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NG 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 싹쓸이 수주”

8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0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41만CGT(75척)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보다 18% 증가한 수치이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단 19% 늘어난 규모다. CGT는 표준 화물선 환산 톤수를 말한다.
한국은 10월 143만CGT(22척, 42%)를 수주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수주량은 180만CGT(32척, 53%)로 집계됐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계 선박 발주량 3475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4796만CGT)보다 28%(1321만CGT)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한국의 수주량은 1465만CGT(261척, 42%)이며, 중국의 수주량은 1581만CGT(570척, 46%)로 나타났다.
10월 말 기준 전 세계 수주 잔량은 지난달보다 86만CGT 증가한 1억470만CGT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한국의 수주 잔량은 3675만CGT(35%), 중국의 수주 잔량은 4489만CGT(43%)를 기록했다. 지난달과 비교해 한국과 중국의 수주 잔량은 각각 2%(78만CGT), 1%(59만CGT)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단 한국은 26%, 중국 8% 각각 늘어난 수치다.
10월 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61.96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68p 상승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988년 1월 기준 선박 건조 비용을 100으로 정하고, 매달 가격을 비교해 매기는 수치다. 이 지수가 100보다 크면 선가가 올랐다는 뜻이다.
선종별 신조선가는 LNG 운반선이 2억4800만 달러(전월보다 400만 달러 증가)를 기록했다. 초대형 유조선과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신조선가는 각각 1억2000만 달러, 2억15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내 개인정보도?" 불안한 롯데카드 가입자…접속자 폭주에 앱 지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납부능력 없는 국민, 국세체납액도 5000만원까지 탕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