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태 한국은행' 검색결과
3 건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처음으로 일본을 제쳤다.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 6위에 올랐다. 5일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질 GNI는 전기 대비 2.4% 늘어난 567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0.6% 증가했다. 1분기 상승 폭 기준으로는 2016년 이후 최대다. GNI는 전체 국민이 일정 기간 벌어들인 임금과 이자, 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친 숫자다.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이에 비해 GDP는 국가 경제 규모를 보여준다.1분기 GNI 증가는 실질무역손실이 작년 4분기 17조원에서 11조3000억원으로 축소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계정 기준연도를 개편한 영향도 있다. 한은은 이날 국민계정 통계 기준년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바꾸고, 먼저 2000∼2023년 시계열에 반영했다. 기준년 개편은 5년마다 이뤄지며 이번이 13차 변경이다. 이번 개편으로 그동안 반영되지 않은 소규모 사업자가 많이 포착되면서 경제 규모가 커졌다.한국의 1인당 GNI는 3만6194달러로, 전년 대비 2.7% 늘었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3만 6194달러로 인구 5000만 명 이상 국가 중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에 이어 6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4만 달러 달성도 곧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이날 설명회에서 "예측이 어렵지만 환율이 조금 안정된다는 전제하에 수년 내 4만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장은 "달러 기준으로 2022년 우리나라 명목 GDP는 세계 12위를 기록했다"며 "유엔(UN) 공식 통계로 지난해 우리나라 명목 GDP는 1조8394억달러로 12위를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1인당 GNI 기준으로 일본은 우리나라 수준을 밑돌았다. 다만 우리나라가 일본의 1인당 국민소득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일본의 초엔저 정책 등 환율 덕분 또한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최 부장은 "일본은 통화가치 하락에 따라 1인당 GNI 순위가 우리나라보다 낮아졌다"고 했다.
2024.06.05 18:34
2분 소요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1.4%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최정태 한국은행 국민계정부장은 이날 열린 ‘2023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잠정)’ 설명회에서 “산술적으로 계산해 보면 2023년 성장률 1.4%가 될 가능성이 지난 속보치 발표 시점보다 소폭 높아졌다”며 “반도체 수출의 회복 흐름이 지속하고 대(對)중국 수출 부진도 점차 완화돼 수출은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0.6%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4% 증가해 전 분기에 기록한 0.9% 증가율보다 높아졌다.특히 수출이 3분기 들어와 전 분기 대비 3.4% 증가했다. 2분기에는 0.9% 감소를 기록한 바 있다. 3분기 수입도 3분기에 2.3% 증가했다. 지난 분기에는 3.7% 감소했다. 한은은 반도체 업황 회복이 나타난 것으로 파악했다. 최 부장은 “반도체 업황과 관련해 메모리 가격이 하락세를 멈추고 수출과 생산이 2분기 연속 전기 대비 증가했다”며 “이를 고려했을 때 회복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반도체 수출 물량은 2분기 이후 전기 대비 증가를 지속하고 있다”며 “11월 들어서는 통관 수출도 14개월 만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도체 생산의 성장 기여도도 2분기 연속 플러스를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이어 “3분기의 생산자 재고 증감을 보면 증가 폭이 많이 축소됐다”며 “특히 반도체 재고가 지난 분기 말보다는 수준이 높은 상태지만 지난 7~8월에 비해서는 9월 재고가 많이 빠졌다”고 말했다. 한은에 따르면 민간소비는 음식숙박과 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3% 증가했으며, 정부소비도 사회보장현물수혜가 늘어나면서 0.2% 확대됐다. 최 부장은 “민간소비는 개인 신용카드 사용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소비는 지금 완만한 회복 흐름이 지속되는 걸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날 한은에 따르면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보다 0.5% 증가했다. 2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0.7% 감소한 바 있다. 실질 GNI 증가율은 1.6%를 기록했다. 2분기 총저축률은 전기 대비 0.6%p 하락한 32.9%로 집계됐다.
2023.12.05 10:46
2분 소요
한국은행은 지난달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202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민계정회의(WPNA)에서 최정태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이 집행위원(Bureau Member of WPNA)으로 위촉됐다고 1일 밝혔다. 최 부장의 OECD WPNA 집행위원 활동기간은 2023년 1월부터 2025년 12월까지다. 최 부장은 앞으로 OECD WPNA에 참가해 국민계정관련 의제 선정, 일정 수립 등 제반 사항을 결정할 예정이다. OECD WPNA는 OECD·유엔(UN)·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와 OECD 회원국의 국민계정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연례 회의다. 매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며 국민계정관련 주요 이슈들이 논의되고 있다. OECD WPNA 집행위원회는 OECD 회원국의 국민계정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다. 한국은행은 “한은이 OECD WPNA 집행위원을 배출하게 된 것은 국제사회가 우리나라의 GDP 통계 등 국민계정 편제 능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인정한 것”이라며 “향후 국제 논의에서 한국은행이 한국의 입장을 주도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2022.11.01 10:46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