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oto - 점묘화 기법 쓰는 사진 사진 원리 담긴 점묘화
점묘화는 점을 찍어 그린 그림을 말합니다.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점묘주의(Pointillism)’ 화가들은 선과 면 대신 수많은 점을 찍어 색과 형태를 표현했습니다. 점으로 이루어졌지만 떨어져서 보면 자연스럽게 섞인 색처럼 보입니다. 점묘법은 실생활에도 응용됩니다. 건강검진 때 하는 색맹검사에도 점묘법의 원리가 담겨 있습니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프랑스 ‘조르주 쇠라(1859~1891)’를 들 수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인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는 수백만 개의 점을 찍어 공원풍경을 밀도 있게 표현했습니다. 섬세한 채색과 치밀한 구성이 감탄을 자아내게 합니다.
점묘화는 사진의 원리와도 비슷합니다. 1839년 처음 등장한 다게르의 ‘은판사진술’은 은염 속에 녹아있는 입자가 빛을 받아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빛의 강도에 따라 다양한 톤으로 변한 입자가 모여 이미지를 만듭니다. 이 입자가 바로 점묘화의 점에 해당 됩니다. 다만 사진은 수백만·수천만 개의 미세한 점으로 돼 있어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이 원리는 디지털 사진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디지털 사진은 각각의 색을 가진 화소, 즉 점이 모여 이미지를 만듭니다. 점의 많고 적음이 사진의 기술적인 품질, 즉 해상도를 결정합니다.
쇠라의 그림은 표현 형식에서도 사진과 닮은 점이 많습니다.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는 아주 잘 찍은 사진작품을 보는 듯합니다. 사람들의 움직임 속에서 가장 미적이고 극적인 한 순간을 잘라낸 것 같습니다. 분주하게 움직이던 사람들이 한순간에 그대로 굳어 버린 ‘동작 그만’의 느낌이라고 할까요.
정교한 프레이밍과 구도, 인물의 배치 등 매우 사진적인 요소들이 그림에 담겨 있습니다. 점묘법으로 그린 쇠라의 다른 초상화 작품도 사진의 ‘그레인 효과’와 비슷합니다. 그레인 효과란 필름의 현상시간을 조절해 인위적으로 사진의 입자를 굵게 뭉쳐지게 하는 것을 뜻합니다.
쇠라의 점묘법과 사진의 관계는 우연은 아닌 듯합니다. 신인상주의로 분류되는 쇠라는 인상파 화가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모네·드가·르누아르 등 인상파 화가들의 시대정신은 실증주의와 사실주의입니다. 사진의 등장도 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과학적 호기심이 많았던 드가는 사진을 즐겨 찍고 이를 작품에 응용했습니다.
쇠라의 작업은 회화·사진의 융합

쇠라 역시 보다 선명하고 사실적인 색을 얻기 위해 광학이론을 공부했습니다. 그의 점묘법은 사진인쇄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합니다(『미디어 아트』, 정동암, 2012, 커뮤니케이션북스). 쇠라의 점묘법은 점의 크기와 밀도, 점을 찍는 도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합니다. 짧고 강한 붓질의 흔적을 이용해 숱한 명작을 남긴 고흐도 점묘법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 박수근 화백 역시 점묘화의 맥을 잇습니다. 1873년에 세계 최초로 신문에 흑백사진이 등장합니다. 이때 사용된 기술이 ‘하프톤 프린팅’입니다. 이는 검은색 점의 밀도로 명암을 만들어 흑백사진을 인쇄하는 방식입니다. 가까이서 자세히 보면 점의 형태로 돼 있지만 떨어져서 보면 이미지가 되는 원리입니다.

<사진1> 은 사진가 김현동의 작품 ‘강형구의 응시’입니다. 화가 강형구는 ‘팔포(팔기를 포기한 작가)’로 유명합니다. 굵은 점으로 이루어진 거칠고 강한 흑백사진의 톤이 옹고집 화가의 집념을 잘 표현합니다.
<사진2> 는 바닥에 떨어진 낙화로 점묘화 분위기를 낸 것입니다. 지난해 봄입니다. 서울 배재공원에 벚꽃이 눈처럼 날렸습니다. 보도블록 위에 꽃잎이 하얀 눈처럼 쌓였습니다. 빛이 좋은 날이었습니다. 나무 그림자가 하얀 꽃잎 위에 아로새겨졌습니다. 하얗게 널려 있는 낙화의 질감이 점묘화를 닮았습니다. 사진2>사진1>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준석 '대학 방문 요청' 동덕여대가 1위?...대부분 '남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나솔' 6기 영철♥영숙, 둘째 임신 깜짝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고개숙인 유영상 SKT 대표 "유심 해킹에 보안조치 총동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베타값 왜 수입 하나”…공정가치 평가, 기준 마련 시급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3상 성공에 HK이노엔, 비만약 신기술에 인벤티지랩 ‘상한가’[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