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빗썸경제연구소 ‘규제강화? 제도권 편입? 넥스트 시나리오’ 리포트 발간
CFTC는 비트코인·이더리움…나머지 코인은 SEC 관할

이날 빗썸경제연구소는 ‘규제강화? 제도권 편입? 넥스트 시나리오(Next Scenario)’ 라는 리포트를 통해 지난 7일 신시아-질리브랜드 미 상원의원이 공동 발의한 ‘책임 있는 금융 혁신 법안’이 가상자산 시장에 끼칠 영향을 분석했다.
법안에 따르면 미국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관리하고, 이외 모든 코인은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담당할 예정이다. 두 의원은 법안을 통해 알트코인 대부분이 증권의 성격을 가지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통화나 이자율 같은 상품에 속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나아가 새 법안은 ‘부수자산’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대체불가능토큰(NFT)처럼 소위 그레이존(회색지대)에 위치한 가상자산에 대해서도 공시를 요구할 계획이다. 이외 ▲스테이블코인 ▲탈중앙화자율조직(DAO) ▲소액투자 면세정책 등과 관련된 가상자산 규제안도 포함됐다.
빗썸경제연구소는 법안이 적용된다면 앞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상품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게 될 것이라 내다봤다. 이는 두 암호화폐가 전통 투자자산에 속하는 주식, 채권, 금, 은처럼 하나의 포트폴리오 상품으로써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기타 알트코인을 발행하는 재단에는 기존 증권사 수준의 강력한 규제가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법안이 적용되면 재단들은 증권신고서 제출과 같은 증권 공모 규제와 공시의 의무를 적용받는다. 결국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재단은 사라지고 경쟁력 있는 프로젝트만 살아남아 옥석 가리기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빗썸경제연구소는 규제 강화가 가상자산 시장에 진통을 주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산업을 더욱 공고히 만들어줄 것으로 분석했다. 미 의회 내 가상자산 논의가 점점 성숙해지며 법적 틀이 마련되고 있다는 해석이다.
오유리 빗썸경제연구소 정책연구팀장은 “국내 규제가 미국의 동향을 따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번 법안은 국내에서 가상자산 관련 규제가 제정될 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도 “그 과정에서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한 경쟁력 있는 알트코인만이 살아남게 될 것이므로 투자자들에게는 주의 깊은 투자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2차 경선 진출…"국민께 감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JTBC와 분쟁에도..‘불꽃야구’ 첫 직관 전석 매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복제폰 피해 가능성은 낮지만… SKT 유심 해킹, 전면 조사 불가피(종합2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뛰어난 운용 성과...‘30조’ 행정공제회 허장CIO 연임 성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 새 시대 열린다…저분자화합물 개발 성공, 한국선 일동유노비아 선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