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농협·지방은행 10% 넘어
4대은행 5~6% 수준 그쳐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개 은행의 작년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1.26∼13.59%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960억원 적자를 낸 씨티은행을 제외하고, 흑자를 낸 18개 은행 가운데 순익 대비 사회공헌 비율은 제주은행이 13.59%로 가장 높았다.
해당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카카오뱅크로, 0.15%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도 0.31%에 머물렀다.
순익 대비 사회공헌 비율은 ▶부산은행 12.8% ▶NH농협은행 12.26% ▶전북은행 11.28% ▶광주은행 11.09% ▶대구은행 10.68% ▶경남은행 10.2% 등으로 주로 지방은행이 10%를 웃돌았다.
4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이 6.74%로 가장 높았다. 이어 ▶KB국민은행 6.32% ▶우리은행 6.29% ▶하나은행 5.71% 순이었다.
은행·보증기금 등 은행연합회 소속 회원기관과 은행연합회는 작년 사회공헌 사업에 모두 1조617억원을 지원했다. 지원액은 최근 3년 연속 1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2019년 1조1300억원, 2020년 1조919억원에서 2년 연속 줄어들었다.
윤 의원은 “최근 2년여 간 코로나로 생활고, 자금난에 허덕인 가계와 기업이 대출에 매달리면서 은행과 금융지주의 이자 이익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은행들이 늘어난 이익으로 내부 임직원의 급여와 성과급만 늘리고 말로만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외칠 게 아니라, 공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민석 총리 "론스타 취소 소송서 승소…4000억 배상책임 소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강성연, 아들 부상에 분노 “화가 난다 정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금융사 ATM 11만대, 늑장행정에 위법될 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지스 인수 3파전 확전…국내 원매자 잇단 악재 변수되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AI 신약개발사 최고 성과...정부·삼성 점찍은 프로티나 뭐가 달랐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