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록‧싱가포르투자청과 간담회…“주주들 기대 부합할 것”

최정우 회장은 “지난 4년간 포스코그룹은 핵심 사업에서 수익성과 경쟁력 향상에 매진하는 동시에 비핵심 사업의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재무 건전성을 개선해왔다”며 “그 결과 포스코를 비롯해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케미칼 등 주요 회사들이 역대 최고 매출과 이익을 달성했고 국제 신용평가사도 포스코홀딩스의 신용등급을 10년 만에 상향했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미래 소재 대표 기업으로의 사업 정체성 변화를 위해 미래 신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우수한 사업 성과와 성장 비전을 바탕으로 주주 친화 정책 및 소통을 강화해 주주들의 신뢰와 기대에 더욱 부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만남에서 그룹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철강 부문에서는 미래자동차 전용 강판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친환경 생산 기술 역량을 높여 더욱 경쟁력 있는 사업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포스코홀딩스를 중심으로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 집중해 리튬, 니켈, 리사이클링 등 원료‧소재 사업의 수직 계열화를 완성해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30년 이차전지 소재 사업 매출 41조원 ‘달성’
포스코홀딩스는 또한 이번 투자자와의 만남에서 주주 환원 정책 확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020년 실적 연계 배당 정책을 도입해 주당 8000원~1만원 수준으로 지급하던 배당금을 지난해 주당 1만7000원까지 대폭 상향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8000원을 배당했다. 또한 지난 12일에는 이사회를 열어 2004년 이후 18년 만에 약 261만주(6722억원 수준)의 자사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자사주 소각은 회사가 보유한 주식을 소각해 발행 주식 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주당 가치를 높이는 대표적인 주주 환원 정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자사주 소각 6722억원, 배당 총액 6068억원 등 올해 상반기에만 총 1조2800억원 규모의 주주 환원 정책을 시행했다”며 “내년 초에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의 중기 주주 환원 정책을 새롭게 수립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는 못 참아" 트럼프, 미국 착취당해…무역·군사 손해 수조 달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