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제조업 업황전망bsi' 검색결과
3 건

고물가, 고금리 지속으로 소비심리가 악화하면서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갈수록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년 4개월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앞으로도 계속 기업의 체감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번 달 전체 산업의 BSI는 전월보다 5포인트 하락한 6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0년 9월의 64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BSI는 지난 9월 이후 연속 하락하고 있다. 다음달 업황전망BSI도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68로 조사됐다. BSI는 기업가의 현재 기업 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해 지수한 수치로 기업의 체감경기를 알 수 있다. 지수가 100이 넘으면 업황이 좋다고 응답한 기업이, 100보다 작으면 업황이 나쁘다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업황별로 보면 제조업BSI는 전월대비 5포인트 하락한 66을, 비제조업도 전월 대비 5포인트 떨어진 71을 기록했다. 제조업 업황BSI는 반도체 전자·영상·통신장비가 5포인트, 1차금속은 9포인트, 금속가공은 6포인트 떨어졌다. 반도체의 경우 수요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와 재고 증가가 영향을 줬다. 아울러 금속가공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과 건설, 자동차, 선박 등 전방산업 업황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가 영향을 줬다. 제조업 기업 규모별, 형태별로 대기업은 8포인트, 중소기업은 1포인트, 수출기업은 8포인트, 내수기업은 3포인트 등 모두 떨어졌다. 비제조업 업황BSI는 정보통신업이 14포인트,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 10포인트, 도소매업이 3포인트 하락했다. 기업의 체감 경기에 소비자동향지수(CSI)을 반영한 경제심리지수(ESI)는 1.4포인트 하락한 90.1을 기록했다. ESI는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심리를 보여주는 지수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과거 평균보다 경기가 나아졌다는 것으로 평가된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올해 경제 불확실성이 크고, 물가가 높은 등의 이유로 BSI의 하방 압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2023.01.27 06:00
2분 소요
국내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9월에 이어 10월에도 하락했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높아진 탓이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체 산업에 대한 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한 76을 기록했다. BSI란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긍정적이라고 답한 업체보다 많으면 100을 밑돈다. 앞서 전산업 업황 BSI는 지난 8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소비심리가 살아나면서 전월보다 1포인트 오른 81을 기록했다. 9월에는 경기둔화 우려에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한 78을 기록했고, 하락세는 10월까지 이어졌다. 제조업 업황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한 72를 기록했다. 특히 내수 부진에 따른 귀금속·장신구·게임기 등 비필수재 등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기타 제조업이 14포인트 하락했다. 화학물질·제품은 화학제품 스프레드 축소 및 글로벌 수요 감로 9포인트 내렸다. 건설 등 전방산업 업황 둔화 및 원자재 가격 상승 탓에 고무·플라스틱도 9포인트 하락했다. 전자·영상·통신장비도 반도체 소비 감소로 5포인트 하락했다. 기업 규모별·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3포인트, 중소기업이 1포인트, 수출기업이 6포인트 하락했으며, 내수기업은 전월과 같았다. 9월 비제조업 업황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9를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 요인 및 경쟁 심화로 매출액 감소한 정보통신업은 10포인트 하락했다. 부동산업 또한 주택경기 둔화 및 신규수주 감소 등으로 10포인트 내렸다. 기업들의 경기 전망 또한 암울했다. 11월 업황전망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76을 기록했다. 제조업 업황전망BSI는 2포인트 내린 73을 기록했다. 특히 ▶고무·플라스틱(-13포인트) ▶기타 제조업(-12포인트) ▶화학물질·제품(-10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비제조업 업황전망BSI는 부동산업(-13포인트)과 숙박업(-11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78을 기록했다. 10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에 비해 2.5포인트 하락한 95.5을 기록했다. 경제심리지수가 100을 상회하면 기업과 가계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 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나아진 것이라는 의미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2022.10.26 07:44
2분 소요
기업들이 여전히 경기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올해 폭증한 데다 공급 차질 등의 영향도 컸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체 산업에 대한 BSI는 지난달보다 1포인트 하락한 85를 기록하며 여전히 100을 밑돌았다. BSI란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긍정적이라고 답한 업체보다 많으면 100을 밑돈다. 다만 지난해 2월 BSI(76)와 비교하면 기업들은 올해 2월 경기가 다소 나아진 것으로 판단했다. 한은은 2월 BSI가 전달 대비 하락한 것과 관련해 “비제조업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하락했다”며 “오미크론 확산, 공급 차질 및 원가 상승 등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2월 업황BSI를 보면 제조업은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한 91, 비제조업은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81을 기록했다. 제조업의 경우 대기업BSI는 전달과 같은 97을, 중소기업BSI는 전달보다 1포인트 오른 83을 기록했다. 지난해 2월엔 대기업은 93, 중소기업은 69를 나타냈다. 올해 2월 수출기업BSI는 2포인트 오른 102를, 내수기업BSI는 전달과 같은 84를 기록했다. 2월 제조업 업황BSI는 전기장비가 전월 대비 5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전자·영상·통신장비와 자동차가 각각 6포인트 상승했다. 2월 비제조업 업황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81을 기록했다. 건설업이 3포인트 올랐지만, 운수창고업이 16포인트 떨어지고, 도소매업이 7포인트 하락하면서 전체적으로 BSI가 떨어졌다. 2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승한 105.7을 기록했다. 3월 업황전망BSI는 제조업이 93, 비제조업이 84를 기록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2022.02.23 06:00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