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 M&A 상위 20건 기관전용 사모펀드 참여 비중 늘어나

23일 금융감독원의 ‘2021년 기관 전용 사모펀드 동향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관전용 사모펀드 출자약정액은 지난해 말 기준 116조1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0.1%(19조4000억원) 늘었다. 투자 이행액은 87조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보다 24.5%(17조2000억원) 늘었다. 펀드 수는 총 160개로 1년 새 24.9%(211개) 증가했다.
실제 대형 M&A 상위 20건 기관전용 사모펀드 참여 비중은 늘어나고 있다. 2019년 65%에서 2020년 80%로 성장하더니 2021년엔 85%까지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전문투자형과 경영참여형으로 나눴던 기존 감독체계를 지난해부터 일반 사모펀드와 기관전용 사모펀드로 개편했다. 일반 사모펀드엔 일반·전문투자자가 참여할 수 있지만, 기관 전용 사모펀드엔 연기금, 금융회사 등 일부 전문투자자만 투자가 가능하다.
개편된 사모펀드 제도로 신설 기관전용 사모펀드도 증가했다. 지난해 새로 생겨난 기관전용 사모펀드는 318개로 전년보다 45.2% 확대됐다. 신규 자금모집금액은 23조4000억원으로 1년 새 30.7% 뛰었다.
규모별로는 소형 253개, 대형 17개, 중형 48개 순이었다. 소규모 전업 GP(업무집행사원)의 시장 진입이 늘어나면서 1000억원 미만 소형 프로젝트 펀드 위주로 증가했다. 지난해 10월부터 기관전용 사모펀드 투자자 요건이 강화되면서 업력이 부족한 중소형 GP 중심으로 경쟁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투자 대상 업종별로는 제조업 등 상위 5개 업종에 21조2000원(전체의 77.7%)의 투자가 이뤄졌다. 이어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순이었다.
금융감독원은 “코로나19로 한계기업 구조조정 문제가 부각되는 가운데, 풍부한 투자 여력을 바탕으로 기관전용 사모펀드가 기업구조조정의 주도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정부, 노동계 국고보조금 50억대 복원 검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트럼프 “무역 협상 열려 있다”…뉴욕증시 다시 반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