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김태완의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⑦ - 소비만능 풍조에선 친환경 디자인도 한계
- 김태완의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⑦ - 소비만능 풍조에선 친환경 디자인도 한계

이런 상황에서 친환경 디자인, 그린 디자인, 에코 디자인, 지속 가능한 디자인이라는 환경과 디자인을 버무린 신조어가 생겨났다. 자연 생태계와 자원을 보호한다는 목적에서 의미는 모두 같다. 많은 기업은 자연의 훼손을 줄일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고 재활용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을 한다. 다시 말해 자연으로 돌아가기 쉽게 하거나 끊임없이 재사용이 될 수 있도록 연구하는 일이다. 제품을 만드는 디자이너에게도 재료의 선정은 작업의 시작과 끝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제품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해 잘 팔리는 완벽체를 만들어 내야 한다. 훌륭한 요리사가 음식에 사용되는 재료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듯이 디자이너 또한 마찬가지다.
친환경 소재 개발은 디자이너의 새로운 과제
사용된 제품을 다시 사용하는 재활용 또한 하나의 해결 방법이다. 도요타는 1970년대에 폐차 처리 공장인 도요타메탈을 설립해 계속해서 재활용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는 폐기량의 99%를 재활용하는 수준이다. 그리고 스위스의 가방 브랜드인 프라이탁(Freitag)은 트럭용 방수 덮개 천과 안전벨트 등 산업 폐기물을 이용해 독특한 패턴의 빈티지 스타일을 만들어 낸다. 사용한 흔적이 남은 트럭 덮개 천은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는 가방으로 재탄생돼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판매된다.
사람이 훼손한 자연을 사람의 힘으로 치유하기 위한 노력은 결국 순환(Circulation)에 의한 결과다. 내가 오염시킨 공기와 바다는 다시 나에게로, 자식들에게로 돌아온다. 사람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자연의 일부이지 자연의 지배자는 아니기 때문이다. 편리함을 추구하고 더 큰 부를 얻기 위한 시대에 어울릴 법한 올림픽의 구호인 ‘더 높이, 더 멀리, 더 빠르게’를 외치던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더 오래도록, 더 안전하게, 더 깨끗한’ 자연에서 살기를 원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모든 생명체는 수명이 있다. 제품도 수명을 따진다. 그렇다면 지구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 사람도 제품도 관리를 잘하면 수명이 길어지듯이 지구도 관리가 필요하다. 법 제도, 기업 윤리, 개인의 양심까지 보태 잘 관리해줘야 한다. 나는 자동차 디자이너로서 특히 더 많은 책임을 느끼고 있다. 자동차가 사람의 이동성에 편리함을 줬지만, 자연에는 숱한 공해를 안겨줬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업 디자이너의 직업적 특성상 자동차를 더 많이 판매하기 위한 디자인에 집중했다. 판매량을 높이는 게 기업의 목표인 현실에서 디자이너는 오래 사용하는 제품을 만들기 보다 잘 팔리는 제품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이다.
얼마 전 영화 <인터스텔라> 를 봤다. 연도를 밝히지 않은 게 이 영화의 특징 중 하나다. 첫 화면이 옥수수 밭이 펼쳐진 농장에 집 한 채가 있는 걸로 봐서 여느 미국 농가의 현재 모습으로 추측된다. 영화가 진행되면서 주인공들의 대화를 통해 그 배경이 미래를 나타낸다는 걸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식량이 고갈돼고 끊임없이 황사먼지를 일으키는 장면은 지구의 수명이 다 되었음을 알려준다. 영화 속 주인공은 우주 조종사이자 엔지니어 였는데 지구에서 식량을 공급받기 어려워지자 스스로 농부가돼 가족이 먹을 식량을 마련한다. 옥수수 품종이 멸종되지 않도록 힘쓰면서 말이다. 친환경 재료 개발과 재활용으론 자원이 한정된 지구에서는 영구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걸 영화를보면서 다시 한번 느끼게 됐다. 영화 속 주인공은 새로운 행성을 찾아 떠나는데, 그건 단지 우주선을 조종할 수 있어서가 아니라 지구를 지켜내지 못한 책임감에서 자식에게 해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생각에서다.
미국의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Patagonia)의 이본 쉬나드 회장은 친환경 시대에 색다른 제안을 한다. 그는 ‘적게 소비하라’고 말하면서 자원의 한계성에 초점을 맞춘다.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 전 세계 인구가 점점 증가해 지금과 같이 소비한다면 지구가 3개는 더 필요한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로서 소비를 막는다는 게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쉬나드 회장이 말하는 ‘책임 있는 경제(Responsible Economy)’, 즉 소비지상주의를 경제의 동력으로 삼는 게 아니다. 자원 고갈의 후유증을 낳는 이런 방식을 폐기하고 지구와 함께 살아가는 새 방식에 작동될 수 있는 경제시스템의 관점에서 본 앞선 생각이다.
지구와 함께 살아가는 방식 모색해야
자연을 대하는 사람의 태도는 있는 그대로 자연스러워야 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연스럽다는 말은 어색함이 없이 잘 어울린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정부에서는 자연을 보호하는 여러 가지 제도적인 방안을 장기적으로 밸런스를 맞춰 대중에게 지속적인 캠페인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기업은 사회를 넘어 인류에 기여하는 큰 목적을 갖고 하나씩 실천해 나가야 한다. 그저 물 흐르듯이 바람 불듯이 익숙해지면 된다. 나뭇잎 모양의 종이에 글을 쓰기보다 쓰레기로 버려지는 낙엽을 이용한 메 모지를 사용해보는 방식은 어떨까 한다. 김태완 - ‘완에디’ 디자인컨설팅 대표. 미국 브리검영 대학교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 영국 왕립예술학교(RCA)에서 디자인 석사를 받았다. 자동차·항공기를 디자인하는 영국 IAD(후에 대우 워딩연구소)에서 일하다 이탈리아 피아트로 옮겨 친퀘첸토(피아트500)의 컨셉트 모델을 디자인했다. 이후 한국GM 디자인 총괄 부사장을 지냈다.
wanedesign@gmail.com인터스텔라>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가양대교도 잠겨” SNS로 전해진 서울 피해 상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누가 KBO 최초로 3000안타 기록할 인물인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하루 240㎜ 넘는 `괴물폭우` 수도권 덮쳤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반려동물 700만 시대 ‘펫 장례’에 베팅…프랙시스, 21그램 품는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생물보안법’·‘임신중지약 합법화’ 관련주 활짝…‘방광암진단’ 지노믹트리도 상승[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