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16

현대차그룹, 부품·물류·철강·금융 부문 ‘RE100 가속화’

자동차

현대자동차그룹이 전 그룹 차원의 탄소중립 및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이행 가속화를 위해 국내에서 대규모 재생에너지 확보에 나선다.현대차그룹은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에서 부품·물류·철강·금융 부문 6개 그룹사와 현대건설 간 연간 242GWh(기가와트시) 규모의 20~25년 장기 공동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이하 PPA)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이변 협약에서 ▲현대글로비스 ▲현대트랜시스 ▲현대위아 ▲현대케피코 ▲현대종합특수강 ▲현대캐피탈 6개 그룹사는 재생에너지 전력 수요자로 협약에 참여했다. 현대건설은 이들 6개 사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연결하는 전력 거래 중개 역할을 맡는다.현대건설은 국내 전력중개거래 선도 사업자로서 기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전력 구매는 물론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 참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설계·구축한 후, 각 그룹사별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와 필요 물량을 고려해 최적화된 재생에너지 전환 솔루션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현대차그룹은 이번 PPA 업무협약을 통해 6개 그룹사 국내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20~25년간 공급할 예정이며, 이르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공급을 시작한다.이후 공급량을 점진적으로 늘려 2030년에는 연간으로 242GWh 수준에 도달한다는 계획이다.이를 통해 각 그룹사별로 자체 설정한 단계별 국내사업장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2030년에 도달 예정인 연간 242GWh는 국내 4인 가구의 연평균 전력 사용량(3,684kWh, 2020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6만 6천 가구의 전력 사용분에 해당된다.이를 전량 재생에너지로부터 조달할 예정이어서 화력 연료 기반 전력 사용 시와 비교할 경우 연간 약 11만 톤의 탄소가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된다. 11만톤은 준중형 자동차가 6만6000여 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이다.현대차그룹이 국내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전환 확대를 위해 그룹차원에서 PPA를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현대차그룹은 이번 국내사업장 재생에너지 통합 조달 추진에 앞서 지난 4월 미국 조지아주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와 현지 동반진출한 현대모비스·현대제철· 현대트랜시스 등 해외법인 4개 사가 공동으로 신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와 15년 장기 PPA를 체결한 바 있다.다수의 그룹사들이 참여해 그룹차원에서 공동으로 장기 구매계약을 추진할 경우 높은 협상력을 갖게 돼 개별 그룹사 계약 시 대비 안정적으로 재생에너지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아울러 그룹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재생에너지 도입을 추진함으로써 개별 그룹사 차원의 조달 물량에 더해져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시키고, 그룹 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그룹사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은 자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아 변동성이 큰데다 공급 대비 수요가 많아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안정적인 확보가 재생에너지 전환율 확대에 핵심적인 부분”이라며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그룹 차원의 통합 조달과 장기 계약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10.21 09:21

2분 소요
HMM, E-순환거버넌스와 ESG 경영실천 맞손

산업 일반

HMM이 ESG 경영 실천을 위해 전자제품 재활용 공제조합인 E-순환거버넌스와 ‘E-Waste Zero, 폐전자제품 자원순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HMM은 E-순환거버넌스의 ‘모두비움, ESG나눔’ 자원순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HMM은 폐전자제품 1000여대를 기증했으며, 앞으로 사무실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을 통해 ESG 경영 실천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E-순환거버넌스는 ESG 가치실현에 동참하는 기업,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자원순환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환경부 인가 비영리 공제조합이다. 참여기업에는 공급망 탄소배출량 (Scope 3) 온실가스 감축 인증서 등을 발급해 준다.HMM 관계자는 “친환경 연료 도입, 운항 기술 고도화 등 기존 Scope 1, 2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이어, Scope 3까지 범위를 확대해 ‘2045 NetZero’ 달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08.23 09:48

1분 소요
‘탄소 중립’이 쌓은 무역장벽…시험대 오른 철강·석유화학

산업 일반

국제 사회가 ‘탄소 중립’을 향한다. 탄소 중립은 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그에 맞는 조치를 통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일이다. 탄소 중립을 위해 유럽연합(EU)은 오는 2026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제도를 시행한다. 미국도 2025년 ‘청정경쟁법’(CCA) 도입을 추진 중이다. 탄소 중립이 새로운 국제 질서가 된 셈이다.EU의 CBAM은 탄소배출이 이전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을 막기 위해 제안됐다. 탄소가 배출 규제가 강한 국가에서 약한 국가로 이전됨을 방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CBAM은 지난해 5월 16일 공식 발효됐다. 이후 같은 해 10월 1일부터 전환 기간이 시작됐다. CBAM은 2026년부터 시행된다.CBAM이 시행될 경우 EU 역외에서 수입된 제품의 탄소배출량이 역내 생산 동일 제품에 비해 배출량이 많다면, 초과분에 대해 인증서 구매를 통해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사실상 탄소국경세다.탄소국경세는 자국보다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의 제품을 수입할 경우 발생하는 세금이다. 수출국 입장에선 ‘무역 장벽’으로 통한다. CBAM이 유럽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라는 평가가 여기서 나온다.CBAM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전기 ▲비료 ▲수소 등 6개 품목에 적용된다. 이후 유기화학 제품, 플라스틱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무역 장벽, 미국도 쌓는다. CCA가 대표적이다. CCA는 CBAM과 유사한 무역관세다. 지난 2022년 미국 상원이 미국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세수 확보를 위해 발의했다. 민주당의 발의한 법률임에도 불구하고 공화당의 지지를 받아 미국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통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CCA는 미국이 수입하는 ▲화석연료 ▲석유정제 ▲석유화학 ▲비료 ▲철강 ▲알루미늄 ▲수소 ▲유리 ▲펄프 ▲종이 등 12개 품목에 적용된다. 해당 제품 생산 시 배출되는 온실가스 1톤(t)당 55달러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골자다. 미국은 해당 법안 도입 목표 시기를 2025년으로 뒀다.CCA에는 석유화학, 석유정제, 철강 등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우리 수출 상위 산업 부분이 대거 포함돼 있다. CCA 도입이 우리나라에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산재하는 셈이다.코트라 관계자는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존 기업들이 ESG 환경 지표대응시사 후처리에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사전 관리에 집중하는 추세”라며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우리 기업들은 글로벌 주요 이슈와 더불어 연관 산업의 업데이트 사항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면밀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탄소 중립’ 기조에 대응하는 철강·석유화학우리나라의 탄소 배출 순위는 10위다. 국가별 탄소 배출량을 집계하는 ‘글로벌 카본 아틀란스’(GCP)가 지난 2022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우리나라는 약 6억1600만톤(t) 가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다. 이는 세계 배출량의 1.67%에 해당한다. 탄소국경세가 본격 도입 될 경우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국내 산업은 철강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EU 철강 수출량은 317만톤이다. 철강 제품은 22만톤이 수출됐다. 한국이 적용받을 CBAM 품목 중 철강이 차지하는 비중은 89.3%다.철강산업은 이산화탄소 발생률이 가장 높은 산업이다. 국내 산업계가 배출하는 탄소 중 39%는 철강업계가 뿜어낸다. 현재 철강 산업은 배출권을 무상으로 할당받고 있다. 정부가 배출권거래제(ETS) 아래 철강 산업과 같은 탄소집약적이고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군에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해 주는 까닭이다. 기후변화 싱크탱크 기후솔루션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 수준의 철강 기술과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유지할 경우 CBAM 시행으로 국내 철강업체가 EU에 지불해야 할 비용은 연간 1910억원이다. CBAM이 철강업계의 수익성 악화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국내 철강 3사(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는 글로벌 탈탄소 기조에 발맞춰 공정 고도화 및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그룹 전체 투자 예산(10조8000억원)의 41.7%인 4조5000억원을 철강 부문에 투입한다. 저탄소 생산설비 구축을 위함이다. 포스코는 ‘2050 탄소중립 기본 로드맵’ 수립을 통해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 상용화와 전기로 확대 투자에 집중한다. 하이렉스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이다. 석탄을 대신해 수소를 활용한다. 4개의 유동환원로에서 철광석을 순차적으로 수소와 반응시켜 직접환원철(DRI)로 만든 뒤, 이를 전기용융로(ESF)로 보내 쇳물로 녹이는 방식이다. 포스코는 오는 2030년까지 하이렉스 시험설비를 통해 상용기술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현대제철도 고유 기술력이 반영된 신(新) 전기로를 신설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이 약 40% 저감 된 강재를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신전기로에는 현대제철의 독자기술에 기반 한 저탄소제품 생산체계 하이큐브(Hy-Cube) 기술이 적용된다. 하이큐브는 신전기로에 철스크랩과 고로의 탄소중립 용선, 수소환원 직접환원철 등을 혼합 사용해 탄소배출을 최소화한다.동국제강은 친환경 성장전략 ‘스틸 포 그린’(Steel for Green)을 중심으로 설비투자, 공정개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 나섰다.동국제강의 탄소배출량은 철강업종 전체의 2% 수준이지만, 오는 2030년까지 기존 대비 10%의 탄소 배출 추가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친환경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동국제강은 폐열회수, 가스발전 등 친환경 자가발전 사업을 확대를 지속 검토할 방침이다.석유화학업계도 새로운 국제 질서에 따른다. 이를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S,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CCU는 사업장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연료, 화학물질 등 부가가치가 높은 탄소화합물로 재탄생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CCUS는 포집된 이산화탄소 일부를 재활용하고, 일부는 지하에 영구 저장하는 기술이다. 두 기술 모두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하는 셈이다.탈탄소 기조에 따라 CCU는 경제적 부가가치가 큰 분야로 평가받는다. 글로벌 이산화탄소 이니셔티브(GCI)는 2030년 전 세계 CCU 시장 규모가 최대 8370억달러(114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산화탄소 활용 규모도 72억톤으로 내다봤다.CCU를 둘러싼 석유화학업계의 각축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GS칼텍스는 전라남도·여수시와 손잡고 여수산단 중심의 CCU 사업에 나선다. 이를 통해 탄소저감을 위한 친환경 전환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구상이다.GS칼텍스는 CCU 실증사업을 추진해 이산화탄소 원료·연료소재 개발 등 공정기술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실증사업은 화학적 전환 기술 연구를 중심으로 전개하기로 했다. 현재 여수산단에서 기술연구소 실험실 수준의 검증을 완료한 뒤 파일럿 검증과 실증 단계를 준비 중이다.특히 CCU와 관련해선 지난 4월 CCU 원천기술을 보유한 한국화학연구원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를 통해 CCU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신사업 창출 기회를 확보하겠단 포부다. 최근에는 CCU 기술을 바탕으로 이산화탄소를 넣은 폴리올을 개발하고, 특허까지 출원했다. 금호석유화학은 CCUS에 적극적이다. 지난해 12월 금호석유화학은 전남 여수의 금호석유화학의 여수 제2에너지 사업장에서 CCUS 사업의 핵심 설비인 CO₂ 포집 및 액화 플랜트의 착공식을 가졌다.이번에 공사에 돌입한 포집 및 액화 플랜트가 목표대로 2025년 초에 준공될 경우, 금호석유화학 열병합발전소의 스팀 및 전기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만 선택적으로 포집되어 케이앤에이치특수가스의 액화 공정을 거쳐 탄산으로 재탄생하는 프로세스가 구축된다.

2024.08.12 11:00

5분 소요
LG, 국내 그룹 최초 ‘넷제로 특별 보고서’ 발간

산업 일반

LG가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Net Zero)을 추진하며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한다.LG는 구체적인 탄소 감축 이행 목표를 담은 그룹 차원의 ‘LG 넷제로 특별 보고서(LG Net Zero Special Reporting: Placing the First Stepping Stone)’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LG는 넷제로 보고서 제목에 ‘글로벌 탄소중립의 초석을 다지고, 실제적인 탄소중립 이행에 첫 걸음을 내딛는다’는 의미를 담았다. 국내에서 개별 기업이 아닌 그룹 차원의 탄소중립 추진 계획을 보고서 형태로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은 LG가 처음이다.LG는 보고서를 통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 그룹 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99%를 차지하는 7개사가 실질적이고 단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추진 계획을 제시하는 등 LG그룹 전체의 탄소중립 실현 기반을 마련했다.이번 보고서 발간은 지난해 그룹 차원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서를 통해 밝혔던 ESG 전략이행의 첫 단계에 해당한다. LG는 ESG 경영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번 넷제로 보고서 발간을 통해 계열사별로 상이했던 탄소중립 목표와 실행 방안을 그룹 차원의 목표로 통합해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LG그룹의 일관된 기준을 적용한 ‘그룹 통합 로드맵’을 제공한다.LG는 그룹 통합 로드맵의 정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탄소 규제, 국가 단위 배출권, 재생에너지 가격 기준 및 전망 등에 근거한 탄소중립 이행 표준을 수립하고, 계열사들의 탄소중립 관련 배출, 감축, 투자 현황 및 실행 계획 등을 검증하고 구체화했다.LG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연료를 사용하며 직접 배출하는 탄소(스코프1)와 화력발전 전력 사용 등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탄소(스코프2)를 2018년 대비 2030년 27%, 2040년 62% 감축시킨 뒤, 2050년까지 100% 감축해 넷제로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스코프(Scope)는 기업이 탄소배출량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 체계다.계열사별로는 LG전자가 2019년 국내 최초로 203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것을 시작으로 LG에너지솔루션, LG이노텍이 2040년까지,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며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LG는 향후 사업장 외에서 발생하는 탄소(Scope3) 배출량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일관된 관리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LG는 ▶2050년까지 주요 계열사의 필요전력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 ▶온실가스 배출량 직접 감축 ▶탄소 직접 흡수·제거할 수 있는 산림조성 등 중장기적 상쇄사업 발굴 ▶기후 거버넌스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체계 구축 및 모니터링 강화 등의 탄소중립 4대 전략을 수립했다.먼저 LG는 2050년까지 주요 계열사의 국내·외 사업장의 필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력 사용 비율을 2025년 54%, 2030년 83%, 2040년 94%, 2050년 100%로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예정이다. 해외 사업장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국내 사업장은 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에 나선다.또 LG는 온실가스 배출량 직접 감축을 위해 고효율 설비 교체를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 폐열 회수 사용, 바이오 연료 활용을 통한 화석연료 대체, 공정가스 제거를 위한 저감 설비 설치 등의 감축 활동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수소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배출량을 줄여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블루수소, 그린수소 기술 등 탄소 저감을 위한 신규 기술 개발 등에 2030년까지 약 3조4000억원을 투자한다. 중장기적으로 탄소를 직접적으로 흡수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산림조성 등 상쇄사업도 최대한 발굴한다는 계획이다.그룹 ESG협의체와 그룹 기후변화협의체 등은 계열사들의 탄소중립 목표 이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성과를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LG는 누구나 확인 및 다운로드를 할 수 있도록 넷제로 보고서를 LG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했으며, 인쇄본 책자도 발행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LG는 LG그룹의 탄소중립 현황과 성과, 시장 및 기술 변화에 따라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정·보완해 나가며 넷제로 보고서를 매년 발간해 이해관계자들에게 LG그룹의 탄소 감축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다.LG 관계자는 “전자, 화학, 통신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는 LG 계열사들의 탄소중립 현황과 목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탄소중립 로드맵을 제시하는 데 주력했다”며 “LG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실질적인 탄?Ê중립 성과를 만들어가며 기후변화 위기 선제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3.02.05 10:00

3분 소요
카카오, 제주 오피스 사용 전력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

IT 일반

카카오는 자사 제주 사업장이 ‘RE100’을 달성했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는 의미다.카카오는 제주 오피스가 에너지 정보기술(IT) 소셜벤처 식스티헤르츠와 업무 협약을 체결,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했다고 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사용 전력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자발적 약속인 ‘RE100’을 달성했다.카카오 측은 “재생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시민의 손을 통해 직접 생산된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구매하게 됐다”며 “2022년 한 해 동안 제주 오피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소모된 전력의 전량을 친환경 태양광 에너지로 조달했다”고 전했다.카카오는 식스티헤르츠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지난해 전국시민발전협동조합연합회(이하 연합회)에 소속된 전국 각지의 시민조합이 생산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했다. 식스티헤르츠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재생에너지 구독 서비스 ‘월간햇빛바람’ 등을 운영하고 있다.연합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에너지 협동조합 연합 단체로 약 90개의 시민 조합과 약 1만 명의 조합원으로 구성된 단체다. 회원들은 약 240개의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이번 제주 오피스 RE100을 기점으로 카카오는 향후 재생에너지 조달 규모를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사업 운영 과정에서 이용하는 전체 전력 사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100%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카카오는 2022년 4월 기후 위기 대응 원칙을 수립한 바 있다.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Active Green Initiative)를 발표하고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차원의 대응을 넘어,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제로(Carbon-zero)를 목표로 하는 넷 제로(Net-ZERO)도 추진 중이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활동을 통해 2022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DJSI World) 2년 연속 편입한 바 있다.박훈영 카카오 환경경영TF장은 “이번 제주 오피스 RE100 달성은 기업을 넘어 사회적 차원의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앞으로 카카오와 이용자, 파트너를 비롯해 사회구성원 모두가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다양한 임팩트로 이어져 함께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추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3.02.01 21:52

2분 소요
하나금융그룹, 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 나선다

은행

#하나금융지주가 ESG 경영 확대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외 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먼저, 주요 관계사인 하나증권은 2021년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시장조성자로 선정된 바 있다. 하나증권은 탄소배출권의 매수-매도 양방향 호가를 매일 제시하고 거래함으로써 탄소배출권의 가격 변동성 완화와 거래 유동성을 제고하는 등 합리적인 탄소 가격 형성을 통한 국내 탄소배출량 저감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지난해 국내 증권사 최초로 탄소감축 의무가 없는 기업이나 기관 등이 탄소배출 감축에 동참하는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의 거래 중개를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아울러 자발적 탄소 감축 프로젝트를 발굴해 참여하는 등 탄소배출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또 지난해 4월에는 방글라데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태양광 정수시설 보급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싱가포르 탄소배출권 거래소 씨아이엑스(CIX, Climate Impact X)와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탄소배출권 시장에서도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한편 하나금융은 2021년 그룹 ESG 비전인 ‘빅스텝 포 투모로우’(Big Step for Tomorrow)를 수립했다. 이를 통해 2022년 4월 개최된 이사회 산하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그룹의 ‘2050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결의하고 환경과 사회적 책임이행을 위한 진정성 있는 ESG 경영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이를 통해 국제적 표준으로 자리잡은 ‘과학기반 감축목표’를 기반으로 사업장뿐만 아니라 자산 포트폴리오의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수립했다. 지난해 10월 ‘에스비티아이’(SBTi,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Science Based Target initiative)로부터 공식 인증까지 획득한 바 있다.하나금융 관계자는 “하나금융은 ESG 경영 확대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외 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 고탄소 업종 관리 강화, 친환경 사업장 확대 등 탄소 배출 감축 노력을 이행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그룹 차원에서 자발적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참여,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구매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한 탄소배출량 감축 이행을 실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3.01.20 14:23

2분 소요
포스코건설, 협력사와 구매 공급망 탄소저감 추진

건설

포스코건설이 협력사와 구매 공급망 전반에 대한 탄소 저감을 위해 손을 잡았다고 2일 밝혔다. 포스코건설은 설비제작사와 기업신용평가 전문기관과 함께 협력사의 설비 제작단계부터 탄소를 저감하는 밸류체인(Value Chain) 탄소감축을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포스코건설은 탄소 감축과 저탄소 Biz 확대를 위한 ‘2050 Carbon Negative’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 전략은 포스코건설이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건설업계 최초로 수립한 중장기 탄소감축 로드맵이다. 포스코건설은 지난달 31일 인천 송도사옥에서 송풍기 제조사인 시스템벤트와기업신용평가 전문기관인 이크레더블사와 함께 ‘건축용 송풍기 탄소산정체계구축’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포스코건설은 향후 2년간시스템벤트에 약 1900대의 건축용 송풍기 제작을 의뢰하고, 제작기간 4개월 동안 설비제조사 맞춤형으로 CFP(Carbon Foot Print, 탄소발자국 = 탄소배출량)를 산정하는 도구를 개발해 탄소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산정할 예정이다. 이크레더블은 설비제조사의 생산공정을 분석하고 제품 제조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 후 전과정 (LCA : Life Cycle Assessment) 탄소배출현황을 평가해 해당 제작사의 사업장 탄소배출량을 산정한다. 송풍기 제조사인 시스템벤트는 송풍기 커버 재질을 기존 일반철판에서 포스코 프리미엄 강판인 포스맥(PosMAC)으로 바꾸고, 절단·용접·도장 등이 불필요한 벤딩 방식으로 변경해 제작과정 중 발행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90%까지 감축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2년간 시스템벤트가 포스코건설에 납품하는 송풍기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중 24.9tCO2(이산화탄소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년 된 소나무 약 6284그루가 연간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건설은 앞으로 타협력사에도적극 확장해 설비제조사들이 자체적으로 탄소배출량 관리하고 환경부에서 발급하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난 2월 EU 집행위원회에서 발표한 공급망 실사지침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포스코건설은 그룹사 기업시민 실천을 위해 협력사 ESG 평가체계를 도입해 공급망 체질을 개선하는 중이다. 특히 환경 및 안전 부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난해에는 건설사 최초의 ‘공사 협력사 ESG 평가모형’ 개발 후 모든 등록업체 평가를 완료했고, 안전에 취약한 협력사는 컨설팅을 통해 ESG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설비제조 협력사 ESG 평가모형’을 구축하고 환경 영향도를 고려해 단계적으로 설비 협력사들을 평가함으로써 전반적인 공급망관점의 탄소배출 저감 및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11.02 18:04

2분 소요
‘자연→식탁→자연’ CJ제일제당의 선순환…ESG 경영철학 실천

유통

CJ제일제당이 지속가능경영(ESG)를 통해 ‘사업보국’ 경영철학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자연에서 소비자 식탁으로, 다시 자연으로 되돌리는 CJ제일제당의 내츄럴 투 내츄럴’ 선순환 실현을 위해 ‘건강과 안전’, ‘지속 가능한 환경’ 두 가지 핵심 공유가치 창출을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다. ━ ‘지속가능경영 위원회’ 주축…ESG 경영 추진 CJ제일제당은 지속가능경영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지속가능경영 위원회’를 주축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전략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위원회는 최은석 대표이사와 사외이사 4인 등 총 5인으로 구성돼 있다. 위원회 산하에는 최 대표가 의장인 ‘지속가능경영 협의체’가 구성됐으며 올해 신설된 ESG센터에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도 펼치고 있다. 2020년에는 순환 자원 인증 등을 통해 전년에 비해 7.7배 개선된 총 5577톤의 폐기물을 줄였고, 재활용 소재 활용, 경량화 등 패키징 기술 개발을 통해 1019톤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1527톤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했다. 또 해양 등의 자연환경에서 생분해되는 플라스틱 소재인 PHA를 개발, 시중 제품 포장비닐에 세계 최초로 적용하는 등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이사회로부터 ‘2050년 탄소중립 및 제로 웨이스트’ 실현을 위한 2030년 중장기 목표와 전략 등을 담은 로드맵도 승인 받았다. 핵심 전략 방향은 사업장의 탈(脫)탄소 에너지 전환, 제품과 솔루션의 친환경적인 혁신, 공급망∙협력사 등 가치사슬 전반의 그린 파트너십 구축 세 가지다. 3대 핵심 전략을 토대로 온실가스∙에너지∙물∙폐기물 등 각 영역별로 12가지 과제를 도출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는 전 사업장의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25% 감축한다. 전력 에너지원은 2030년까지 미주∙유럽 사업장부터 기존 화석연료를 재생∙바이오 에너지로 100% 전환하고, 2050년 아시아 지역까지 확대한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친환경 에너지 공급망 구축한다. CJ제일제당은 K-푸드 전진기지인 충북 진천 CJ블로썸캠퍼스에 목재 연료(바이오매스)로 공장을 가동하는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나무를 숯으로 만드는 과정(Biochar)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사용하는 친환경 에너지 공급망으로, 내년 착공해 2025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공급시설은 3만9600㎡(1만 2000평) 규모로 시간당 50톤 규모의 스팀 에너지 공급 능력(CAPA)을 갖출 예정이다. 이 시설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는 기존 화석 연료인 LNG(천연가스)를 대체한다. 물 사용의 효율성도 높이고 매립 폐기물은 제로화한다. 수자원이 취약한 지역임에도 취수량이 많은 중국, 인도네시아 사업장부터 단계적으로 물 사용 저감 설비투자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제품 생산량당 취수량을 10∼20% 줄인다. 매립 폐기물은 현재 제로화 수준(0.4%)인 국내 역량을 글로벌로도 확대해 2030년까지 국내외 전 사업장 매립 제로화를 추진한다. 식품 기부 및 재활용을 확대해 식품 손실∙폐기량도 50% 감축할 예정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경영철학인 ‘사업보국’에 뿌리를 두고 소비자, 주주,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신뢰를 주는 지속가능한 경영 체제 구축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송현주 기자 shj1004@edaily.co.kr

2022.10.30 16:00

2분 소요
한화솔루션, 재생 소재로 친환경 포장재 시장 진출

산업 일반

한화솔루션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위해 재활용 폴리에틸렌(rPE) 사용 확대에 나선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이달부터 rPE 포장백을 여수와 울산 공장에서 출하되는 자사 제품 포장에 사용한다고 19일 밝혔다. rPE는 각종 폐기물에서 추출한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재생 원료로 가공한 소재다. 한화솔루션은 기존 산업용 포장백에 쓰이는 일반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재생 소재인 rPE로 대체해 자원 순환 효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2030년까지 EVA(고탄성 화학 소재) 등 자사 제품에 쓰이는 산업용 포장백의 80%를 rPE 포장백으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한화솔루션의 rPE 포장백 상업화는 소재 개발부터 포장백 적용까지 전 과정에서 한화솔루션 자회사인 한화컴파운드, 재생플라스틱 제조기업인 대우R&C, 포장백 제조기업인 삼화수지·신림산업주식회사(SLP)가 협력했다. 한화솔루션은 산업용 재생 포장백을 시작으로 생필품 포장재, 화장품 용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rPE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해당 분야의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력과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재식 한화솔루션 PO(폴리올레핀) 사업부장은 “한화솔루션 사업장의 rPE 포장백 사용량이 연 1600t까지 늘어나면, 승용차 620대분의 연간 탄소배출량인 2100t의 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며 “rPE 소재 등 다양한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고 공급을 확대해 탄소 감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2022.04.19 13:07

1분 소요
中 징둥 시안 스마트 물류센터, 지난해 탄소중립 달성

차이나 포커스

(베이징=신화통신)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京東)이 산시(陝西)성 시안(西安)에 설립한 'Asia No.1' 스마트 물류센터가 지난해 탄소중립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징둥에 따르면 스마트 물류센터 지붕에는 10만㎡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어 친환경 에너지를 꾸준히 생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물류센터의 자동화 설비 작동뿐 아니라 전기차도 충전하며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당하고 있다. 징둥의 물류 자회사인 JD로지스틱스 관계자는 이곳에 배치된 패키지 분류 및 피킹 로봇이 조명 없이도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분당 2천283㎾h(킬로와트시)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반 가정의 1년 반치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수치다. JD로지스틱스는 중국 내 50개 이상 도시의 사업장에 약 2만 대에 달하는 신에너지차를 배치했다. 이는 충전 인프라와 결합해 연간 약 4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매년 2천만 그루의 나무가 흡수하는 양에 해당한다. 스마트 물류센터는 중국정부인증탄소배출권(CCER)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다. 시안에 위치한 'Asia No.1' 스마트 물류센터는 중국 서북 지역에서 규모가 가장 큰 물류센터 중 하나로 2019년 운영을 시작했다. 약 30만㎡의 건축면적을 갖춘 이 물류센터는 하루 평균 50만 건의 택배를 분류할 수 있다.

2022.03.11 10:15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