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가 부담에 실적 악화…친환경 사업으로 돌파할까

28일 석유화학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그룹 화학군은 급성장하는 미국 내 친환경 전기자동차 배터리 소재 시장 선점을 위해 미국 현지 합작회사를 켄터키주 엘리자베스타운 인근에 설립했다. 롯데케미칼과 롯데알미늄이 각각 미국 내 100% 자회사를 통해 약 3300억원을 투자하고, 이를 통해 미국 내 최초의 양극박 생산 기지인 ‘롯데 알미늄 머티리얼즈 USA’를 구축하는 것이다. 약 3만6000t 규모의 양극박 생산 기지를 2025년 상반기에 완공하는 것이 목표다.
양극박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구성 요소 중 하나로, 2차 전지의 용량과 전압을 결정하는 양극 활물질을 지지하는 동시에 전자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소재다. 높은 열전도성으로 전지 내부의 열 방출을 돕는 필수 소재로 꼽힌다.
롯데케미칼 미국 전지소재법인과 롯데알미늄 미국 법인이 각각 70%와 30%의 지분으로 참여해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롯데케미칼 측은 “그룹 내 화학군 2개 핵심 계열사가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협력을 진행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투자를 통해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인 전해액 유기용매와 분리막 소재에 이어 양극박 소재 사업에도 신규 진출하게 됐다. 롯데케미칼은 2021년 5월 대산공장 내에 약 2100억원을 투입해 국내 최초 배터리용 전해액 유기용매 제품인 EC(에틸렌 카보네이트)와 DMC(디메틸 카보네이트) 공장 건설을 발표한 이후, 추가로 약 1400억원을 투자해 EMC(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DEC(디 에틸 카보네이트) 생산을 추진하는 등 배터리 소재 사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실적 악화에도 ‘투자’…속도는 글쎄
석유화학업계에선 “롯데케미칼이 실적 악화에도 그간 축적한 자본을 활용해 친환경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일부에선 “롯데케미칼이 좀 더 과감한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국내 석유화학업체들의 자산과 부채비율 등을 비교하면, 롯데케미칼의 재무 구조 건전성은 업계 최고 수준”이라며 “다른 석유화학업체들이 조 단위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롯데케미칼이 다소 신중하게 친환경 사업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뉴욕증시, 인플레 우려·은행 실적 실망에↓…엔비디아는 4% 급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럭셔리 신혼집 공개..어디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연 350조 보증' SGI서울보증, 보안 인증도 안 받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