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게리의 올바른 영어 용법

국적 없는 영어 8: 간판과 팻말
비영어권 나라에서 간판과 팻말에 영문을 표기할 때 실수가 자주 눈에 띈다. 그중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본다.
1. 화장실 입구의 ‘남’과 ‘여’화장실 입구에 성별을 Man / Woman 또는 Gentleman / Lady로 표시하는데 올바르지 않다. 복수인 Men / Women 또는 Gentlemen / Ladies로 써야 맞다. 대화할 때는 일반적으로 소유격 복수로 쓴다. 이때 여자 화장실은 women’s room이라 하지 않고 ladies’ room, 남자는 gentlemen’s room이 아닌 men’s room이라고 말한다. 한국에선 묻는 이의 성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굳이 ‘여자’ ‘남자’란 단어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room이란 말만 가지고는 어떤 ‘방’을 말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room 앞에 꼭 ladies’나 men’s란 단어를 넣어야 ‘화장실’로 통한다.
여자: Can you direct me to the ladies’ room?화장실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시겠어요?
남자: Where’s the men’s room?화장실이 어디죠?
2. Grand Open → Grand Opening한국에서 가게 개업이나 행사 시작을 흔히들 Grand Open!이라고 쓴다. 그런데 영어의 open은 동사나 형용사로만 쓰이지, 명사로는 쓰이지 않는다. Grand Opening이라고 써야 맞다. 예를 들어 ‘갤러리 홍대점 Grand Open! 2011.03.02’과 같은 내용을 영어로 쓴다면 이렇게 써야 맞다. “Gallery Hongdae Branch Grand Opening: March 2, 2011!”
하지만 말로 할 때는 명사 opening을 써도 되고 동사 open을 써도 된다.
The Hongdae Branch of the Gallery will hold its grand opening on March 2.
The Hongdae Branch of the Gallery will open on March 2.(March 2를 March second라고 읽는다.)
3. 가산명사는 일반적으로 복수로 써야 한다.한국의 간판이나 팻말에는 단수·복수를 구별해서 쓸 필요가 없어서 그런지 영어로 쓸 때도 복수를 무시하고 모든 명사를 단수로 쓰는 경향이 있다. 불가산명사일 때는 복수가 없어서 단수 사용이 당연하지만 가산명사는 일반적으로 복수로 써야 맞다.
Coffee and Drink라고 쓰인 간판이 있다. Coffee는 불가산명사니까 맞지만 Drink라고 쓴 것은 영어권 사람의 눈에는 ‘마시다’라는 뜻의 동사로 보인다. 품사가 다른 단어를 and로 이을 수 없기 때문에 ‘커피와 마셔라’와 같은 이상한 말로 보인다. Coffee and Drinks라고 해야 맞다. 서점, 백화점 등에서도 이 같은 실수를 흔히 볼 수 있다.
책: Book → Books
소설: Novel → Novels
베스트셀러: Best Seller → Best Sellers
액세서리: Accessory → Accessories
핸드백: Handbag → Ladies’ Purses 또는 Handbags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정보사는 있고 777엔 없는 노상원…역대 지휘관 사진 '들쭉날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미주, 송범근 언급… “작년에 만난 남자? 지금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척이 네척 되는 ‘K-조선’ 마법, 한화 필리조선소서 통했다[르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합법 탈 쓴 편법”…롯데렌탈 유상증자 둘러싼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특허 등록도 안 됐는데 계약 체결?...인투셀·에이비엘바이오의 민낯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