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재료 수급안정' 검색결과
3 건

정부가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을 덜기 위해 245억원 규모 할인 지원과 재료 공급 확대 등에 나선다. 정부는 2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비축물량을 활용해 김장 재료 최대 2만1000톤을 공급하기로 했다. 농수산물 할인 지원 예산도 지난해보다 78% 증액한 245억원을 투입하고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월간 구입 한도도 12월 말까지 30만원 상향하기로 했다.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달 발표한 ‘올해 소비자 대상 김장 의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정에서 김치를 직접 담그겠다는 비율은 63.3%로 지난해보다 1.8% 포인트 감소했다. 4인 가족 기준 김장 규모도 지난해 21.8 포기보다 감소한 19.9 포기로 조사돼 김장재료 수요는 전반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주요 김장재료 공급 여건은 대체로 양호한 상황이지만 정부는 소금·고춧가루·대파 등 공급량 부족이 우려되는 품목에 대해선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배추나 고춧가루 대파 등 농산물은 수입산을 포함한 정부 비축물량 1만1000톤을 방출한다. 특히 천일염은 역대 최고 수준인 1만 톤을 전통시장, 마트 등에 시중가격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할인해 공급한다. 정부는 김장 재료 잔류농약 검사 등 안전성 관리도 강화한다. 김장 관련 정보도 수시로 제공해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이달 중순부터 출하하는 남부지역 공급량이 증가할 전망이므로 농산물유통정보 누리집 등을 통해 제공되는 배추 가격을 살피면서 김장 시기를 결정할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2023.11.02 21:50
2분 소요
올해 김장철에는 배추 가격이 저렴해지는 반면 양파, 대파 등 양념채소 가격은 오를 거란 전망이 나왔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배추 도매가격은 10㎏(상품) 기준 7000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동기(9822원) 대비 28.7% 저렴한 수준이며 평년(6674원)과 유사한 수치다. 연구원은 가을 배추 출하량이 전년 대비 11.8% 늘어난 영향으로 배추값이 내려갈 것으로 예측했다. 또 김장 재료인 무의 경우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무는 이달 20㎏에 1만1500원으로 1년 전(1만1492원)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평년(9727원)보다는 18.2% 오른 수준이다. 연구원은 12월 무 도매가격은 지난해와 평년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원은 또 양파, 대파 등 양념채소 가격이 지난해보다 비쌀 것으로 예측했다. 양파의 경우 이달 ㎏에 상품 기준 1천500원으로 1년 전(892원)의 1.7배 가격이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대파도 출하량이 줄면서 이달 도매가격이 ㎏당 1850원으로 1년 전(1604원)보다 15.3% 오를 전망이다. 깐마늘은 ㎏당 8100원으로 1년 전 8178원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김장재료 수급 안정을 위해 비축했던 마늘, 고추, 양파 총 1만톤을 시장에 내놓는다는 '김장재료 수급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마늘의 경우 비축물량 5000톤을 깐마늘로 가공해 대형마트 등에 공급하고 건고추는 매주 500톤씩 총 1400톤을 내보내는 한편, 양파는 매주 240∼500톤씩 총 3600톤을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또 이달부터는 김장재료 공급·할인 등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김장재료 수급 안정 대책반’을 운영한다. 대책반에는 농식품부, 해수부, 중기부, 농협 직원이 참여한다. 송현주 기자 shj1004@edaily.co.kr
2022.11.03 07:45
2분 소요
정부가 김장재료 수급 안정을 위해 비축했던 마늘, 고추, 양파 총 1만톤을 시장에 공급한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와 해양수산부(해수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이런 내용의 ‘2022년 김장재료 수급안정 대책’을 28일 발표했다. 정부는 김장재료인 마늘, 고추, 양파의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고 다음 달부터 정부 비축물량 1만톤을 시장에 내놓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늘의 경우 비축물량 5000톤을 깐마늘로 가공해 대형마트 등에 공급하고, ‘소비자 가격 30% 할인’이란 조건이 달렸다. 건고추는 매주 500톤 정도씩 총 1400톤을 풀고 양파는 매주 240∼500톤씩 총 3600톤을 시장에 공급한다. 정부는 천일염 생산량도 줄어들 것으로 보여 비축물량 중 500톤을 시장에 내고, 소비자에게는 최대 30% 저렴하게 판매하기로 했다. 이른 장마로 일조량이 감소하고 평균 기온도 낮아 올해 천일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7.1% 감소한 26만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김장 주재료인 배추와 무의 경우 생산량이 적어도 지난해 수준은 될 것으로 보고, 생육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김장에 쓰는 가을배추의 경우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 증가했고 생육도 양호해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114만7000톤)보다 10.4% 증가한 126만7000톤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다만 지난달 강수 부족으로 인해 생육이 다소 지연돼 가을배추가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공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장에 쓰는 가을무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38만5000톤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0.9% 증가했으나 작황이 다소 부진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고춧가루와 갓은 지난해 수준으로 공급되고 쪽파, 새우젓, 멸치액젓은 지난해보다 공급량이 늘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장바구니 부담을 낮추기 위해 김장재료 가격 할인 행사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과 연계해 마트, 전통시장, 지역농산물 직매장, 친환경 매장, 온라인몰 등 820곳에서 다음 달 3일부터 12월 7일까지 농산물 할인 판매를 진행한다. 농협도 하나로마트와 온라인몰에서 김장채소류를 품목별로 5~40% 할인 판매한다. 해수부는 31일부터 내달 16일까지 열리는 ‘코리아수산페스타’에서 천일염, 새우젓, 멸치액젓을 할인 판매한다. 또 다음 달 11~20일에는 수산전통시장 15곳에서 김장재료를 구매하면 최대 30%(1인 2만원 한도)를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중기부는 11~12월 온누리상품권 구매 한도를 상향 조정한다. 유형별 구매 한도는 카드형 100만원, 지류형 70만원, 모바일 100만원이다. 정부는 김장재료 공급·할인 등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다음 달부터 ‘김장재료 수급 안정 대책반’을 운영한다. 대책반에는 농식품부, 해수부, 중기부, 농협 직원이 참여한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2022.10.28 09:34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