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 친환경차 수출 비중 41%가 EU
한자연, “주요국 친환경차 정책 주목해야"

한국자동차연구원은 7일 발표한 '脫(탈) 하이브리드를 지향하는 EU 친환경차 정책' 보고서를 통해 "주요국의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계획이 완료되는 2035년보다 빠른 시기에 EU친환경차 시장이 전기차와 수소차를 중심으로 재개편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EU 신차판매 가운데 HEV·PHEV·전기차(BEV)·수소차(FCEV)를 합친 친환경차 비중은 30.7%다. 우리나라의 친환경차 수출 가운데 EU로 향하는 비중도 41.2%로 높은 수준이다.
그런데 지난해 7월 발표된 EU탄속감축 입법안을 보면 2035년부터 내연기관을 장착한 모든 차량(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의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계획이 포함돼 있다. 2025년부터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배출량 테스트 방식을 강화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완성차 제조사는 전기차의 판매량을 늘려야 하는 책임이 강화된다.
향후 EU에서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지원도 축소될 전망이다. 아일랜드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에 전기차와 동일한 금액의 보조금을 지급해왔지만 지난해 7월부터 보조금을 절반으로 줄였다. 올해 1월부터는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
독일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보조금 기준을 강화했다. 전기로만 주행 가능한 거리가 40㎞ 이상이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었는데 올해부터는 60㎞로 강화됐다. 2023년부터는 보조금 지급을 조기 종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원은 "최근 일부 EU 회원국이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고 있어 우리나라 친환경차 수출이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며 "주요국 정책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