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58

반도체·승용차 수출 호조에 1~10월 수출액 3.8% 증가

정책이슈

새해 초 수출이 반도체·승용차 등에 힘입어 '플러스'로 출발했다.13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60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8%(5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3000만 달러로 마찬가지로 3.8% 증가했다. 이달 10일까지 조업일수는 7.5일로 작년과 같았다.월간 수출액은 작년 12월까지 15개월 연속 증가세다. 전달 수출은 6.6% 늘면서 역대 12월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이달 1∼10일 수출액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3.8%), 승용차(4.7%), 선박(15.7%)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석유제품(-47.0%), 자동차 부품(-6.7%) 등 감소했다.국가별로는 중국(3.4%), 미국(1.4%), 베트남(26.3%) 등으로 수출이 1년 전보다 늘었다. 유럽연합(EU·2.5%), 일본(-4.2%)으로 수출은 줄었다. 중국·미국·베트남 등 상위 3국의 수출 비중은 48.1%로 집계됐다.1∼10일 수입액은 190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6%(4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품목별로는 반도체(26.1%), 가스(15.0%) 등에서 늘었고 원유(-4.2%), 석유제품(-6.4%), 기계류(-1.3%) 등은 줄었다.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29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조익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10일까지 수출은 반도체·선박 철강 등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새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무역수지의 경우 적자를 보였으나 이는 월초에 수입이 집중되며 발생한 일시적 현상으로 월말로 갈수록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1.13 09:19

2분 소요
작년 수출 6838억 달러 ‘역대 최대’...무역수지 518억 달러 흑자

국제 경제

지난해 한국의 수출이 역대 최대인 6838억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수지는 518억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작년 한 해 반도체 수출이 1419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전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4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2024년 수출액은 전년보다 8.2% 증가한 6838억달러를 기록, 기존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22년 6836억달러를 넘어섰다.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은 43.9% 증가한 1419억달러로 기존 최대 기록이던 2022년의 1292억달러를 웃돌았다. 작년 반도체 분기별 월평균 수출액은 1분기 103억달러, 2분기 116억달러, 3분기 122억달러, 4분기 132억달러를 나타냈다.산업부는 작년 4분기 들어 범용 메모리 가격 하락에도 DDR5·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수출이 연말로 갈수록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2024년 한국의 수입액은 전년보다 1.6% 감소한 6320억달러였다. 작년 한국의 무역수지는 51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018년(697억달러 흑자) 이후 최대 규모 흑자다. 무역수지는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478억달러, 103억달러의 적자를 봤다가 지난해 3년 만에 다시 연간 흑자로 돌아섰다.산업부는 지난해 반도체 등 IT 품목, 선박, 자동차 등 주력 품목과 바이오헬스·농수산식품·화장품 등 소비재 품목이 고르게 호조세를 보여 역대 최대 수출 실적과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에 기록했다고 평가했다.작년 12월 수출액은 12월 수출액은 613억8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6.6% 증가하며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한국의 월간 수출은 2023년 10월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된 뒤 15개월째 전년 같은 달보다 증가하고 있다. 작년 12월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31.5% 증가한 145억달러로 월간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한국의 작년 12월 수입액은 548억9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이로써 작년 12월 무역수지는 64억9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2025.01.01 10:21

2분 소요
K-철도팀, 우주벡 고속철도 건설 타당성조사 나선다

정책이슈

'K-철도팀'이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자금으로 발주된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건설사업 타당성 조사(F/S) 사업'을 추진한다.13일 한국철도공사에 따르면 코레일, 국가철도공단, 삼안, 동명기술공단으로 구성된 K-철도팀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와 사마르칸트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신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수행한다.2026년 3월까지 15개월간 진행될 이번 사업은 우즈베키스탄 신규 고속철도망 구축을 위한 현지조사, 장래 교통수요 예측, 기반시설 기본계획 수립, 사업비 산출 및 경제성 분석, 초청 연수 등으로 구성됐다.코레일과 철도공단은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설계 및 건설 단계부터 운영·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타당성 조사를 시행해 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이번 수주는 고속철도 건설·운영 경험을 축적한 K-철도팀이 입찰에 참여해 거둔 성과인 만큼 한국의 선진 고속철도 기술력을 우즈베키스탄에 전수할 수 있을 것으로 코레일 측은 기대하고 있다.코레일 관계자는 "지난 6월 고속철 차량을 최초로 수출한 데 이어 고속철도 건설, KTX 20년 운영 경험 등을 바탕으로 중앙아시아 시장에 진출할 발판을 마련했다"며 "한국철도 기술력을 세계로 수출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4.12.13 10:59

1분 소요
11월 수출 전년比 1.4% 증가...14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산업 일반

올해 11월 수출이 증가세를 이어가며 지난해 10월 이후 14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유지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규모를 키운 덕이다. 다만 자동차 수출은 생산량 감소와 기상 악화에 따른 선적 차질로 마이너스 전환했다.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11월 수출입 동향'을 1일 발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11월 수출액은 563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증가했다. 수출액은 지난해 10월 증가율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된 이후 14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15대 주력 수출품 동향을 보면, 반도체 수출은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11월 반도체 수출액은 125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8% 증가했다. 역대 11월 중 최대 실적이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반도체 수출액도 누적 1274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4% 증가했다.또 다른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는 11월 수출이 56억달러로 전년 대비 13.6% 감소했다. 주요 자동차 부품 업체의 파업과 임금·단체협상 지연 영향으로 완성차 업체로 부품 공급 차질이 발생하면서 자동차 생산량이 감소해서다. 11월 말 기상 악화로 수출 차량 선적이 지연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바이오헬스 수출액은 14억달러로, 전년 대비 19.6% 증가했다. 5개월 연속 플러스 기조를 유지하며 역대 11월 중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철강 수출액도 그동안의 부진을 털고 27억달러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철강 수출액은 올해 10월 수출 플러스로 돌아섰고, 2개월 연속 증가세다.대미·대중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들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각각 5.1%, 0.6% 감소했다. 11월 대미 수출은 104억달러로 3개월 연속 100억달러를 넘겼지만, 지난해보다 5.1% 줄었다. 같은 기간 대중국 수출은 113억달러로 5개월 연속 110억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하지만 전년 대비 0.6% 줄었다.한편, 11월 수입액은 507억4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11월 무역수지는 56억1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지난해 6월 이후 18개월 연속 흑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연말까지 단 1달러라도 더 수출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모든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2024.12.01 10:22

2분 소요
9월 수출 7.5% 증가…반도체 ‘사상최대’ 날았다

산업 일반

한국의 9월 수출이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감소했음에도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수출은 12개월째 '플러스' 흐름이 이어졌다. 특히 9월 반도체 수출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9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9월 수출액은 587억7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7.5% 증가했다.작년 10월 수출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된 뒤 12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보다 수출이 증가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올해 9월 수출은 역대 9월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9월 조업일수 일평균 수출액은 29억4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무선통신기기·컴퓨터·자동차·선박·바이오헬스 6개 품목의 수출이 늘어났다.특히 한국의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은 11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9월 반도체 수출액은 136억달러로 작년보다 37.1% 증가했다.2위 수출 품목인 자동차 수출액은 작년 같은 달보다 4.9% 증가한 55억달러를 기록, 역대 9월로는 가장 많았다.월간 자동차 수출은 4개월 만에 다시 전년 동월 대비 증가로 돌아섰다.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한 컴퓨터 수출은 132% 증가한 15억달러로 9개월 연속 수출이 늘었다.무선통신기기·선박·바이오헬스 수출도 각각 19억달러·24억달러·12억달러로 각각 작년보다 19%·76.2%·9.9% 늘어났다.지역별로는 대중국 수출액이 반도체·무선통신기기 수출 호조 속에서 6.3% 증가해 올해 들어 가장 높은 117억달러를 나타냈다.대중 무역수지도 수출 증가 덕분에 5억달러 흑자를 내면서 7개월 만에 다시 흑자로 돌아섰다.9월 대미 수출액은 3.4% 증가해 역대 9월 중 가장 높은 104억달러를 기록했다.유럽연합(EU) 대상 수출도 무선통신·컴퓨터 등 IT 품목 수출 호조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1% 증가한 60억달러를 나타내 두 달 연속으로 월별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한국의 9월 수입액은 521억2000만달러로 작년 대비 2.2% 늘어났다. 원유와 가스 수입액이 각각 11.6%, 0.6% 감소하는 등 전체 에너지 수입액은 8.4% 감소한 104억달러를 나타냈다.이로써 9월 무역수지는 66억6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 이후 16개월 연속 흑자다.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2024년 수출이 상고하고(上高下高) 양상을 뚜렷하게 보인다"며 "이런 호조세가 연말까지 이어져 올해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민관 원팀으로 수출 확대에 모든 가용한 자원을 집중해 총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4.10.01 10:40

2분 소요
8월 수출 11.4%↑…11개월 연속 플러스

산업 일반

한국의 올해 8월 수출이 작년 8월보다 11.4% 증가했다. 이로써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는 '수출 플러스' 흐름이 11개월 연속 이어졌다.최대 수출품인 반도체의 8월 수출은 120억달러에 육박하며 역대 8월 중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8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8월 수출액은 579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4% 증가했다.지난해 10월 수출 증가율이 플러스로 돌아선 이후 11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이 증가하는 흐름이 계속됐다.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를 비롯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석유제품, 선박 등 7개 수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고, 자동차 등 8개 품목은 수출이 전년 대비 줄었다.수출 주력인 반도체는 10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8월 반도체 수출액은 119억달러로 작년보다 38.8% 증가했다. 이는 역대 8월 중 최대 수출 실적이다.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 50% 이상을 유지한 데 이어 8월에도 40%에 가까운 증가율을 기록하며 한국 수출을 견인했다.8월 자동차 수출은 51억달러로 작년보다 4.3% 감소했다. 산업부는 일부 자동차업체의 생산라인 현대화 작업과 임단협 관련 부분파업 등에 따른 가동률 하락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선박 수출은 작년보다 80.0% 증가한 28억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시장 중 8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한국 수출의 양대 축인 대중(對中)·대미(對美) 수출 모두 10% 안팎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8월 대중 수출은 작년보다 7.9% 증가한 114억달러로 지난 3월 이후 6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 수출 기록을 이어갔다.대미 수출도 11.1% 증가한 100억달러로 역대 8월 중 최대를 기록하며 13개월 연속 월별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정보기술(IT) 업황 개선 흐름 속에서 반도체 등 중간재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올해 1∼8월 누적 대중 수출은 862억달러로 미국(847억달러)을 제치고 2개월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작년 12월 이후 미국과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대미 수출 호조로 상반기(1∼6월)까지는 대미 수출(643억달러)이 대중 수출(634억달러)보다 많았다.8월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작년보다 16.1% 증가한 64억달러를 기록하며 7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이는 역대 월간 기준 최대 실적이다.EU로의 수출 증가는 선박, 무선통신, 컴퓨터 등 IT 품목 수출 증가가 이끌었다.한국의 8월 수입액은 540억7000만달러로 작년 대비 6.0% 늘어났다. 이에 따라 8월 무역수지는 38억3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 이후 15개월 연속 흑자다. 올해 1∼8월 누적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306억달러로, 지난해 전체 적자 규모인 103억달러의 3배 수준을 기록했다.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8월 수출이 역대 8월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주요 수출 시장 대다수가 플러스 성장세를 나타내며 역대 최대 수출 실적 달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면서 "정부는 수출 확대를 위해 연말까지 가용한 자원을 집중해 민관 원팀으로 수출 총력전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09.01 10:38

3분 소요
해외서 인기 폭발 'K라면'…수출 '월 1억달러' 첫 돌파

산업 일반

한국 라면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면서 수출 금액이 월간 기준 1억 달러를 돌파했다. 연간 수출액 10억달러 돌파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수출액은 1억859만달러(약 1470억원)로 작년 동월(7395만달러)보다 무려 46.8% 증가했다.이번 증가율은 2022년 5월의 49.3% 이후 1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라면 수출액은 기존 월 최대 기록인 지난 2월의 9291만달러보다도 훨씬 높았다. 올해 1∼4월 라면 수출액은 3억7886만달러(약 5000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34.4% 늘었다. 같은 기간 라면 수출 중량은 9만4310t(톤)으로 27.5% 증가했다. 라면 수출 금액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동안 매년 늘어난 모습이다. 올해는 10년 연속 증가를 기록하는 데 이어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된다.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9억524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는 현재 추세라면 11억달러를 웃돌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면은 코로나19 이후 저장이 쉬운 간편식품으로 수요가 증가했다.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한 2020년, 라면 수출액은 29.2% 급증했다. 이후에도 2021년 11.7%, 2022년 13.5%로 꾸준히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 증가폭은 24.4%로 커졌다.한국의 라면 수출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4억6천700만달러)과 비교하면 4년 만에 2배로 성장했다.최근 한국 라면 수출의 상당 부분은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으로 알려졌다. 삼양식품은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 3천857억원과 영업이익 801억원을 거뒀다고 지난 16일 공시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57%, 영업이익은 235% 각각 늘었다. 업계에서는 K팝 스타들이나 한국 드라마, 영화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한국 라면의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고물가 상황에서 간편한 한끼 식사가 인기를 끌며 라면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024.05.19 09:15

2분 소요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車·반도체 수출 호조

산업 일반

한국의 4월 수출이 지난해 동기보다 13.8% 증가하면서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은 역대 최대를 경신했고, 반도체 수출도 호조세를 이어갔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4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4월 수출액은 562억6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8% 늘어났다. 월 수출 증가율은 작년 10월 플러스 전환 이후 7개월 연속 증가세다. 핵심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도 지난해 부진에서 완전히 벗어나 6개월 연속 증가세다. 4월 반도체 수출액은 99억6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56.1% 증가하며 역대 4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4대 IT 품목인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는 지난 3월에 24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 품목 수출이 동반 증가한 데 이어 2개월 연속으로 같은 흐름을 이어갔다.디스플레이(16.3%)와 컴퓨터(76.2%)는 각각 9개월, 4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무선통신기기(11.4%) 수출도 2개월 연속 증가했다.전기차 판매 증가세 둔화로 지난 2∼3월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자동차 수출은 4월 67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해 역대 최대액을 경신하며 플러스로 돌아섰다.이외에도 바이오헬스(21.3%), 석유제품(19.0%), 석유화학(12.3%), 가전(9.4%), 선박(5.6%), 자동차 부품(2.9%), 섬유(1.7%), 일반기계(1.5%) 등도 증가했다.지역별로는 양대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대미 수출은 작년보다 24.3% 증가한 114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9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대중국 수출은 작년보다 9.9% 증가한 105억 달러로 2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기며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다.한국의 4월 수입액은 547억3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5.4% 늘었다. 수입 증가는 작년 2월 이후 14개월 만이다.정유사 가동률 상승과 발전용·산업용 가스 도입 수요 증가에 따라 원유(17.8%), 가스(21.9%) 등 에너지 수입액이 늘어난 것이 전체 수입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이로써 4월 무역수지는 15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 이후로 11개월 연속으로 흑자가 이어지고 있다.한편 올해 4월까지 누적 무역수지는 106억 달러로 작년 전체 적자 규모(103억 달러)를 뛰어넘으며 5년 만에 최대 흑자를 달성했다.

2024.05.01 11:22

2분 소요
1월 반도체 수출 56.2% 증가 등 수출 회복세 뚜렷

산업 일반

한국의 올해 1월 수출이 20% 가까이 증가해 4개월 연속으로 ‘수출 플러스’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 수출이 작년보다 50% 이상 늘어나는 등 전반적인 수출 회복세가 뚜렷해지는 추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1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1월 수출액은 546억9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8% 증가했다. 월간 수출은 작년 10월 ‘수출 플러스’로 전환하고 나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월 수출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2022년 5월(21.4%) 이후 20개월 만이다.반도체 수출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1월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56.2%로 2017년 12월 이후 6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의 1월 수입액은 543억9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7.8% 줄었다.이로써 1월 무역수지는 3억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부터 8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2024.02.01 09:45

1분 소요
[속보] 10월 수출 16억4000만 달러…13개월 만에 ‘역성장’ 탈출

산업 일반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10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수출은 지난 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1% 늘어난 550억9000만 달러, 수입은 전년 대비 9.7% 감소한 534억6000만 달러였다. 무역수지는 16억4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 플러스(전년 동기대비 성장)과 무역 흑자를 동시에 달성한 건 20개월만이다. 우리나라 월간 수출은 반도체 및 대(對)중국 수출 부진 여파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작년 동월 대비 감소했지만 이번 ‘수출 플러스’ 회복으로 부진 흐름을 끊어냈다.

2023.11.01 09:29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