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28

SKT 소셜 메타버스 ‘이프랜드’ 내년 3월 서비스 종료

IT 일반

SK텔레콤이 소셜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ifland)를 내년 3월 31일자로 종료한다. 2021년 서비스를 시작한 지 약 4년 만이다.SK텔레콤은 종료 시점까지 유료 구매 건을 전액 환불 처리하고, 사용자 요청 시 사진과 영상 등 데이터 백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환불 신청은 별도 신청 페이지를 통해 진행되며 구체적인 방법은 추후 이프랜드 앱과 웹을 통해 상세히 안내될 예정이다.이 같은 결정은 SK텔레콤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컴퍼니'로 방향을 잡은 데 따라 더 많은 자본을 AI에 투입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SK텔레콤은 “이프랜드를 운영하며 축적해온 3D 이머시브 콘텐츠 제작, 글로벌 서비스 운영 등 메타버스 역량을 AI와 융합해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전환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16 21:59

1분 소요
영원한 통신 라이벌 SKT vs KT

IT 일반

SK텔레콤과 KT는 오랜 기간 라이벌 관계를 이어 온 국내 대표 통신사들이다. 과거 2세대(2G) 이동통신 서비스 시절부터 5G까지 가입자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 왔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AI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지난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이동통신 3사의 휴대전화 회선 수는 4744만2178개다. 이는 전년(4822만2955개) 대비 78만5317개 줄어든 수치다. 알뜰폰(MVNO) 가입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회사별로 살펴보면 SK텔레콤의 휴대전화 회선 수는 2298만1548개로 전년보다 30만661개 줄었다. 같은 기간 KT와 LG유플러스의 휴대전화 회선 수는 1351만6756개, 1094만3874개로, KT는 22만9959개, LG유플러스는 25만4697개 감소했다. 5G 점유율 및 다운로드 전송 속도에서 앞선 SKT전체적으로 휴대전화 회선 수가 감소한 가운데 여전히 점유율 1위 자리는 SK텔레콤이 굳건히 지키고 있는 모습이다. 5G 회선 수 역시 SK텔레콤이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5G 회선 수는 SK텔레콤 1566만9858개, KT 983만4224개, LG유플러스 703만9808개다.5G 및 LTE(4G) 다운로드 전송 속도에서도 SK텔레콤이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2월 과기부가 발표한 ‘2023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 평가’에 따르면, 5G 다운로드 전송 속도는 이통 3사 평균 939.14메가비트(Mbps) 수준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4.8% 향상됐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이 987.54Mbps로 가장 빨랐다. KT는 948.88Mbps, LG유플러스 881.00Mbps였다. 아울러 LTE 서비스의 3사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78.93Mbps로 전년 대비 17.8% 향상됐다. 통신사별 LTE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 243.21Mbps, KT 171.31Mbps, LG유플러스 122.28Mbps였다. 그렇다면 지난해 SK텔레콤과 KT의 실적은 어떨까. 물론 유선사업까지 함께하고 있는 KT와 무선사업 위주의 SK텔레콤 실적을 단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연결 기준 사업 범위와 구조 역시 크게 다르다. 다만 지난해 영업이익 기준 SK텔레콤이 KT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SK텔레콤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7조6085억원, 영업이익 1조753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8%, 8.8% 증가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12조5892억원, 영업이익 1조4559억원을 기록했다.SK텔레콤의 이동통신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0.9% 증가한 10조554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은 전년 대비 3.1% 준 2만9562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자회사 SK브로드밴드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954만9000명,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는 692만6000명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매출 성장 요인 중 하나로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꼽았다. 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은 2024억원으로 전년 대비 30% 성장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클라우드관리서비스(MSP), 리커링(구독) 매출 성장 등에 힘입어 지난해 클라우드 사업 매출이 전년 대비 36.6% 증가한 146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지난해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에이닷’(A.)은 지난해 10월 출시한 아이폰 통화 녹음 및 요약 기능이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빠르게 이용자를 늘려가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아이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통화통역 기능을 선보였으며, 안드로이드에서도 올해 1분기 출시를 준비 중이다. 에이닷은 킬러 콘텐츠를 지속 추가하며 AI 에이전트 대표주자로 입지를 굳건히 할 방침이다.‘이프랜드’(ifland)와 ‘T우주’도 AI 플랫폼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낸다. 이프랜드는 지난해 5월 출시한 ‘이프홈’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연말 기준 월간 실사용자 수 361만 명을 기록했으며, 인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프랜드는 올해 생성형 AI와 결합해 ‘AI 페르소나’, ‘AI스튜디오’ 등 차별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KT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26조3870억원, 영업이익 1조649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9% 늘어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2022년도에 반영된 일회성 이익의 역기저 효과로 인해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18조3714억원, 영업이익 1조1854억원을 기록했다. 데이터센터·클라우드 매출 늘어난 SKT…금융·부동산·콘텐츠 등에서 빛 본 KTKT의 무선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와 로밍 매출의 견조한 성장과 더불어 알뜰폰 사업 확대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유선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0% 성장했다. 가정 내 집 전화 수요 감소로 인해 유선전화 매출이 전년 대비 7.6% 감소했으나, 초고속인터넷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순증이 지속 확대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은 고 ARPU 중심의 IPTV 가입자 유치로 매출이 전년 대비 2.3% 늘었다. 지니TV는 미디어 포털의 OTT 편의 기능과 AI 큐레이션 기능을 탑재해 미디어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으며, 그룹 콘텐츠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IPTV 1등 플랫폼으로서 리더십을 공고히 할 예정이다. 또한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요금제와 셋톱박스(STB) 출시 등을 통해 가입자 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기업서비스 사업에서는 디지털 전환(DX) 수요 증가와 더불어 인공지능컨택센터(AICC), 사물인터넷(IoT), 스마트모빌리티, 스마트 공간, 에너지 사업 등 5대 성장 사업의 성과가 돋보였다.기업인터넷·데이터 사업은 기업고객 트래픽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매출이 4.7% 성장했다. 5대 성장 사업은 AICC와 대기업 향 IoT 사업에서의 고객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이 2.4% 증가했다.또 금융·부동산·콘텐츠·DX 등 KT그룹 핵심 포트폴리오 사업의 성장세도 뚜렷했다. 금융 분야의 BC카드는 본업인 결제 프로세싱 매입액 증대, 자체카드·금융사업 등 신사업 성장세로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3.3% 성장했다. 케이뱅크도 수신과 여신 고객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말 수신 잔액은 약 19조1000억원, 여신 잔액은 13조8000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8%, 27.8% 증가했다. 같은 기간 누적 고객 수는 820만명에서 953만명으로 늘었다.KT스튜디오지니는 전년 대비 확대된 오리지널 콘텐츠 14편을 방영하며 제작사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 임대 매출 증가와 호텔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매출이 21.8% 증가했다. KT클라우드는 기존에 수주한 공공 클라우드 사업 매출화와 IDC 사업의 견조한 성장으로 지난해 6783억원의 연간 매출을 기록했다.

2024.03.25 07:32

5분 소요
SKT, 작년 영업이익 1조7532억원…전년比 8.8% 증가

IT 일반

SK텔레콤이 지난해 매출액 17조6085억원, 영업이익 1조7532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8%, 8.8% 증가했다. 순이익은 전년 대비 20.9% 늘어난 1조1459억원으로 집계됐다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12조5892억원, 영업이익 1조4559억원, 순이익 1조597억원이다.SKT의 AI 사업들은 그 동안 구축해 온 압도적인 AI 인프라와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올해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AI엔터프라이즈·AI반도체는 시장 수요의 가파른 성장과 함께 올해 빠르게 매출을 확대하며 AI 사업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해 정식 출시 후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AI 개인비서 A.(에이닷)은 올해 킬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가하며 AI 에이전트 시장을 선도한다는 전략이다.SKT는 AI 사업의 글로벌 확장에 있어서도 AI 데이터센터, AI반도체, telco 특화 LLM 사업, 엑스칼리버(X Caliber) AI 솔루션 등의 영역에서 연내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한다는 목표다.AI 데이터센터·AI 반도체·AI 얼라이언스…압도적 AI 인프라 자산 구축AI 컴퍼니의 근간이 되는 AI 인프라 영역에서는 데이터센터 사업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성장궤도에 올랐으며, 차세대 AI 반도체 상용화 등을 통해 글로벌 성장 기반을 탄탄히 했다. 멀티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언어모델) 전략도 글로벌 AI 플랫폼 구축으로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다.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30% 성장했다. AI 시대 본격화와 맞물려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SKT는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사업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SKT는 최근 전력 사용량을 40% 가까이 절감하는 액침냉각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는 등 AI데이터센터로의 진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SKT는 올해 신규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 진출도 구체화할 예정이다.AI 반도체 전문기업 사피온은 지난 11월 전작 대비 4배 이상의 연산 성능, 2배 이상의 전력효율을 갖춘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X330’을 출시,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사피온은 기존 제품을 SK브로드밴드, NHN클라우드 등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이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서버 제조사 슈퍼마이크로(Supermicro)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AI 서비스 구현의 중요한 축인 LLM은 ‘자강’과 ‘협력’ 투트랙 멀티 LLM 전략이 빛을 발해 글로벌 통신사(telco) 특화 LLM으로 도약중이다. 자체 LLM ‘A. X(에이닷엑스)’는 플랫폼 맞춤형, 국내 최고 수준 슈퍼 컴퓨터, 멀티 모달 기능 등의 강점에 기반해 지속적으로 성능 고도화를 이루며 SKT AI 서비스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엔트로픽, 오픈AI, 올가나이즈, 코난테크놀로지 등 국내외 유수 AI 기업들과 다양한 LLM 라인업을 아우르는 AI 플랫폼 준비도 순항중이다. SKT가 추진해온 telco 특화 LLM 역시 글로벌 telco와 AI 얼라이언스를 구축해 글로벌 확장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기업형 혁신 AI 마켓 플랫폼 오픈, 엔터프라이즈 AI 시장 선도 나서엔터프라이즈 AI 사업에서는 AI 인프라의 차별화된 자산에 기반해 기업 고객 특화형 혁신 AI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AI 마켓’을 오픈하고 본격 수익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1월 선보인 ‘엔터프라이즈 AI 마켓’은 에이닷엑스, 오픈AI 등 다양한 LLM중 고객이 원하는 LLM을 선택해 코딩 지식 없이도 간단하게 회사 업무에 AI를 적용 가능하다. SKT는 구독형과 공공, 금융 등 보안이 중요한 고객사 대상 온프레미스형 구축 사업을 병행해 올해 엔터프라이즈 AI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엔터프라이즈 사업에서는 사물인터넷(IoT) 회선 수주 확대를 지속하는 한편, AICC, 비전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AI 아이템을 발굴하며 성장을 도모 중이다. 클라우드 사업은 클라우드관리서비스(MSP)의 리커링(구독) 매출 성장 등에 힘입어 2023년 매출이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했다.UAM 사업은 올해 ‘K-UAM 그랜드 챌린지’ 실증사업에서 국내 최초로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의 실제 UAM 기체를 선보여, 국내 사업 주도권 선점은 물론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AI 헬스케어 사업에서는 AI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X Caliber)’의 해외 진출 국가를 빠르게 늘려가며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SKT는 지난 해 일본, 호주, 싱가포르의 메이저 의료기기 유통사, 보험사 등과 현지 동물병원 공급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 1월에는 미국 수의영상업체인 베톨로지(Vetology Innovations)와 협력을 체결하고 세계 최대 반려동물 시장인 미국 진출을 진행중이다.에이닷 킬러 콘텐츠 지속 추가, AI 에이전트 대표주자로 입지 강화지난 해 정식 서비스를 론칭한 ‘에이닷(A.)’은 10월 출시한 아이폰 통화 녹음 및 요약 기능이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빠르게 이용자를 늘려가고 있다. 12월에는 아이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통화통역 기능을 선보였으며, 안드로이드에서도 올해 1분기 출시를 준비중이다. 에이닷은 킬러 콘텐츠를 지속 추가하며 AI 에이전트 대표주자로 입지를 굳건히 할 방침이다.‘이프랜드(ifland)’와 ‘T우주’도 AI 플랫폼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낸다. 이프랜드는 지난 해 5월 론칭한 ‘이프홈’ 인기에 힘입어 지난 연말 기준 월간 실사용자 수 361만 명을 기록했으며, 인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프랜드는 올해 생성형 AI와 결합해 ‘AI 페르소나’, ‘AI스튜디오’ 등 차별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T우주’는 ‘유튜브 프리미엄’ 등 고객 니즈가 높은 서비스들과의 제휴를 통해 지난 해 말 기준 월간 이용자 235만 명 이상을 달성했다. T우주는 올해 넷플릭스 등 제휴 상품을 추가하는 동시에 AI 기반 구독 커머스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통해 규모감 있는 성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김양섭 CFO는 “지난 해 자체적인 AI 역량 강화는 물론 세계 유수 AI 기업들과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이미 5G 가입자 및 무선 매출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대내외환경도 녹록치 않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글로벌 AI 컴퍼니로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2023년 4분기 배당금은 주당 1,050원으로 이사회에서 의결됐다. 기 지급된 주당 2,490원을 포함해 연간 주당 3,540원으로, 3월 정기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또한, 작년 7월에 발표한 총 3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완료됐으며, 그 중 2000억 규모의 자기주식은 금일 소각했다.

2024.02.05 09:17

5분 소요
SKT,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공략 속도 낸다

IT 일반

SKT가 동남아 3개국 IT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에서 존재감 확대에 나선다.SK텔레콤은 최근 말레이시아의 ‘셀콤 디지(Celcom Digi)’, 인도네시아의 ‘아가테(agate)’, 필리핀의 ‘코스믹 테크(Cosimic Tech)’ 등 3개 기업과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ifland)’ 관련 퍼블리싱 파트너십 협력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셀콤 디지’는 말레이시아 1위 통신기업, ‘아가테’는 인도네시아 게임개발사 겸 퍼블리셔, ‘코스믹 테크’는 사물이동통신 플랫폼 및 디바이스 제조유통업체로, SKT는 이들 기업과 각각 MOU를 체결하며 이프랜드의 동남아시아 지역 이용자 확산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SKT는 전세계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기획과 콘텐츠 제작, 서비스 운영 등 핵심 영역에 집중하고, 파트너사들은 현지 특화 콘텐츠 개발과 마케팅, 1차 고객 지원 등 현지 서비스 활성화에 주력할 예정이다.특히, SKT는 이번 협약이 SKT와 파트너사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파트너사들은 초기 개발비 등의 투입 없이 메타버스 서비스 사업 경험을 얻을 수 있으며, SKT는 파트너사를 통해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맞는 콘텐츠를 시의 적절하게 공급하고 마케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KT는 3사와 이번 MOU 체결에 앞서 연초부터 논의를 시작해 지난 7월부터는 시범적으로 마케팅 협력을 진행하거나, 파트너사 전용 이프홈을 개설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체 이벤트를 개최하는 등 현지화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고 밝혔다.또한, 이들 3개 기업에 대한 지원과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공략을 위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힌디어, 스페인어 등 지원 언어 추가 ▲접속 지역별 고객 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추천하는 큐레이션(Curation) 기능 ▲글로벌 차원 서비스 품질 개선 등 필요한 기능을 개발 중이다.SKT는 향후 원활한 지역별 이프랜드 서비스 제공 및 활성화를 위해 파트너사들에게 더 많은 관리자 권한을 제공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 확산을 위해 미국, 인도, 유럽 등에서도 파트너사를 발굴해 글로벌 확장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한편, SKT는 지난해 11월 이프랜드를 49개국 앱 마켓에 선보이는 등 서비스의 글로벌 시장 확장에 나선 바 있다. 또한, 한국 한정이 아닌 특정 국가를 타깃으로 한 K팝 스타 버추얼 밋업(Virtual Meet-up) 등 글로벌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즐길 거리를 계속 발굴해 제공하는 등 이프랜드의 글로벌 시장 확산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SKT 양맹석 메타버스CO담당은 “동남아시아의 대표적 IT 기업 3곳과 협약을 맺고, 이프랜드에 국가별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더 많은 현지 기업들과 협약을 맺는 형태로 지역별 이프랜드 이용자들이 문화와 사회에 적합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3.11.27 16:47

2분 소요
글로벌 빅테크가 주도하는 메타버스 시장...새로운 기회 올까

IT 일반

최근 국내외 메타버스 관련 사업이 부진한 가운데, 업계 관계자들은 애플, 메타 등의 신규 메타버스 관련 기기 출시에 희망을 품고 있다. 특히 애플이 본격적으로 메타버스 시장에 뛰어들면서 관련 생태계 구축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메타(구 페이스북)은 지난 9월 28일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한 연례 컨퍼런스 ‘메타 커넥트 2023’를 개최했다. 메타 커넥트는 메타에서 매년 개최하는 쇼케이스 이벤트로 메타의 신제품 및 신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다. 올해는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메타 본사에서 오프라인 행사로 진행됐으며, 메타의 차세대 혼합현실(MR) 기기 ‘퀘스트3’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등이 공개됐다.메타, 퀘스트3 출시로 진보된 기술 선보여이번 컨퍼런스에 참석한 메타의 CEO이자 창립자인 마크 저커버그는 AI와 메타버스 기술이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메타의 비전과 방향성을 공유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메타의 최신 MR 기기 ‘메타 퀘스트3’는 가상현실(VR) 대중화를 이끈 ‘퀘스트2’의 후속작으로,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세계 최초의 보급형 MR 헤드셋이다. 메타 측은 이번 퀘스트3가 하드웨어 측면에서부터 역대 가장 진보된 기술을 집약한 제품이라고 밝혔다.퀘스트3는 ‘팬 케이크 렌즈’를 탑재하고 맞춤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으로 이용 편의를 높였다. 팬 케이크 렌즈는 기존 렌즈의 단점인 일부 콘텐츠 사라짐이나 섬광에 의한 눈부심 등을 상당히 없애 성능을 높이고 안구를 보호하는 렌즈다. 아울러 퀘스트3는 전작 대비 40% 이상 부피를 줄여 MR 기기 사용 부담을 최소화했다.여기에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높이기 위해 적외선 LED를 활용, 컨트롤러 없이도 핸드 트래킹(Hand Tracking) 기능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터치 플러스 컨트롤러’를 제공해 보다 매끄럽고 즐거운 MR 체험이 가능해졌다. 또한 퀘스트3에는 퀄컴과의 협업으로 개발한 확장 현실(XR) 전용 칩 ‘스냅드래곤 XR2 2세대 플랫폼’이 탑재됐다. 스냅드래곤 XR2 2세대는 1세대 대비 그래픽 처리 성능이 2배 향상돼, 더욱 선명하고 몰입감 있는 확장현실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메타가 MR기기 보급과 함께 힘쓰고 있는 MR 생태계 구축도 국내 이용자들의 퀘스트3 이용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퀘스트3의 경우, 이전 모델에 제공된 콘텐츠들과 호환이 가능해 출시 즉시 500개 이상의 방대한 VR 및 MR 콘텐츠가 지원되며, 올해 안으로 100개 이상의 신규 콘텐츠가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국내 무선통신 사업자 1위인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ifland)를 MR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동 개발을 진행하는 등 메타와의 파트너십을 이어갈 계획이다. 양맹석 SKT 메타버스CO 담당은 “메타와의 공고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고성능 기기와 새로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메타버스 대중화를 견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컴투스의 VR 자회사 컴투스로카도 메타 커넥트 2023에 참가해 자사 VR 게임인 ‘다크스워드: 배틀 이터니티’를 선보이고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컴투스로카는 메타 퀘스트 스토어에 입점한 개발사 중 하나로 이번 행사에 초청받아 참석했다. 또한 다크스워드는 메타 오프라인 전시장에서 현장 방문객들에게 메타 퀘스트3의 게임 콘텐츠 중 하나로 소개 및 시연됐다.컴투스로카는 지난 6월 메타 퀘스트 스토어에 ‘다크스워드’를 출시해 매출 순위 10위권, 유저 평점 5점 만점에 4.5점을 달성한 바 있다. 실제로 메타는 다크스워드의 게임성에 주목,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세계 유일의 메타 오프라인 스토어의 메인 피처드 작품 중 하나로 다크스워드를 선정했다. 다크스워드는 지난 2021년 컴투스가 설립한 VR 게임 전문 개발사 컴투스로카의 첫 작품으로, PC 등의 추가 장치 없이 VR 기기에서 단독 실행이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 타이틀이다. 다크판타지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액션 RPG이며, VR 게임 최고 수준의 그래픽과 휘두르기·막기·피하기·활쏘기 등 마치 실제 전투와 같은 다채로운 액션 및 상호작용을 체험할 수 있다.컴투스로카는 이번 메타 커넥트 참석을 계기로 메타와의 협업을 더욱 강화하고 신형 기기인 메타 퀘스트3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해서 소통할 예정이다. 아울러 꾸준한 콘텐츠 업데이트와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VR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예정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6월에는 ‘아이폰’으로 유명한 애플이 MR 헤드셋을 전격 공개한 바 있다. 애플이 공개한 MR 헤드셋은 ‘비전 프로’(Vision Pro)다. 비전 프로는 2014년 처음 공개된 애플워치 이후 애플이 9년 만에 내놓은 야심작이다. 1000명이 넘는 개발자들이 7년 넘게 개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애플 비전 프로는 우리에게 공간 컴퓨팅 시대를 선보이게 될 것"MR은 현실 세계에 3차원 가상 물체를 겹친 증강현실(AR)을 확장한 개념으로, 현실과 가상 간에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애플은 비전 프로를 ‘착용형 공간 컴퓨터’라고 지칭하며 아이폰 이후의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맥(Mac)이 개인 컴퓨터를, 아이폰(iPhone)이 모바일 컴퓨팅의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애플 비전 프로’는 우리에게 공간 컴퓨팅 시대를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비전 프로는 사용자들에게 가장 직관적인 눈, 손, 음성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애플은 비전 프로가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공간 운영체제인 비전OS(visionOS)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가 마치 실제 공간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고 설명했다.‘아이사이트’(EyeSight)라는 기능도 새롭게 선보였다. 비전 프로 사용자에게 다가가면 기기 전면 유리 부분이 투명하게 느껴지게 돼 착용자의 눈이 보이게 되는 방식이다. 반대로 사용자가 ‘몰입’을 우선하면 ‘아이사이트’는 다른 사람에게 사용자가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시각적인 표시를 해준다.비전 프로는 2300만 픽셀의 마이크로 OLED 2개를 탑재했다. 공간 음향 시스템은 음향이 사용자를 둘러싼 환경에서 들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각각의 오디오팟에 내장된 2개의 개별 증폭 드라이버는 사용자의 두상 및 귀 형태를 기반으로 조정된 개인 맞춤형 공간 음향을 제공한다. 시선 추적 시스템은 사용자의 눈에 비가시광선 패턴을 비추는 고속 카메라와 고리 모양으로 늘어선 LED를 활용해 직관적으로 반응하는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다만 가격이 너무 높게 책정됐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비전 프로의 가격은 3499달러다. 메타가 선보인 MR헤드셋 ‘퀘스트3’ 가격이 499달러임을 고려하면 무려 7배 가량 비싸다.메타버스 관련 업계는 애플의 MR시장 참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애플이 과거 아이폰 출시를 통해 본격적인 모바일 플랫폼 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 앱스토어 등 앱마켓을 통해 각종 모바일 콘텐츠가 본격적으로 유통된 것도 애플의 공이 크다. 과거 앱스토어 사례와 마찬가지로 메타버스 시장도 애플이 주도하면 다를 것이란 기대가 나오는 이유다.

2023.11.03 09:00

5분 소요
SKT, 이프랜드에 경제시스템 본격 도입…프리미엄 콘텐츠 사고 판다

IT 일반

SK텔레콤이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ifland)에 이프랜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경제시스템을 본격 도입하고, 1만6000여 개의 신규 프리미엄 콘텐츠를 추가했다고 16일 밝혔다.이번 신규 아이템 추가로, 이프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아이템은 기존 4000여 종에서 총 2만여 종으로 5배 이상 늘어 기존 대비 크게 확장된 이프랜드 체험이 가능해졌다.이프랜드 유료 재화 ‘스톤’ 도입으로 이프랜드 수익 구조 정립 본격화SKT는 이프랜드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본격적인 이프랜드 수익 구조 정립을 위해 경제시스템을 오픈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재화를 유료와 무료로 구분하고, 유료 재화 ‘스톤’(Stone)을 도입했다.'스톤'은 앱스토어에서 인앱결제로 구매 가능하며, 무료 재화 ‘포인트’는 기존과 동일하게 출석, 미션 수행, 이벤트 참여로도 획득할 수 있다.유료 재화 ‘스톤’은 소장 가치가 높은 차별화 아이템 구매 및 호스트 후원에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특정 이프홈을 방문하거나, 이프스퀘어에서 열리는 대규모 밋업(Meet-up) 행사에 참여해 호스트를 후원하는 것이 가능하다.무료 재화 ‘포인트’는 기본 아이템 구매 등에 활용할 수 있다. SKT는 포인트로만 구매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상품이나 이벤트를 별도 구성해 이프랜드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재미요소로 제공할 계획이다.인플루언서·크리에이터, 후원 받거나 프리미엄 콘텐츠 판매로 수익 창출이번 경제시스템 도입으로, 이프랜드 인플루언서들은 이프홈과 이프스퀘어에서 열리는 ‘밋업’ 행사를 통해 ‘스톤’으로 후원을 받아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됐다.SKT는 이용자가 후원하고 싶은 인플루언서에게 유료 재화인 '스톤'을 제공할 경우 인플루언서의 밋업 개설 및 이용자의 후원 참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했다.또한, 코스튬 등 아이템 제작을 통해서도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크리에이터들은 코스튬을 이프랜드 스튜디오를 통해 제작하고, 이프랜드의 자체 심사를 거쳐 코스튬 상점에 업로드해 수익을 거둘 수 있다.SKT는 경제시스템 도입으로 이프랜드를 기반으로 하는 인플루언서와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의 활동을 보장하는 동시에 이용자에게 다양한 프리미엄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선순환 생태계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캠핑, 파티 등 테마 아이템부터 모션 상품까지 다양한 꾸미기 아이템 추가SKT는 프리미엄 콘텐츠로 이프랜드 속 이용자의 개인공간인 이프홈을 위한 캠핑과 파티, 우주, 최신 유행 홈스타일링 등 4가지 테마 맞춤형 아이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예를 들어, 캠핑 테마의 경우 플레이 아이템인 낚시연못이나 대형 텐트, 캠핑카, 캠핑의자 등 재미있는 캠핑 관련 아이템들이, 파티 테마의 경우 풀파티를 위한 대형 수영장과 풍선 아이템, 미러볼과 턴테이블, 스피커, 파티용 의상 등이 포함된다.다양한 모션 상품도 추가됐다. 유명 아이돌의 안무, 이프랜드나 다른 SNS에 공유할 수 있는 챌린지 및 밈(Meme), 친구들과의 메타버스 속 대화를 보다 풍성하게 만들어줄 감정 표현 등 다양한 모션 아이템들을 이프랜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됐다.내가 좋아하는 K팝(K-Pop) 스타를 볼류메트릭으로 만나는 서비스도 본격 도입됐다. SKT는 걸그룹 시크릿넘버 멤버 6명과 보이그룹 킹덤 멤버 7명의 볼류메트릭 피규어를 우선 선보이며 이후 다른 그룹들도 선보일 계획이다.이프랜드에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부터 글로벌 아트 컴퍼니 핀즐(PINZLE)까지 다양한 IP(Intellectual Property)들과의 제휴를 통한 색다른 아이템들도 도입된다. 패션 브랜드의 경우 실물 제품과 동일한 아바타 코스튬이나 브랜드 정체성을 강조한 꾸미기 아이템들로 이르면 11월 중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아트 컴퍼니의 경우 이프홈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아트월이나 조형물 형태 예술 아이템들로 채워진다.또한, 세븐일레븐과 메가커피 등 개별 브랜드 특화 아이템도 이번 업데이트에 적용됐다. 예를 들어, 메가커피의 경우 노란색 시그니처 커피차와 대형 커피 조형물인 ‘메가리카노’ 등을 선보인다.이프랜드와 탑포트 연동으로 국보급 문화재 NFT도 내 이프홈에 전시 가능SKT는 이프랜드와 NFT 마켓플레이스 ‘탑포트’(TopPort)의 연동을 통해 이프랜드에 NFT(대체불가토큰) 아이템들을 대거 도입했다.이프랜드에서 NFT 아이템 구매하면 아바타의 코스튬이나 이프홈의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매한 NFT 아이템은 이프랜드에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새로 선보이는 Web3 지갑 ‘T월렛’(T wallet)에 보관 및 조회할 수 있다.SKT는 NFT 아이템 도입과 함께 이프랜드의 개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자체 기획한 코스튬들과 헤어 장식 등 다채로운 NFT 상품도 선보인다.또한, NFT 아이템에는 성북구 소재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국보 청자 모자원숭이형연적과 국보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 간송미술관의 대표 작품인 석호 한쌍 등이 포함돼 이용자들이 국보급 문화재를 이프랜드에서 보다 쉽게 접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SKT는 NFT 구매 고객에게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프랜드 자체 기획 NFT 구매 시 이프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무료 포인트를 지급하며, 간송미술관, 앤스타일 등 제휴 크리에이터의 NFT를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간송미술관 NFT 멤버십 및 뷰잉데이 참석권, 다양한 앤스타일 굿즈(T셔츠, 에코백 등)를 지급할 예정이다.테마위크, 런칭 맞이 이벤트 및 다양한 챌린지로 서비스 활성화 기대SKT는 신규 프리미엄 콘텐츠와 경제시스템 런칭을 맞아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를 개최한다.SKT는 이프랜드 이용자들이 테마에 맞는 밋업, 이프홈 꾸미기, 코스튬 활용 등을 통해 서비스를 경험해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테마위크’를 진행한다. 런칭 시점부터 아웃도어 위크, 파티 위크 등 다양한 주제로 2~3주간 진행되며, 깜짝 이벤트와 이프랜드 인플루언서들이 진행하는 밋업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또한, 더 많은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행운권’ 이벤트와 ‘꾸며줘 이프홈’ 이벤트를 개최한다.‘행운권’ 이벤트는 이프랜드에 접속하는 전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16일부터 11월12일까지 매일 1장의 행운권을 증정하는 행사로, 상품으로는 이프홈 꾸미기 유료 아이템과 코스튬, 유료 재화인 ‘스톤’, 무료 재화인 ‘포인트’ 등을 제공한다.‘꾸며줘 이프홈’ 이벤트는 이용자들이 매주 달라지는 주차별 4개 테마(캠핑, 카페, 파티, 우주)에 맞춰 테마 아이템들을 활용해 자신의 이프홈을 꾸미고 이를 선보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이 밖에도, SKT는 새롭게 추가되는 모션 및 고도화된 노래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댄스 챌린지, 노래방 챌린지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양맹석 SKT 메타버스CO 담당은 “이번 경제시스템 도입은 이프랜드에 프리미엄 콘텐츠 제작과 소비가 함께 이뤄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사용자에게 풍부한 고품질 콘텐츠를 제공하는 성장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2023.10.16 13:34

5분 소요
1조3000억 달러 시장에 도전한다…메타버스에 진심인 통신사들

IT 일반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오래전부터 통신 이외의 먹거리 찾기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전통적 내수산업인 통신 사업만으로는 확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통신사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어린이 특화 메타버스 ‘키즈토피아’(KidsTopia)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영문 버전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였다. 글로벌 시장으로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지난 3월 국내 첫선을 보인 키즈토피아는 3D 가상 체험공간에서 AI 캐릭터들과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어린이 특화 메타버스 서비스로, U+3.0 핵심 플랫폼이다. LG유플러스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과 말레이시아에 우선 진출하고, 올해 아시아(일본·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싱가포르·미얀마·필리핀), 오세아니아(호주·뉴질랜드), 남미(브라질·아르헨티나), 유럽 지역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 연평균 44.5% 증가세 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 수요는 증가 추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2년 685억 달러에서 연평균 44.5% 성장해 2030년 1조300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러한 높은 성장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는 아직 게임 중심의 메타버스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키즈토피아는 재미와 학습을 융합한 능동적인 학습 방식과 AI 기반 대화 경험을 제공해 국내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사용자의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지는 세계관의 구축’이라는 메타버스 고유의 가치를 창출하며 글로벌 어린이 고객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에 새롭게 개편된 키즈토피아는 이용자와 AI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대화부터 동물·공룡 관련 백과사전 기반 지식 습득과 퀴즈까지 모두 영어로 이용이 가능하다. 국내를 포함한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대화를 통한 자연스러운 영어 학습을, 영어권 국가에서는 놀이와 학습을 융합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게 됐다.키즈토피아에 탑재된 생성형AI는 다양한 페르소나를 설정해 AI 논플레이어 캐릭터(NPC·Non-Player character)를 생성하고 자연스러운 연속 대화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 미국 AI 전문기업인 ‘인월드(INWORLD) AI’사와 협업했다. 앞서 LG유플러스를 비롯한 LG 계열사가 공동 출자해 설립한 LG그룹의 기업형 벤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에서 인월드AI에 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생성형 AI란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 기존 콘텐츠를 활용해 유사한 콘텐츠를 새롭게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콘텐츠들의 패턴을 학습해 추론 결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인월드AI는 사람의 머릿속에 있는 성격이나 대화하는 방식을 대형언어모델(LLM)로 학습해 캐릭터 페르소나를 설정, 가상공간 내 이용자 캐릭터의 행동에 직접 반응하는 페르소나별 AI NPC를 생성한다. 오픈AI(Open AI) 기업의 GPT를 기반으로 정보검색뿐 아니라 페르소나에 맞는 감성 대화까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인월드AI 또한 메타버스 서비스에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유플러스와 함께 기술을 검증할 계획이다. 통신사 중 가장 발 빠르게 메타버스 시장에 진출했던 SK텔레콤은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를 고도화하고 있다. 이프랜드는 SK텔레콤이 지난 2021년 7월 출시한 메타버스 서비스다. 누적 이용자는 올해 1분기 기준 3070만명으로 지난해 1분기 550만명과 비교해 6배 가까이 늘었다.SK텔레콤은 지난 3월 모바일월드콩그레스23(MWC23)에서 독일의 도이치텔레콤, 미국의 티모바일US를 비롯해 동남아 11개국 사업자 악시아타, 말레이시아의 셀콤디지 등과 메타버스 관련 협약을 체결했다. 이프랜드는 지난해 11월 북미, 유럽, 중동, 아시아 등 49개국에 동시 출시한 데 이어 이번 협약으로 주요 글로벌 통신사와 함께 각 국가에 최적화한 형태로 진출하게 됐다.지난 5월에는 ‘이프랜드’에 이용자 개인이 직접 공간을 꾸미고 일상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개인공간 서비스 ‘이프홈(if home)’을 도입했다. ‘이프홈’은 SK텔레콤이 메타버스 세상에서 소셜 네트워크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선보이는 개인화된 3D 공간 서비스다. SK텔레콤은 이프랜드 이용자들이 나만의 이프랜드(My ifland)로 진화한 결과물인 ‘이프홈’에 관심사와 일상을 남기고, 친구들과 소통하는 특별한 메타버스 경험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경제 시스템도 연내 도입된다. SK텔레콤은 3D 콘텐츠(공간 꾸미기·특수효과 등)나 기능형(노래방 이용권·강연 입장권 등) 아이템에 경제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특정 모임을 진행하는 호스트의 후원이나 소장 가치가 있는 희귀 NFT 아이템 구매하는 데도 경제 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KT도 메타버스 플랫폼인 ‘지니버스’의 오픈베타(시범 서비스) 버전을 지난 3월 선보였다. 지니버스에서는 나의 아바타와 공간을 직접 꾸미고, 친구를 초대해 AI에 기반을 둔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친구들과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다양한 집과 마을 꾸미기, 아바타 상호작용, 미니게임 등을 즐길 수 있어 MZ세대에게 특화된 재미를 제공한다. 지니버스의 가장 큰 특징은 AI 공간 모델링 기술을 적용한 ‘AI 홈트윈’ 기능이다. 이용자는 지니버스에서 캐릭터가 살아가는 공간인 ‘지니홈’을 만들 수 있다. 면 기반의 AI 홈트윈 기능으로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소를 입력하면 메타버스 공간에 현실의 집이 그대로 구현된다.향후 KT는 지니버스에 공간, 대화, 목소리, 모션, 이미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멀티모달 기반의 '생성AI 플랫폼' 기술을 개발해 적용할 계획이다. 이용자와 자유롭게 대화하고 문의를 응대하는 AI NPC를 비롯해 AI 모션댄스와 AI 아바타 메시지, AI 사운드·BGM 등의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

2023.07.14 09:00

4분 소요
SKT, 메타버스 세상 속 나만의 공간 ‘이프홈’ 오픈

IT 일반

SK텔레콤이 메타버스 서비스인 ‘이프랜드(ifland)’에 이용자 개인이 직접 공간을 꾸미고 일상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개인공간 서비스 ‘이프홈(if home)’을 도입했다고 3일 밝혔다.‘이프홈’은 SKT가 메타버스 세상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선보이는 개인화된 3D 공간 서비스다. SKT는 이프랜드 이용자들이 나만의 이프랜드(My ifland)로 진화한 결과물인 ‘이프홈’에 관심사와 일상을 남기고, 친구들과 소통하는 특별한 메타버스 경험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이프홈’은 새로 업데이트한 ‘이프랜드’에 접속해 지형 4곳과 건축물 6개 가운데 각각 하나씩을 선택해 총 24개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지형으로는 숲, 우주, 해변, 도시가, 건축물로는 그리스 산토리니 지방의 주택과 목조 건물, 한옥, 스페인 지방의 전통집, 오두막집, 모던 스타일 건축물이 각각 제공된다.생성한 ‘이프홈’의 내부는 벽지, 바닥, 가구, 가전 등 집 꾸미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아이템은 물론, 화분과 글자 풍선 등 이용자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마음껏 뽐낼 수 있는 400여 가지의 다양한 아이템으로 꾸밀 수 있다.또한, 개인의 관심사와 경험, 활동을 글과 사진, 동영상 형태로 남기는 게시 기능도 제공하며, 게시물은 ‘이프홈’ 내 거대한 3D 볼 형태로 전시되어 돌려보거나 벽에 액자 형태로 전시도 가능하다.작성된 게시물은 ‘이프홈’ 방문객이 감상할 수 있으며, ‘좋아요’ 버튼을 누르거나 댓글을 다는 등의 방식으로 상호 소통이 가능하다. 지인 초대는 나만의 ‘이프홈’에는 부여되는 고유 주소(URL)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할 수 있다.‘이프홈’은 단순히 꾸미기 외에 친구들과 혹은 혼자서 메타버스 세상을 즐길 수 있도록 플레이 아이템들도 제공된다.우선, 노래방 아이템이 배치돼 직접 노래를 부르는 것도 가능하며 친구들과 함께 서로 스코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검증된 기업과 셀럽을 위한 ‘이프홈’에는 특별한 아이템도 제공된다. ‘이프홈’ 내 배치된 마네킹의 코스튬이 마음에 들면 직접 내 아바타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된다.특히 볼류메트릭 기능은 3D로 저장된 셀럽을 가까이에서 만나보는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할 예정이다. 최초로 선보이게 되는 셀럽은 글로벌 e스포츠 전문 기업 T1 Entertainment & Sports(이하 T1)의 페이커 이상혁 선수이며 SKT는 볼류메트릭 셀럽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SKT는 ‘이프홈’ 이용자들의 꾸미기 즐거움을 높이는 차원에서 연내 선택 가능한 지형과 건축물을 최대 20개까지 늘리고, 꾸미기 아이템도 현재의 400여종에서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아이템의 색을 바꾸거나, 아이템에 패턴을 입히는 등 꾸미기 기능의 자유도를 높이고, 플레이 아이템도 지속적으로 추가해 이프홈에서 즐길 거리를 계속 늘릴 예정이다.경제 시스템도 연내 도입된다. SKT는 3D 콘텐츠(공간 꾸미기, 특수효과 등)나 기능형(노래방 이용권, 강연 입장권 등) 아이템에 경제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며 특정 모임을 진행하는 호스트의 후원이나 소장 가치가 있는 희귀 NFT 아이템을 구매하는데도 경제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특히 ‘이프홈’은 기존의 이프랜드가 대한민국과 글로벌 두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는 것과 달리, 대한민국과 글로벌 버전 구분 없이 운영되며 다른 국가의 이프랜드 이용자들도 대한민국 이용자의 ‘이프홈’도 방문할 수 있다.SKT는 해외 사용자들을 위해 이프랜드의 이용 가능 언어로 기존의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번체)에 독일어를 새롭게 추가했다.SKT는 ‘이프홈’의 수용 인원이 31명으로, 더 많은 인원이 모이는 소통장소가 필요한 이프랜드 이용자들을 위해 기존의 랜드(Land)를 ‘이프스퀘어(if square)’로 이름을 바꿔 제공한다.‘이프스퀘어’는 최대 131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프홈’이 타운하우스 정도의 소규모 공간인 것과 달리 넓은 광장 규모로, 대규모 강연이나 이벤트 등 필요한 상황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이 밖에도 메타버스에서 팬이나 고객과 소통하길 원하는 기업이나 셀럽 등을 위한 ‘스페셜 이프홈’도 공개될 예정이다.5월 중 T1의 ‘이프홈’이 문을 열어 과거 경기 영상이나 사진, 일정 등을 팬들에게 제공하며 K-POP 스타들의 메타버스 팬미팅 프로그램인 ‘K-POP Show’의 ‘이프홈’도 개설돼, 출연 스타들의 영상∙사진 감상과 이벤트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각종 기업 브랜드를 위한 ‘이프홈’도 개설돼 세븐일레븐 등이 메타버스 매장을 개설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가질 계획이다.SKT는 이프랜드 이용자들이 ‘이프홈’과 ‘이프스퀘어’, ‘스페셜 이프홈’을 오가며 메타버스 세상에서 새로운 형태의 소통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이프홈’과 ‘이프스퀘어’는 이프랜드 애플리케이션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업데이트 시 ‘이프홈’ 중심으로 개편된 홈 화면도 만날 수 있다.양맹석 SKT 메타버스CO 담당은 “이프홈의 도입으로, 이프랜드가 나만의 공간을 꾸미고, 공유하고, 소통하는 등 새로운 SNS가 가능한 마이 이프랜드(My ifland)로 진화했다”며 "앞으로 이프홈의 기능과 콘텐츠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경제 시스템을 본격 도입하는 등 서비스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2023.05.03 15:11

4분 소요
유영상 SKT 대표 “산업·사회 전 영역서 AI 대전환 추진”

IT 일반

SKT가 산업과 사회 전 영역의 AI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는 ‘AI 컴퍼니’ 비전을 밝혔다.SK텔레콤은 지난 26일(현지시각) MWC23이 열리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자사가 보유한 AI 서비스와 기술을 활용해 고객·기술, 시공간, 산업(AIX), Core BM, ESG 등 5대 영역을 중심으로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AI to Everywhere(AI를 모든 곳에)’를 공개했다.간담회를 주관한 유영상 사장은 자리에 함께한 주요 파트너사들과 함께 ‘K-AI 얼라이언스’ 구축을 선언하고, 5대 영역의 AI 혁신을 함께 하며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키워 AI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고객·기술, 시공간, 산업(AIX) 등 5대 영역 중심으로 SKT AI 서비스 전 영역에 구현유 사장은 먼저 ‘2022년 5월 세계 최초로 한국어 거대 언어모델을 B2C 분야에 상용화한 AI 서비스 ‘에이닷’이 출시 9개월 만에 가입자 100만을 확보,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며 에이닷(A.)의 서비스 고도화 및 글로벌 진출 계획을 밝혔다.특히 에이닷은 기술 자체의 진화를 넘어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 된 AI 서비스로 다가갈 것이며, 특히 대화/서비스/캐릭터 등을 고도화 하며 한국의 대표 AI 서비스로 자리매김 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충분한 지식 데이터 확보 및 학습/평가 과정을 거쳐 높은 수준의 ‘지식 대화’가 가능하도록 개발 중이며, 먼저 대화를 걸거나 경험담을 풀어 놓는 등 친구와 대화를 하는 것 같은 ‘감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앱 이동이나 검색 없이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목적 대화’의 서비스 연동 범위도 지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서비스 도메인은 미디어, 게임, 루틴 등 30여종에서 향후 100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캐릭터도 외부 인기 캐릭터와의 제휴를 추진 중이라 밝혔다. 특히 대화 고도화, 멀티 캐릭터, 맞춤 콘텐츠 등의 새로운 기능은 올해 1분기 업데이트 될 버전으로 선보일 예정이라는 내용을 공개했다.유 사장은 글로벌 통신 사업자 얼라이언스와 AI 테크 기업들과의 연합을 통해 로컬 특화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기술을 고도화 함으로써 에이닷의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 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고객의 시공간 넓히는 모빌리티 오퍼레이터로 확장할 것’유 사장은 SKT의 사업은 지상에서 공중으로, 현실에서 가상공간으로 연결될 것이며, 자율주행, 로봇 등 고객의 시공간을 더욱 의미있게 확대함으로써 모바일 오퍼레이터에서 모빌리티 오퍼레이터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모빌리티 오퍼레이터로서의 첫 발판인 UAM 사업은 적용 사례 구체화 및 국내 테스트 비행을 통해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기체와 상공망, 운항/관제, 입지 분석 등 핵심 기술에 있어서도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수준을 갖췄다고 설명했다.특히 이런 기술 리더십을 통해 올해에는 제주, 대구 등 국내 주요 지자체와 함께 공항-도심 이동, 새로운 관광 상품 개발 등 다양한 적용 사례를 더욱 구체화해 선보이겠다고 밝혔다.장기 프로젝트로 추진중인 ‘자율주행’은 AI 솔루션 영역으로 진출한단 계획이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내년 출시 예정인 ‘사피온’의 자율주행 전용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최근 지분투자를 결정한 ‘팬텀AI’의 소프트웨어와 기술 경쟁력을, 플랫폼 측면에서는 SKT ‘누구 오토’의 인포테인먼트/차량제어 등 상용화 경험을 더해 글로벌 탑 수준의 자율주행 솔루션 패키지를 갖추겠다고 밝혔다.‘로봇’ 분야에서도 물류 로봇, 바리스타 로봇 등 각종 상용화 사례를 만들어 나가고 있으며 ‘퀄컴’, ‘인티그리트’와 개방형 로보틱스 데이터 플랫폼 개발 협력을 통해 로봇, 모빌리티 분야의 AI 생태계를 활성화 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고객의 현실 공간을 가상 세계로 확장하며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는 디지털 모빌리티 서비스로는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ifland)를 내세웠다.이미 2500개가 넘는 제휴처를 확보한 이프랜드는 한달에 400만 명 이상이 접속하며 가상 모임에 최적화된 국내 대표 메타버스 서비스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3D 공간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의 진화를 통해 고객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콘텐츠 마켓 플레이스와 Web3 시스템 도입 등 경제시스템을 확대하며, 국내외 파트너십을 확대함으로써 글로벌 Top-tier ‘소셜 메타버스’ 서비스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특히 올해 4월에는 나만의 공간에서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며, 이번 MWC23에서 유럽의 ‘도이치텔레콤’, 북미의 ‘T모바일’, 아시아의 ‘악시아타’, ‘셀컴디지’ 등 글로벌 통신사업자들과 MOU를 체결함으로써, 이프랜드의 유럽/북미/아시아 시장 진출 교두보를 확보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다양한 산업의 AIX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며 빠르게 동반 성장 중’유 사장은 SKT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적용돼 시대의 대전환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한민국의 유망한 파트너들과 함께 인프라&하드웨어, 기반 기술, 응용/서비스 영역에서 협력하고 있으며, K-AI 얼라이언스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보안, 헬스케어, 광고, 스마트팩토리, 업무용 솔루션 등 사업영역을 지속 확장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K-AI 얼라이언스는 이미 함께 성장하며 다양한 산업의 AIX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SKT 투자 이후 파트너사들의 기업가치와 SKT의 지분가치가 모두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동반성장을 이루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먼저 인프라&하드웨어 영역에서는 AI의 핵심 하드웨어인 AI 반도체 시장에 ‘사피온’과 함께 진출, 뛰어난 성과를 창출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사피온’이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X330은 기 출시된 X220 대비 4배의 성능을 가져 한층 더 압도적인 성능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도 현재 NHN 클라우드, SKT NPU farm, SK 하이닉스 스마트팩토리 등 대내외 레퍼런스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팬텀AI’와의 자율주행 협업, ‘코난테크놀로지’와의 딥러닝 모델 협업 등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특히 투자 유치를 통해 ‘사피온’의 기업 가치는 ‘2022년 법인 설립 당시 800억에서 ‘2023년에는 5000억으로 1년도 채 되지 않아 6배 이상 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인프라 영역인 클라우드 사업에서는 아시아 No. 1 MSP인 ‘베스핀글로벌’이 보유한 ‘OpsNow’와 협력해 AI 기반 CMP를 공동 개발, 세일즈하는 등 시너지를 내고 있다. 기반 기술&응용/서비스 영역에서는 SKT가 보유한 방대한 고객 데이터에 광고 솔루션 테크 기업인 ‘몰로코’의 AI/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해 통합 광고 플랫폼 ‘ASUM’을 런칭하고 수익화 하는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에 힘쓰고 있다.또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와 함께 기술 협력, 시장 확대 등 AI 시너지 창출 관점에서의 협업을 통해 로봇/미디어/데이터분석/커머스/공항/제조 등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AI 비디오, 머신 러닝, 디지털 트윈 등 사업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SKT는 글로벌 탑티어 업무용 솔루션 기업 ‘스윗’과도 MeetUS, toktok 등 SKT 사내외 서비스 융합, SKT-SKB 영업 역량을 결합한 공동 마케팅, AI 테크 고도화 등 3가지 측면에서 긴밀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마지막으로 SKT는 세계 최고 수준의 Vision AI 기술력을 글로벌 Top CSP와 협력해 글로벌 진출을 추진하며, AI가 판독하는 빠르고 정확한 수의진단 솔루션으로 이미 120개 이상의 동물병원에서 도입한 ‘X Caliber’를 비롯해 AI 카메라를 활용한 출동 관제/산업 안전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밝혔다.‘초개인화 서비스 등 혁신적인 디지털 전환 추진’유 사장은 AI 기술로 이동통신, 미디어, 구독 등SKT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기존 이동통신 사업에서는 업의 영역 구분없이 사업이 확장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의 흐름에 맞춰, 고객 경험의 디지털 혁신은 물론 초개인화 서비스 등 완전히 새로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미디어 사업은 고객 경험과 미디어 밸류체인 전반에서 AIX를 시도하는 AI TV, AI 커머스, AI 콘텐츠 등을 준비 중이라 밝혔다. 구독 사업, T우주는 지난 해 가입자/제휴사/GMV 등 모든 지표가 2배 이상 성장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T딜, Btv 시너지와 금융/보험/렌탈 등 다양한 신규 상품 도입, 글로벌 탑 브랜드와의 파격 제휴를 통해 규모와 수익성을 제고할 예정이다.특히 올해 통신사업 관련 데이터는 물론 제휴사의 데이터를 결합한 ‘AI 기반 오픈형 구독 커머스 플랫폼’을 런칭, 통신사업자의 미래향을 선보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생애주기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마케팅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것을 알아서 추천하고, 파트너사들로 하여금 고객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제대로 관리/공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AI를 접목해 사회적 난제 해결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유 사장은 SKT는 AI를 접목해 사회적 난제를 해결함으로써 AI 기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SKT가 보유한 Language AI, Vision AI 기술은 지금도 선한 영향력을 사회에 확산하고 있다. ‘AI 돌봄/케어콜’은 5만 가구에서 400명을 응급 구조했고, 범죄문자 차단은 작년 한해만 400만건 이상의 스미싱을 차단했다.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을 위한 AI 기반 시각보조 음성 안내 서비스 ‘설리번플러스’를 출시한 ‘투아트’ 등 AI ESG 스타트업들과도 다양한 협력을 진행 중이다.K-AI 얼라이언스 구축… 세계적 수준의 AI 테크 통해 산업의 대전환 선도이날 유 사장은 5대 영역에서 AI 혁신을 SKT 혼자가 아니라,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AI 테크 기업들과 동맹을 맺고 글로벌 무대에서 빅테크들과 경쟁하겠다며 K-AI 얼라이언스의 구축을 알렸다.이를 위해 기자간담회 현장에는 ‘Phantom AI(팬텀AI)’, ‘SAPEON(사피온)’, ‘BESPIN GLOBAL(베스핀글로벌)’, ‘MOLOCO(몰로코)’, ‘코난테크놀로지’, ‘Swit(스윗)’, ‘TUAT(투아트)’ 등 K-AI 얼라이언스 파트너사 대표들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각 사의 AI 테크 소개와 함께 SKT와 함께 할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유 사장은 K-AI 얼라이언스 파트너사들과 함께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고, 모든 세대/기업/산업이 AI를 누릴 수 있도록 AI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유 사장은 간담회를 마치며 AI 서비스는 고객에 더 가깝게 다가감과 동시에 글로벌로 확장할 것이며, 이동통신과 미디어 등 기존 사업에서는 AI를 통해 고객에게 혁신적인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하고, 기업 고객도 AI를 통한 생산성 혁신을 누릴 수 있게 하겠다고 SKT의 AI 혁신을 요약했다.유 사장은 “오늘 설명한 5대 영역의 AI 혁신은 AI to Everywhere(AI를 모든 곳에), 즉 SKT가 갖고 있는 AI역량의 실체를 고객의 일상에 구현하는 것”이라며 “SKT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를 통해 모든 고객이 AI를 누릴 수 있는 AI for Everyone(모두를 위한 AI)의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2023.02.27 11:56

8분 소요
유영상 SKT 대표 “2026년까지 기업가치 40조 국내 대표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

IT 일반

SK텔레콤이 2026년까지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성장해 기업 가치 40조원을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취임 1주년을 맞아 7일 전체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을 갖고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는 AI Company’라는 SKT 2.0의 진화된 비전을 밝혔다. 유 대표는 “지난 1년간 전 구성원의 노력으로 SKT 2.0의 비전이 보다 뚜렷하고 명확하게 정리됐다”며 “본업인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연결 기술에 AI를 더하는 SKT만의 차별화된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구성원의 역량 향상이 SKT 2.0 비전 달성을 위한 핵심인 만큼, 이를 위해 기존 자기주도 일문화를 유지하며 더 효율적으로 소통하고 협업하겠다”고 덧붙였다. SKT는 AI컴퍼니 비전을 SKT 만의 방식으로 달성하기 위해 현 5대 사업군을 3대 추진 전략(▶Core Biz.를 AI로 재정의 ▶AI서비스로 고객 관계 혁신 ▶AIX)으로 혁신한다고 밝혔다. SKT는 지난해 고객∙기술∙서비스의 3대 키워드를 기반으로 전체 사업을 ▶유무선 통신▶미디어 ▶Enterprise ▶AIVERSE ▶Connected Intelligence 등 5대 사업부로 개편한 바 있다. ‘Core Biz.를 AI로 재정의’는 유무선 통신과 미디어, Enterprise 등 기존의 핵심 사업들을 AI로 전환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SKT는 고객이 온라인에서 서비스∙제품의 탐색부터 가입, 이용까지 전 과정을 막힘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 전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고객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전 과정에 AI를 적용하는 ‘AI MNO’를 선보일 계획이다. 미디어 영역은 부족한 콘텐츠 역량을 키우기 위해 IPTV ∙ 채널 ∙ T커머스 등으로 흩어져 있는 미디어 자산을 통합하고, AI 기술을 결합해 고객에게 딱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AI 미디어 플레이어’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영역에선 데이터센터, 전용회선,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AI의 6대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고객의 AI 전환을 지원하는 ‘AI Enterprise’로 업을 재정의할 계획이다. ‘AI 서비스로 고객 관계 혁신’은 에이닷(A.), 이프랜드(ifland), T우주 등의 AI 기반 서비스들에 새로운 기술과 콘텐츠를 적용해 AI 서비스와 고객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에이닷은 고객의 사용을 이끌어 내기 위한 킬러 서비스의 발굴,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들의 콘텐츠 우선 순위 조정 등과 동시에 AI 핵심 기술이나 캐릭터, 콘텐츠 관련 역량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하는 등 핵심 역량을 지속 확보할 계획이다. 이프랜드는 글로벌 진출과 함께 다양한 업체들과의 공동 콘텐츠 개발로 글로벌 톱티어 메타버스 서비스로 도약하는 한편, 소셜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이프랜드의 재화를 현실 경제와 연계하는 크립토 기반 경제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T우주는 구독 전용 플랫폼을 구축해 AI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구독상품을 안내하고, 파트너사들에겐 구독모델 기반의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AI 기반 커머스 구독 플랫폼으로 진화한다. ‘AIX’는 AI나 디지털 전환(DT)을 필요로 하는 기업을 찾아 투자 또는 인수하고, SKT가 보유한 AI/DT 역량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SKT는 제조 영역에서 로봇이나 비전 AI 등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거나, 헬스케어 영역에서 엑스칼리버(X-Caliber) 같은 AI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는 등 다양한 AIX 사례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SKT는 이 같은 3대 전략을 기반으로 오는 2026년까지 SKT의 기업가치를 40조원 이상으로 키워 대한민국 대표 AI 컴퍼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유영상 대표는 “SKT는 지난 1년간 꾸준한 성장을 이뤘지만, 국제 정세 급변에 따른 환경의 변화라는 대격변의 시기에 서있다”며 “AI컴퍼니라는 비전 실현을 위해 흔들림 없이 갈 길을 걸어가는 동시에 위기를 대비한 계획을 철저히 준비해 모든 위협에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2022.11.07 15:52

3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2호 (2025.4.14~20)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2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