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2022년 7월 중 금융시장동향’
대출 규제 영향 등에 가계대출 3000억 감소
은행 수시입출금 감소 규모...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7월 중 금융시장동향’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정책모기지론을 포함한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지속됐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감소폭이 전월보다 확대되면서 3000억원 소폭 감소했다.
올해 가계대출 증감액은 보면 1월부터 3월까지 매달 감소한 바 있고 ▶4월 1조2000억원 ▶5월 4000억원 ▶6월 2000억원 등 증가세가 약해지다 7월에 들어와서 다시 감소한 모습이다.
주담대는 7월에 2조원 증가했는데 주택매매 관련 자금수요 둔화에도 집단 및 전세자금 대출 취급이 늘어난 영향이다. 신용대출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2조2000억원 감소했다.

중소기업대출은 6조8000억원 증가했다.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이어진 가운데 분기 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부가가치세 납부, 시설자금 수요 등으로 상당폭 증가했다. 대기업대출도 5조4000억원 늘었는데, 분기 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회사채 발행 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대출 수요 확대 등으로 큰 폭 증가했다.
은행의 수신 증감을 보면 7월 들어 10조3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수시입출식예금이 7월 들어 53조3000억원 감소한 영향이다. 수시입출금식예금 감소 규모는 한은의 관련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저축성예금으로의 자금이동, 계절적 증가요인 소멸, 부가가치세 납부 등을 위한 기업자금 유출 등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정기예금은 한 달 만에 31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 또한 통계 속보치 작성 후 최대폭 증가다. 은행의 자금유치 노력, 수신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및 기업 자금 유입 등이 원인이다.
한편, 한은은 지난달 코스피가 유가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외국인 순매수 전환 등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7월 외국인 순매수 규모는 1조8000억원이다. 전달에는 6조2000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