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릿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어 보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빠르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skimming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내려 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특히 중문과 복문은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담화표지(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다음 단락을 skimming하며 키워드를 찾아 보자. (난이도: 중급)
양안 관계 ‘경제 따로, 정치 따로’
STRAIT TENSIONS STILL HOT
China’s recent belligerence toward Japan has worried its neighbors, including Taiwan, which the mainland regards as a prodigal son. China has been drawing Taiwan closer with improved trade links, and the June signing of a breakthrough free-trade agreement between the two entities will bind Taiwan’s economy even tighter to the mainland’s. Yet while both sides speak of improved relations, economic ties haven’t led to substantial political improvements. In fact, military tensions between the two are increasing.
Vocabulary
•strait 해협. 여기서는 대만해협(Taiwan Strait)을 가리키며 cross-strait
dialogue는 ‘양안간 대화, 중국·대만 간의 대화’를 뜻한다.
•belligerence 호전성, 투쟁성
•prodigal son 누가복음에선 ‘돌아온 탕자’로 알려졌지만 원래 뜻은
‘방탕한 아들, 제멋대로인 아들’이다.
•draw close 접근하다, 가까워지다
•free-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국가간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목적으로 무역장벽을 완전 철폐하는 협정. 중국은 지난 6월말 대만과
자유무역협정 격인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에 정식 서명했다.
• in fact 실제는, 오히려
Clues 양안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다.
Tips
제목: Strait Tensions Still Hot라는 제목에서 ‘아직도 긴장이 뜨겁다,
긴장이 고조됐다’는 뜻은 알겠는데 Strait는 어떤 ‘해협’을 가리킬까? 여기서 약간의 시사상식이 필요하다. 해협은 세계 곳곳에 있지만 이 단어가 ‘관계, 대화, 긴장’ 등과 함께 쓰일 때는 거의 예외 없이 대만해협을 사이에 둔 ‘중국·대만 간의’, 즉 ‘양안 간의’라는 뜻으로 쓰인다.
한편 still(아직도)이란 단어에는 ‘긴장이 완화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뜻이 담겼다. 따라서 본문 도입부의 배경설명에서 앞서 양국간에
어떤 긴장완화 조치가 있었는지, 그 다음에는 현재 어떤 식으로 긴장이 고조됐는지를 설명하리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주제: 본문에선 strait가 중국과 대만 관계를 가리킨다는 사실을 모를 경우 첫 문장의 ‘최근 일본을 향한 중국의 호전성(China’s recent belligerence toward Japan)’이란 어구에서 함정에 빠지기 쉽다. 하지만 일본은 중국의 공격성을 언급하려 등장시킨 최근의 사례 즉 페그(peg)에 불과하다. 그런 중국의 호전성을 근심스럽게 바라보는 이웃 나라 대만, 중국이 가출한 아들처럼 여기는 대만이 기사에서 진짜 중국의 상대다.
이 함정만 무사히 통과하면 제목에서 추론한 대로 ‘배경 설정 + 역접 접속사 yet + 주제’의 일반적인 흐름이다. ‘중국은 대만과의 통상을 확대하고 지난 6월에는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해 경제적 유대를 강화했지만 군사적 긴장은 오히려 고조된다’는 내용이다. 여기선 yet, while과 in fact가 주제를 예고하는 표지어구 역할을 한다. 다음 단락에는 군사적 긴장이 어떻게 고조되는지 부가적인 설명이 뒤따를 듯하다.
분석: 독해에는 단어나 문장 지식 외에 배경지식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영어를 제아무리 잘한다 해도 문학도가 과학 관련 기사를 번역하기 어려운 이유다. 기사에선 가령 지난 6월 양안 간 FTA 체결 등의 배경지식이 있었다면 제목만 보고도 도입부의 배경설정은 충분히 추론이 가능하다. 곧바로 주제를 찾아 yet나 in fact 뒤로 건너뛰어도 된다는 뜻이다. 한편 but이나 yet 만큼은 아니지만 in fact도 주제를 예고하는 표지어구 역할을 할 때가 종종 있다. 하지만 이 어구는 상황에 따라 세 가지 용법으로 달리 쓰인다는 점에 주의하자. 첫째 ‘실제로, 사실상’이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과 관련해 사실이나 증거를 덧붙일 때, 둘째 ‘요컨대, 그러고 보니’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을 보강할 때,
셋째 ‘그렇기는커녕, 오히려’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이 사실과 다름을 지적할 때다. 여기서는 마지막 셋째 의미, ‘정치관계가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Inference 중국·대만 간 경제교류는 확대됐지만 양국 간 군사적 긴장은 고조된다.
Chunking이번에는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 보면서 추론이 맞는지 확인하자.
1 China’s recent belligerence toward Japan / has worried its neighbors, / including Taiwan, / which the mainland regards / as a prodigal son.일본을 향한 중국의 호전성이 → 어떤 영향을 미쳤나? → 이웃나라들을 걱정하게 했다 → 어떤 이웃나라인가? → 대만 등의 이웃나라 → 대만은 어떤 나라인가? → 중국이 간주한다 → 어떻게 간주하나? → 가출한 아들처럼 여긴다
2 China has been drawing Taiwan closer / with improved trade links, / and the June signing / of a breakthrough free-trade agreement / between the two entities / will bind Taiwan’s economy even tighter / to the mainland’s.중국은 대만을 더 가까이 끌어안았다 → 어떤 방법으로 끌어안았나?→ 통상관계 개선으로 → 그리고? → 6월엔 체결했다 → 무엇을 체결했나? → 획기적인 자유무역협정 → 누구와? → 양안간에 → 어떤 효과가 있나?→ 대만 경제를 더 단단히 묶는다 → 어디에 묶나? → 본토 경제에
3 Yet while both sides speak of improved relations, / economic ties haven’t led / to substantial political improvements.하지만 양측의 관계가 개선됐다고 말하지만 → 실상은 어떤가? → 경제관계에 뒤따르지 않았다 → 무엇이 뒤따르지 않았나? → 실질적인 정치관계 개선
4 In fact, / military tensions between the two / are increasing.오히려 → 실상은 어떻게 다른가? → 양국간 군사적 긴장이 → 어떻게 되나? → 고조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라부부 50% 할인에 좋아했는데…'날벼락' 맞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홍진경, 22년 만에 이혼…유튜브서 입장 밝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고개 푹 김건희 "아무 것도 아닌 제가 심려끼쳐 죄송"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홈플러스 4개점 인수 관련 대출 5800억, 만기 1년 연장 성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주가에 막힌 HLB·HLB생명과학 합병, 재추진 가능성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