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당 9620원” 내년도 최저임금 1만원대 진입 무산
29일 최저임금위 공익위 제안 표결
올해 9160원보다 460원 5.0% 올라
노동계 “물가인상률에도 못 미쳐”
경영계 "사용자 지불능력 고려 안해”

최저임금위원회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8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9620원으로 의결했다. 내년도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월 노동시간 209시간 기준)은 201만580원이다.
노동계와 경영계는 박준식 최저임금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3차례에 걸쳐 요구안을 수정했다. 하지만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공익위원들이 9620원을 제시, 표결을 거쳐 결정했다. 최종 결정해야하는 법정시한 막바지까지 노·사 간 입장 차이가 평행선을 달리다 보니 학계로 구성된 공익위원들이 결정표를 쥐게 됐다.
최저임금위는 근로자위원·사용자위원·공익위원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된다. 근로자위원 9명 가운데 민주노총 소속 4명이 9620원 제안에 반대하며 표결에 불참, 한국노총 소속 5명만 표결에 참여했다. 사측인 사용자위원 9명은 표결이 선포되자 전원 퇴장해 기권 처리됐다.
이에 따라 재적 인원 27명 중 23명이 표결에 참여해 찬성 12명, 기권 10명, 반대 1명으로 득표해 9620원으로 결정됐다.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는 “중요한 것은 소상공인·중소기업인의 지불 능력인데 제대로 반영이 안됐다”며 “5%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평했다. 류 전무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인들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져 최저임금을 안정시켜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저임금위가 의결 결과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하면 고용노동부는 8월 5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을 고시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지금까지 연도별 1시간당 최저임금 변화는 2016년 6030원(전년 대비 상승률 8.1%), 2017년 6470원(7.3%), 2018년 7530원(16.4%), 2019년 8350원(10.9%), 2020년 8590원(2.9%), 2021년 8720원(1.5%), 올해 9160원(5.1%), 내년 9620원(5.1%)이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동남아시아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기회의 땅
2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3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4'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5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6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7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8"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9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