.
교수들은 과거 오일쇼크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고 응답했다. 스태그플레이션 대응책에 대해서는 ‘금리인상 유지, 경기침체보다 물가안정 주력’, ‘성장잠재력 확충, 기술혁신 통한 경제의 공급능력 확충’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공급망 교란 심화 등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정부가) 먼저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내각 첫 인사청문회 돌입…‘낙마 리스크’ 시험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선 단행…교육 최은옥·병무청장 첫 여성 홍소영(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