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이석우 두나무 대표 “업비트 자전거래 1심 무죄…당시 ‘룰’ 없었다”
- 기습상폐 논란엔 “2주 전 유의 종목 지정” 해명
‘테라 검증자’ 김지윤 DSRV 대표 “권도형과 연락 안돼”

이 대표는 6일 국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위조 아이디로 발생한 업비트의 자전거래 의혹 사건에 대한 경위를 묻는 말에 “저희는 1심에서 무죄를 받았고, 현재 2심 진행 중인 사건이기 때문에 답변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앞서 2017년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2017년 ‘ID 8’이라는 계정을 만들고 자전거래를 통해 1491억7700만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로 2018년 12월 18일 불구속 기소된 바 있다. 1심에선 증거 불충분과 관련 법이 없다는 점을 이유로 무죄를 선고 받았지만, 검찰이 항소해 4년째 법정공방 중이다. 정무위 측은 실무적인 측면을 고려해 송 회장 대신 이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 대표는 해당 사건에 대해 “당시는 개장 초기여서 아무런 룰이 없었고 지금까지도 그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업비트 나름대로 공정하고 투명한 투자자 보호 조치를 취했지만, 객관적인 기준이 여전히 없다 보니 관련된 룰이 빨리 정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지난 5년 동안 두나무 대표를 하면서 국회와 정부를 계속 찾았는데, (룰 형성이) 실질적으로 수용이 안 돼서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업비트의 사전 안내 없이 이뤄진 ‘기습 상폐’ 대해 지적했다. 이에 이 대표는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를 할 때는 2주 전에 유의 종목 지정을 하고 해당 프로젝트에 소명을 받는다”며 “거래지원 종료를 하지 않으면 훨씬 더 큰 피해가 생기기 때문에 투자자 보호를 위해 (업비트가) 노력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날 다른 가상자산 업계 증인으로 출석한 김지윤 DSRV랩스 대표는 테라·루나 사태 관련 질문을 받았다. DSRV랩스는 테라 프로젝트의 밸리데이터(검증인)로 참여한 기업이다.
루나 가격이 폭락하기 전 그룹방에서 관련 내용을 공유했다는 의혹에 대해 김 대표는 “테라가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기술적으로 외부에서 체인 자체를 전복시킬 수 있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체인을 멈추기 위해서 전 세계 약 120여 팀의 밸리데이터가 모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현재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와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민의힘, ‘조희대·한덕수 회동’ 의혹 제기 서영교·부승찬 고발하기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납부능력 없는 국민, 국세체납액도 5000만원까지 탕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