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네이버, 국제 수준 개인정보 보호 기술 입증…CBPR 인증 국내 첫 획득
- 일본·싱가포르 진출 문턱 낮춘 효과

APEC은 회원국 간 자유롭고 안전한 개인정보 이전과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개인정보보호 인증 제도 CBPR을 개발했다. 인증에는 한국·미국·일본·싱가포르 등 9개국이 인증에 참여하고 있다. 앞서 애플·시스코·IBM·HP·야후재팬 등 약 40개 기업이 인증을 취득했다.
CBPR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선 ▶개인정보 관리 체계 수립 ▶개인정보 수집 ▶개인정보 이용·제공·위탁 ▶정보주체 권리 ▶무결성 ▶보호 대책 등의 종합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네이버는 일반 사용자 및 사업자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포털·비즈니스·밴드·마이스마트스토어·아티클 등 대부분 서비스에 대해 CBPR 인증을 부여받았다.

이진규 네이버 개인정보보호책임자는 “세계 각국의 법제 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네이버가 구축한 개인정보 보호 및 관리체계가 이러한 차이를 넘어 견고한 수준”이라며 “네이버가 소비자 프라이버시를 적극 보호하고 보장하는 기업임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정두용 기자 jdy2230@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국, 엔비디아 AI 칩 구매 금지”…젠슨황 “실망스럽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5세 맞아?… 이가령, 비키니로 시선 압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방중’ 조현 “APEC 시진핑 참석 확실…왕이 다음달 방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