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韓 10명 중 1명은 코인투자자…코인 ‘1억 이상’ 보유 10만명
- 10억원 이상 보유자도 4000명 육박
변동성 큰 단독 상장 코인 취급률 높아

19일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원화마켓과 코인마켓 등 국내 암호화폐 전체 거래소의 실제 이용자는 558만명이었다. 이 중 1억원 이상 보유자는 9만4000명으로 전체의 1.7%였다.
실제 이용자는 단일 투자자가 복수의 거래소에 등록된 경우 중복해서 계산하지 않고 1명으로 집계한 것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1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보유자가 9만명이었으며, 10억원 이상 보유자도 4000명이나 됐다.
1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보유자는 73만명으로 전체의 13%에 달했다. 1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 보유자는 163만명, 100만원 이하 보유자는 276만명으로 각각 전체의 29%와 49%를 차지했다.
성별로 보면 암호화폐 보유는 남성이 374만명으로 여성 184만명을 크게 웃돌았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 암호화폐 보유자가 전체의 24%인 134만명에 달했다. 50대와 60대 이상도 각각 80만명과 23만명이었다. 주력 보유층은 사회생활이 가장 활발한 30대와 40대로 각각 174만명과 148만명이었다.
최고점 대비 하락률 주식시장의 4.4배
또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경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의 거래 비중이 원화마켓은 27%, 코인마켓은 9%에 불과해 전 세계 평균 59%와 큰 격차를 보였다.
금융당국은 일부 국내 거래소의 경우 가격 변동성이 큰 단독 상장 암호화폐에 대해 높은 취급률을 보여 이용자들이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단독 상장 암호화폐은 복수의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이 아니라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투자 위험성이 클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통적인 주식이나 은행 예금 또는 펀드 투자가 아닌 암호화폐가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제는 투자시장의 대세로 자리했다”며 “특히 젊은 층의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관련 보호 대책도 필요해졌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루나·UST 사태를 계기로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에 속도를 내고 스테이블 코인 등 위험성이 있는 암호화폐들에 대한 동향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설탕세 도입 속속...국내도 찬성여론 높아[클릭, 글로벌 제약·바이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태민 "日 지진 발언 경솔"…뭐라 했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올영·다이소·파바도 되네?”…‘최대 55만원’ 소비쿠폰 사용처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