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NewsweekPlus

NewsweekPlus

Appetite For the U. S. A.
미국 음식 기행


The oysters have arrived, sparkling; !drawn, the chef explains, from the Chesapeake, where the Chincoteague, the Rappahannock and the York rivers meet. ?o they?e from the northern neck of Virginia!?Johnny Apple happily exclaims, @relieved at having #placed the source of his lunch. $Provenance matters to this political journalist turned food writer whose just-published book, ?pple? America,?is a cultivated, %quirky guide for the curious traveler. Its T-shirt motto could be: people can and should be a little interested in everything.

굴이 반짝거리며 식탁에 올랐다. 칭코티그·래퍼해넉·요크 강이 흘러드는 체사피크만에서 !딴 굴이라고 주방장이 설명했다. “그렇다면 버지니아주의 북부 해협에서 왔군!” [R. W. ]자니 애플은 점심식사의 출처가 #실제로 어디인지 자기도 안다는 데 대해 @안도하며 유쾌하게 외쳤다. 정치 기자에서 음식 전문 작가로 변신한 애플에게는 $사물의 유래를 아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그는 ‘애플의 미국’이라는 책을 펴냈다. 호기심 많은 여행자를 위한 세련되고 %기발한 안내서다. 그 여행자의 T셔츠에 찍힌 좌우명은 ‘사람들은 만사에 조금은 관심을 갖거나 가져야 한다’일지 모른다.

Apple? everything includes knowing the names of the country? hottest conductors and an appreciation of the ^edgiest new museum architects. Opera matters, as does such social reality as the recent parking-lot &clubbing of an African-American in Cincinnati, or that ?he rivers of asphalt that Detroit laid down to handle the cars it built … turned out to be the exit ramps for most of the city? white population.?

Not the stuff of ordinary travel guides, but *deft cultural portraits that bring 40 cities to life under his (fond scrutiny. Essays tie together deep history, ethnic distinctiveness and cultural differences with the genius of synthesis that made R. W. Apple for decades The New York Times? )go-to guy for news analysis. Now enjoying ?avored-nation status at the Times as a ?oving food journalist, Apple opened his little black books to write this one. Out spilled notes made over 40 years of ?houlder-rubbing and elbow-bending with local ?oliticos ?rom coast to coast. When a man? got to cover the country, a man? gotta eat. And eat well. So the recommendations and observations that tumble from his pages are to be ?eeded. And while he eagerly seeks out the ?unky in food, he obviously believes life? too short for a bad bed: hotel listings have a high ratio of Four Seasons.

애플이 꼽는 만사에는 미국 최고 인기 지휘자들의 이름 알기와 ^최첨단 신축 미술관 건축가들의 진가를 알아보는 일이 포함된다. 오페라도 빼놓을 수 없다. 아울러 최근 신시내티의 주차장에서 흑인을 &곤봉으로 구타한 사건이나 “디트로이트시가 현지에서 생산되는 차량을 소화하기 위해 만든 아스팔트 도로망이… 그 도시 백인 인구 대다수가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출구가 돼버렸다”는 등의 사회적 현실도 중요하다.

이 책은 틀에 박힌 여행 안내서가 아니라 애플의 (정감 넘치는 관찰 아래 미국의 40개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는, *솜씨 좋은 문화 초상화인 셈이다. 책에 담긴 글들은 심층 역사, 민족적 특성과 문화적 차이를 뛰어난 합성 기술로 한데 아우른다. 바로 그 기술 덕택에 R. W. 애플은 수십 년 동안 뉴욕타임스에서 뉴스 분석의 )대가로 군림했다. 이제 뉴욕타임스에서 蒡廢?음식 전문기자로서 旻例逅뮌?지위를 누리는 애플은 이 책을 쓰기 위해 지금까지 보관해오던 검은색 작은 수첩들을 펼쳤다.

그 속에서 40년에 걸쳐 賓堅?전역의 지방 北ㅔ÷琯欲?秉?마시고 어울리며 적은 메모가 쏟아져 나왔다. 미국 전역을 돌며 취재하려면 반드시 먹어야 한다. 그것도 잘 먹어야 한다. 따라서 그의 책에서 쏟아지는 추천과 소감은 薩拷?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 그가 음식에서 琁Ю?맛을 찾아 헤매기는 하지만 형편 없는 침대에 만족하기에는 인생이 너무 짧다고 생각하는 게 확실하다. 왜냐하면 그의 호텔 추천 목록에 특급 포 시즌스가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

Apple? assessments are, in a죛narky world, surprisingly generous. ?hat goes back to my ?ntipathy towards 夙gotcha?journalism,?he says. ? made my reputation at the Times during the Vietnam War by opposing the 햎onventional wisdom. I wasn? writing opinion pieces. I love food, and I thought food writing was very long on opinion and very short on reporting.?Something else entered the equation: disillusionment. ?oliticians are now free to posture more and think less. One of the great 챥rops of journalism, that makes it fun and make people read it, is the people. There are wonderful people in food.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it? a window into ways of life, national traditions. Got to be careful, though,?he 즕dits himself. ?t can sound incredibly heavy, like a sociology professor ruining a good poem.?And then he? back on the road for his book tour, clearly relishing the ceremony, loving the opportunity to stir the pot as well as lick the spoon. KALINS

식당이나 호텔에 대한 애플의 평가는 요즘처럼 〕꼭?흠 잡기를 좋아하는 세상에 놀라울 정도로 관대하다. “그런 경향은 酬扁關?보도에 대한 昭腑㉮【?비롯됐다”고 그는 말했다. “베트남전 당시 나는 좇球鳧岵?통념에 반기를 들어서 뉴욕타임스에서 명성을 얻었다. 나는 개인적 견해가 담긴 기사를 쓰지 않았다. 나는 음식을 좋아하는데, 원래 음식 기사는 자기 생각이 많이 들어가고 실제로 취재한 사실은 아주 적게 들어간다.” 그 방정식에 다른 무언가 끼어들었다. 바로 환멸감이었다.

“요즘 정치인들은 대개 자기 입장을 더 많이 내세우고 생각은 더 적게 한다. 기사를 재미있게, 또 사람들이 읽게끔 만드는 그 무엇, 다시 말해 언론보도의 효과적인 ぜ老?가운데 하나가 사람이다. 음식의 세계에는 멋진 사람들이 있다. 음식은 지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삶의 방식과 국가적 전통을 엿보게 해주는 창이다. 하지만 조심해야 한다.” 애플은 =쉽琉鍛?말을 돌린다. “감동적인 시를 사회학자가 엉망으로 낭송하듯이, 아주 따분하게 들릴지 모른다.” 그렇게 말하고는 애플은 책 순회 홍보를 위해 다시 길을 나섰다. 그는 홍보 행사도 즐기고, 숟가락을 핥고 냄비를 휘젓는 기회도 놓치지 않는다.

Tip of the Week
Who decided (and when) that red should signify "stop" and green should mean "go"?


In 1868 a revolving lantern with red and green signals controlled the flow of horse-drawn buggies and pedestrian crowds at one London intersectio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 variety of traffic-control devices appeared, often with red and green signals. In 1924 the National Conference on Street and Highway Safety recommended we use red and green (with yellow indicating ?aution? for uniformity. But it wasn? till the ?0s that the first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officially standardized the colors.
MELISSA BREWSTER

1868년 런던의 교차로 한곳에서 빨간색과 초록색 표시가 교차하는 등이 마차와 보행자들의 흐름을 통제했다. 미국에서는 20세기 초 다양한 교통 통제 장치가 등장했는데 그중에서 빨간색과 초록색 신호로 된 장치가 자주 눈에 띄었다. 1924년 미국 도로 안전 회의는 신호를 하나로 통일하기 위해 빨간색과 초록색(그리고 “주의”를 의미하는 노란색) 사용을 건의했다. 그러나 그 색깔 사용이 공식 표준화된 시기는 1930년대에 들어선 뒤였고, 미국 표준 교통 관제 장치 지침서 초판에 그 사실이 명시됐다.

Letter from Tokyo
A House of My Own


A comfortable express train !whisks you to Chichibu, only 80 kilometers from Tokyo, in 77 minutes. But visiting this mountain-ringed valley is like going back 50 years. The line @doubles back at the town of Hanno, so you must #adjust your seat or enter Chichibu $backward -- not inappropriate for a place where time %stands still. This is where I have built my country house.

It all began about three years ago when I realized I had no place to live in my old age. Economists say land prices have ^bottomed out in Japan. But in central Tokyo even the &plainest houses are *beyond the reach of ordinary salary (wo) men like me. Besides, I had a dream. Born and raised in a 150-year-old house with a large Japanese garden, I imagined living my (golden years in something similar. I had in mind a simple, wooden house surrounded by )greenery with views of mountains. It also had to be within range of a $20 ?ound-trip train fare from Tokyo.

I studied locations and costs and settled on Chichibu, a silk town (in its glory days) believed to have been ?itipu?in the Gilbert and Sullivan operetta ?he Mikado.?After dozens of visits, I found a ?lot on a hill covered with azaleas, apricots, camellias and maples just an eight-minute walk from the local station. My closest neighbor, about 100 meters away, would be Miyoko Hoshi, a 77-year-old communist writer who liked farming when not lecturing on the importance of Japan? ?eace Constitution.

She described herself as an authentic yamanba, an old mountain ?ag, and after 30 years of tranquillity she did not like the idea of a stranger nearby. She tried to ?care me off. ?onkeys eat my onions, boars dig up my potatoes, deer eat leaves and even bears come by,?Hoshi warned. ?ou city women can never ever live here.?By ?oincidence, the owner of the land was a local carpenter, Kengo Ogasawara, known for building traditional old country houses of wood, using huge beams and no steel nails.

He is one of a ?ying breed. In a 죁en-like conversation, I asked him to build a small house, using only ?ative wood, that would receive a lot of sunlight and fresh breeze and would not har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e asked simple questions such as how tall my son was and which kinds of wood I wanted to use. I picked chestnut, mountain pear, pine and cedar.

Then the ponytailed 69-year-old, wearing a ?erchief around his neck, got to work. Constructing a house from large timbers, with few power tools, requires careful calculation. He worked mostly alone, humming and whistling and summoning his son and relatives whenever he needed help. ?t? been a long time since someone let me build a house the way I like,?he said. ?hese days, most Japanese want to have a Western-style house with imported 햜recut timbers.?During my weekend visits, his wife, Komae, served up meals of homemade soba, or buckwheat noodles.

The house 챮as supposed to be completed last July, but my 즜ndefatigable carpenter kept playing with ideas. He created a kitchen counter using thick, old cedar and built a large cypress deck -- all free, so enthusiastic he was. In January he was still working on a wooden fence and gate in an elegant, teahouse style. I am not sure anymore when he is going to say he? done.

I promised not to reveal how little I spent for my two-bedroom home with its study and large living room. Back in Tokyo, though, I told a very, very rich 줭cquaintance. ?y bathroom cost more than that,?he replied. As for my neighbor Hoshi, she now 컃onors me with the nickname Yamanba No. 2. It 쨞uits me, I find. HIDEKO TAKAYAMA

나의 전원주택

편안한 급행열차는 77분이면 도쿄에서 80㎞ 떨어진 지치부(秩父)까지 나를 !쏜살같이 데려다 준다. 그러나 첩첩산중인 이 계곡을 찾노라면 50년을 되돌아가는 듯한 기분이 든다. 열차의 진행 방향이 한노에서 @거꾸로 바뀌기 때문에 좌석을 #돌려놓지 않으면 $뒤로 앉은 채 지치부에 진입한다. 사실 지치부는 시간이 %멈춘 듯한 오지여서 거꾸로(과거로) 도착하는 방식이 부적절하지 않다. 내가 전원주택을 지은 곳이 바로 거기다.
이 이야기는 내가 노후에 살 집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약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경제전문가들은 일본의 땅값이 ^최저로 떨어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도쿄 중심부에서는 &아무리 평범한 집도 나 같은 평범한 직장인(여성)이 *구입하기는 불가능하다. 아울러 내게는 꿈이 있었다. 널따란 일본식 정원이 딸렸고, 150년 전에 지어진 집에서 태어나 성장한 나로서는 (노후를 그 비슷한 집에서 살리라고 상상했다. 산들이 시야에 들어오고 )푸른 나무에 둘러싸인 소박한 나무집을 마음속에 그렸다. 또 도쿄에서 悶擥?기차 요금 20달러 이내에 위치해야 했다.

나는 위치적인 조건과 비용을 따져보고는 지치부로 결정했다. 길버트와 설리번의 희가극 ‘미카도’에 나오는 지명 ‘티티푸’와 같은 곳이라 믿어지며, 전성기 때는 비단 산지로 유명했다. 그곳을 수십 차례 찾아가 둘러본 끝에 진달래·살구·동백·단풍나무로 뒤덮인 언덕에서 괜찮은 防徽拷?찾았다. 기차역에서 도보로 8분 거리였다.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사는 호시 미요코가 가장 가까운 이웃이다.

호시는 77세의 공산주의 작가로 일본 步塵?亮萱?중요성에 대해 강연하지 않을 때면 농사 짓기를 좋아했다. 호시는 자신을 전형적인 야만바라고 소개했다. 산에 사는 阜?노파를 말한다. 호시는 30년 동안 평온함 속에서 살아왔기에 낯선 이가 곁에 산다는 생각을 좋아하지 않았다. 호시는 나를 斌訣羚?쫓아보내려 했다. “원숭이들이 내가 심은 양파를 먹어치우고, 멧돼지가 감자를 파헤치며, 사슴이 나뭇잎을 따먹고, 가끔씩 곰도 찾아오지”라고 호시가 겁을 주었다. “당신 같은 도시 여자들은 절대로 살 곳이 못 돼.”

傷荑?構鍍?그 땅의 주인 오가사와라 겐고는 그 동네에 사는 목수였다. 강철 못을 사용하지 않고 거대한 목재를 이용해 전통 가옥을 잘 짓는다고 이름난 사람이었다. 그는 扇幄?세상에서 보기 드문 사람 가운데 한 명이었다. 【국??같은 대화를 통해 나는 그에게 笑幄?목재만 사용하고, 햇볕과 신선한 바람이 많이 들어오며, 주위 환경을 해치지 않는 작은 집 한 채를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내 아들 키가 얼마인지, 어떤 목재를 사용하고 싶은지 등 간단한 질문을 던졌다. 나는 밤나무, 야생 배나무, 소나무, 삼나무를 꼽았다.

머리를 말총처럼 뒤로 묶은 그 69세의 목수는 얼마 후 목에 茱側퓽?감고는 작업에 착수했다. 몇 가지 전기 연장만을 사용해 거대한 목재로 집을 지으려면 치밀한 계산이 필요하다. 그는 콧노래와 휘파람을 불며 거의 혼자 일했다. 언제든 도움이 필요하면 아들과 친척을 불렀다. “내가 원하는 대로 집을 지어본 게 얼마 만인지 아시오?”라고 그는 말했다. “요즘 일본 사람들은 졈蹈駙?맞춰 미리 잘라진 수입 목재로 서양식 집을 지으려 하지요.” 내가 주말에 찾아갈 때면 그의 아내 고마에는 집에서 만든 메밀국수로 나를 대접했다.

그 집은 지난해 7월 완공하기로 さ?있었다. 그러나 A穉?줄 모르는 목수 오가사와라는 계속 여러 방안들을 시도했다. 두껍고 오래된 삼나무로 주방용 탁자를, 노송으로 큼직한 베란다를 만들었다. 그는 너무 신이 나 그 추가 작업을 모두 공짜로 해주었다. 지난 1월까지도 그는 우아한 찻집 형태의 나무 울타리와 대문을 만들고 있었다. 그가 언제 완공했다고 말할지 난 이제 더 이상 감조차 잡지 못하겠다.

나는 서재와 널찍한 거실에 방이 두 개인 이 집에 돈을 얼마나 적게 들였는지 소문내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도쿄에 돌아와 아주, 아주 부자인 한 ◐A熾“?그 비밀을 누설했다. “우리 집 화장실도 그보단 더 많이 들었어”라고 그가 대꾸했다. 내 이웃 호시는 이제 내게 야만바 제2호라는 별명까지 걀동뭍緞?붙여주었다. ㅈ뗌슴?드는 별명이다.

Roomba Repurposed

Fans of the !whirring, circular robot vacuum, the Roomba, love to speculate about the next @automated home-helper to come out of the labs of Boston firm iRobot. Is it a machine that mows the lawn, walks the dog or watches the elderly? ?hose are all further #down the road,?says iRobot CEO Colin Angle. The $sequel to the successful Roomba -- 1.2 million sold, the most ever for a home robot -- will stick a little closer to familiar territory: it? an automated mop called Scooba, which looks and sounds like the Roomba but wets, washes and dries floors.

Scientists at iRobot have been trying to solve the delicate technical challenges of a mop-bot for more than two years. Early %prototypes used ^off-the-shelf detergent and became bubble-spewing machines that spun their wheels on the wet surface. Last year iRobot &reached out for help to an unlikely source: the 92-year-old, Oakland, Calif.-based Clorox. It was the start of a beautiful friendship. Chemists at Clorox developed a concentrated soap that was easy on the robot but hard on dirt, while mechanical engineers at iRobot searched for the right material to maintain wheel *traction. At one point, engineers considered using leather wheel socks but ultimately discovered a workable rubber compound.

Scooba, which will go on sale by the end of the year at a still undecided price, works in four stages. A high-velocity (jet stream pushes loose particles into a dirty-water compartment. Then two nozzles squirt cleaning fluid from a clean tank, and a mustache brush spreads it around. A scrubbing brush then rubs the floor and, finally, a )squeegee sucks the dirty liquid into the dirty tank. iRobot? ?ales pitch: the separate clean and dirty compartments allow Scooba to do a better job than humans, who tend to spread dirty water around. ?e are not just going to replace mopping, we are going to ?bsolete it,?Angle says. Humans, we imagine, will gladly ?urn over this particular chore to our automated friends. BRAD STONE

차세대 로봇 가사 도우미

윙윙거리며 돌아가는 원형 로봇 진공청소기 룸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보스턴의 아이로봇 실험실에서 나올 다음번 @자동 가사 도우미가 과연 어떤 제품일지 추측하기를 좋아한다. 잔디를 깎아주는 기계일까? 아니면 애완견을 산책시킬까. 아니면 노인들을 돌볼까. “그런 제품들도 좀 더 #시간이 지나면 나올 것”이라고 아이로봇의 최고경영자(CEO) 콜린 앵글이 말했다. 성공작 룸바(120만 대가 팔려 가정 로봇으로는 최고 판매 기록을 세웠다)의 $후속 편은 우리의 익숙한 영역에 한층 더 다가오는 제품이다. 바로 자동 자루걸레 스쿠바다. 모양이나 소음은 룸바와 비슷하지만 바닥을 적시고, 걸레질하고, 닦아주는 기계다.

아이로봇의 연구원들은 자루걸레 로봇 개발에 걸림돌이 돼온 미묘한 기술적 문제를 풀기 위해 2년 이상 애썼다. 초기 %원형은 ^시판되는 일반 세제를 사용한 까닭에 젖은 표면 위에서 바퀴가 헛돌며 거품만 냈다. 아이로봇은 지난해 예상 밖의 곳에 &도움을 구했다.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 위치한 92년 전통의 클로락스사였다. 그것은 멋진 협력 관계의 시작이었다. 클로락스의 화학자들은 로봇 기능에는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먼지를 말끔히 없애주는 농축 비누를 개발했다. 한편 아이로봇의 기계 공학자들은 바퀴의 *견인력을 유지하는 데 적합한 소재를 찾았다. 한번은 엔지니어들이 바퀴에 가죽을 대면 어떨까 생각했지만 결국은 비슷한 효과를 내는 고무 합성 소재를 발견했다.

스쿠바는, 올해 말 시판될 예정이며 가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이 로봇은 4단계로 작동한다. 고속 (분류(噴流)가 떠도는 먼지 입자들을 폐수 탱크로 밀어넣는다. 그 다음 깨끗한 탱크에서 2개의 분사구로 세제를 뿜어내고 콧수염 모양의 솔이 세제를 골고루 퍼지게 한다. 그 다음 문지르는 솔이 바닥을 문지르고, 마지막으로 )고무 걸레가 더러운 액체를 폐수 탱크로 빨아들인다. 아이로봇의 泯플?주안점은 이렇다. 스쿠바는 깨끗한 탱크와 더러운 탱크를 따로 갖추었기 때문에 지저분한 물을 사방에 퍼뜨리기 쉬운 사람보다 더 낫다는 점이다. “걸레질을 대신한다기보다는 아예 걸레질이 徘却?없도록 만들어준다”고 앵글은 말했다. 사람들은 걸레질이라는 허드렛일을 로봇에 기꺼이 屛璣保寧?箚?우리는 생각한다.

Science and Your Health
Race and Anorexia


Eating disorders are generally thought of as a plague of affluent white girls, but minorities aren? immune. In a study of just over 2,000 women (average age: 21) published i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last week, Ruth Striegel-Moore of Wesleyan University found that whites were more likely than blacks to suffer from bulimia (23 cases to 4) and anorexia (15 to 0).

But the numbers were closer for binge-eating (27 to 15), and other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behavior to be a problem among Hispanic girls, too. Researchers are also zeroing in on ge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eating disorders.

Striegel-Moore found similar rates of extreme behaviors (like vomiting) in more-affluent blacks and whites, suggesting that higher social status -- and the pressure to be thin that comes along with it -- could lead to more problems. Overall, eating disorders are rare among all races and ethnicities, but obesity is out of control. We need to be on the lookout for both.
CLAUDIA KALB

인종과 식욕부진증의 상관 관계

섭식장애는 부유한 백인 여자들이나 걸리는 병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백인이 아니라고 안전하지는 않다. 최근 미국 정신과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웨슬리대의 루스 스트리걸-무어는 2000명(평균 연령 21세) 남짓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백인이 흑인보다 신경성 폭식증(23대4)과 신경성 식욕부진증(15대0)에 시달릴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과식장애의 경우 그 비율은 훨씬 근접했고(27대15) 다른 최신 연구에 따르면 과식장애는 히스패닉 여성들 사이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섭식장애와 관련된 유전자 및 환경 요인들에도 초점을 맞춘다. 스트리걸-무어는 구토 같은 극단적인 행동이 좀 더 부유한 흑인과 백인들에게서 비슷한 비율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회적 지위, 그리고 그 지위에 따라오는 살찌면 안 된다는 압박감이 더 많은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섭식장애는 모든 인종과 민족에서 희귀한 현상이지만 비만은 걷잡을 수 없이 늘고 있다. 그 둘 다를 경계해야 한다.

Key Word of The Week
Beltway


벨트웨이는 미국 수도를 감싸고 도는 외곽 순환도로다. 정확히 말해 워싱턴 D.C.를 감싼 버지니아주와 메릴랜드주를 통과하는 ‘인터스테이트(州間) 495도로’(일명 I-495)를 가리킨다. 그런데 이 벨트웨이가 속어로 쓰이면 ‘워싱턴 정가’란 뜻이다. 특히 앞에 ‘inside’가 붙어 ‘인사이드 더 벨트웨이’란 표현이 미국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데, 이때는 ‘워싱턴 정가에서는’이란 의미다.

‘inside the Beltway’란 말은 워싱턴 정가가 갖는 폐쇄성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로 쓰일 때가 많다. 연방정부 안에서만 중요성을 갖는(정치인들만 관심을 갖는) 문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지 ‘정치적 이야기일 뿐 실제론 중요하지 않다’는 다소 냉소적 의미도 있다. 물론 거기엔 ‘벨트웨이 밖에서 사는 사람’(일반 유권자)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이 담겨져 있다. 그러나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로 쓰일 때도 있다. 예컨대 미 행정부나 의회의 작동 원리에 대한 지식을 많이 갖고 있거나 권력을 가진 사람에게 접근할 만한 좋은 위치에 있다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다.

이 같은 속어는 수사학에서 흔히 말하는 환유(換喩)법의 산물이다. ‘흰집’(White House)이 백악관을 상징하듯이 말이다. 벨트웨이는 미국의 신문, 잡지, TV 프로 등에서 다른 말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워싱턴 포스트 일요판에는 이 신문사 기자인 진 와인가튼의 인기 유머 칼럼 ‘Below the Beltway’가 매주 실린다.

벨트 아래 부분을 친다는 짓궂은 의미가 포함된 그의 칼럼은 기발한 익살과 예리한 ‘비틀기’가 난무한다(그러나 미국의 ‘국보’가 되겠다는 자신의 원대한 목표와는 달리 현재는 미국의 ‘개그꾼’으로 전락했다는 평도 있다). 뉴스위크는 지난주 노골적인 공화당 비방 발언으로 당내에서도 따가운 눈총을 받는 민주당 전국위원장 하워드 딘 의원을 다룬 기사에서 Beltway란 표현을 썼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미 송영숙 회장 해임?...재점화된 오너家 갈등

2대통령실, 라인사태에 “단호히 대응”...네이버 노조 “매각 반대”

3“방시혁, 뉴진스 인사 안 받아”...하이브 “일방적 주장”

4 中 왕이 “최근 한중관계, 공동이익 부합하지 않아”

5공정위, 쿠팡 ‘PB 부당 우대 의혹’ 조사...법인 고발까지 검토

6상주시, 귀농청년과 은퇴자 위한 복합 주거단지 조성... "공동육아 등 다양한 생활 서비스 지원해"

7경북-강원-충북 연결하는 '마구령 터널' 8년만에 개통

8글로벌 축제로 도약한 '파워풀대구 페스티벌' 성황리 마무리

9 권익위 “尹 검사시절 ‘한우 업무추진비’ 위반 아냐”

실시간 뉴스

1한미 송영숙 회장 해임?...재점화된 오너家 갈등

2대통령실, 라인사태에 “단호히 대응”...네이버 노조 “매각 반대”

3“방시혁, 뉴진스 인사 안 받아”...하이브 “일방적 주장”

4 中 왕이 “최근 한중관계, 공동이익 부합하지 않아”

5공정위, 쿠팡 ‘PB 부당 우대 의혹’ 조사...법인 고발까지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