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통합 LCC 시너지엔 물음표

김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흑자로 전환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내년이면 턴어라운드(실적개선)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내년 하반기에 2019년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항공 시장이) 정상화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증권업계 등에선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역시 제주항공의 흑자 전환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올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이날 기준으로 -1470억원으로 집계됐다.
김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재도약을 위한 전략으로 원가 경쟁력과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항공기 현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내년부터 들어오는 B737-8(맥스)로 항공기를 현대화할 것”이라며 “신기종 전환을 위해 (B737-8) 40대 구매 계약을 했다”고 설명했다.
항공 화물 사업 등 신사업 진출에 관한 구상도 밝혔다. 김 대표는 “화물기 사업과 UAM 사업에 진출하려고 준비 중”이라며 “전자상거래 화물 수요는 계속 성장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다만 “이제 (화물기) 1대로 시작하는 것이고, 2대째는 화물기 시장을 보고 검토하려 하는데, 제주항공 수익에 많이 기여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했다. UAM 사업과 관련해선 “아직 시작 단계라 사업성은 두고 봐야 할 것 같고, UAM 운영에 필요한 요건, 노하우가 항공과 유사한 부분이 많아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원가 경쟁력과 재무 건전성 확보를 비롯해 항공기 현대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항공 화물 사업 등 신사업 진출 등으로 중‧단거리 노선에서의 경쟁력을 복원하고, 장기적으로 국적 2위 항공사로 도약한다는 것이 김 대표의 목표다.
통합 LCC 시너지엔 의구심
장거리 노선에 관해서는 “장거리는 대형기가 들어와야 하고 초기비용이 많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단거리가 비용을 충당해줘야 하는데, 이익이 나지 않는 노선이 많고, 이익이 날 수도 있지만 어떤 해에는 안날 수 있어 쉽진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재무 건전성에 대해서는 “유상증자는 지금 상황에서 필요하지는 않다”면서도 “금년 1분기 적자로 자본 확충 필요성은 있다”고 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