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이름 변천사] 하나은행이 우리은행 될 뻔
[은행 이름 변천사] 하나은행이 우리은행 될 뻔

이들 중 제일은행의 이름이 되살아났다. 한국SC은행은 4월 6일 브랜드 명칭을 ‘SC제일은행’으로 변경했다. SC제일은행 관계자는 “등기상의 이름은 그대로 두고, 브랜드명만 바꾸는데도 영업점 간판 교체 등 순차적으로 60억~70억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C제일은행이 추가 비용이 드는데도 브랜드명을 변경하는 이유는 뭘까. SC그룹은 2005년 제일은행을 인수한 뒤 ‘SC제일은행’이란 이름을 썼다. 그러다 2012년 1월,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으로 회사명을 변경하면서 ‘제일’이란 글자를 떼어냈다. 글로벌 금융 그룹인 만큼 세계 어디서나 공통된 이름을 사용하는 게 좋겠다는 그룹 차원의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국내 소매 금융만 놓고 봤을 땐 사정이 달랐다. 국내 소비자에게 친숙한 ‘제일’이란 이름을 빼니 외국계 회사란 이미지가 너무 강해졌다. SC제일은행 측은 “내부 조사 결과, 제일은행 시절부터 거래해온 전통 고객이나 최근 거래를 시작한 고객뿐 아니라 일반인 사이에서도 제일은행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친밀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에 SC제일은행은 본사를 설득해 한국SC은행의 이름에만 ‘제일’이라는 글자를 추가하기로 했다.
은행명은 신뢰감·친밀감 높이는 역할

1991년 탄생한 옛 하나은행(현 KEB하나은행)은 신생 은행이라는 약점을 이름을 통해 강점으로 바꾼 경우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신생 은행다운 새롭고 참신한 이미지를 주기 위해 순우리말로 된 은행 이름을 짓자는 원칙을 세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하나은행의 이름이 한때 우리은행이 될 뻔하기도 했다. 하나은행의 사료에 따르면 은행 출범을 앞두고 가장 먼저 거론된 이름이 ‘우리은행’이었다.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었지만 일상화된 단어를 고유명사화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논의가 무산됐다. 사내 공모를 통해 이름을 모집한 후 400명을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한 결과 ‘상아’란 이름으로 의견이 모였다. 하지만 다소 무게감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한아(韓亞)’라는 이름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한자를 사용하면 참신한 이미지를 줄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아 결국 하나란 이름이 확정됐다”며 “이로써 국내 금융회사 최초의 한글이름이 탄생하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1982년 설립된 신한은행도 이름을 통해 신생 은행의 약점을 보완했다. 신한은행의 이름에는 ‘새로운(신) 한국을(한) 만들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자본금 250억원의 작은 은행으로 출발했지만 새로운 한국을 만들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거창한 이름으로 작은 은행의 이미지를 극복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정작 ‘우리’란 이름을 쓴 우리은행은 이름을 바꾼 이후 소송에 휘말렸다. 국민·신한은행 등 시중 8개 은행은 2005년 “우리은행이 소비자들에게 불편을 끼치고 은행 직원 간 의사소통에도 혼란을 초래한다”며 특허법원에 상표 등록 무효 소송을 냈다. 대법원은 “‘우리’라는 단어는 한정된 특정 영역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8개 은행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대법원의 판결은 우리은행이 상표에 대한 독점권이 없다는 의미지 ‘우리’라는 상호를 쓸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어서 8개 은행의 소송은 실익 없이 끝났다. 다른 은행도 이 이름을 쓸 수는 있지만 이미 ‘우리’라는 이름이 우리은행의 브랜드로 굳어져 있어 쓸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이때부터 다른 은행 직원들이 자신이 근무하는 은행과 ‘우리은행’을 구분하기 위해 우리(Woori)은행을 ‘워리(worry)’은행이라 부르는 관행이 생겨났다.
우리은행은 ‘우리’라는 브랜드와는 별도로 지난해 5월 ‘위비 뱅크’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선보였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Woori Internet Bank’의 이니셜과 꿀벌(Bee)을 합쳐 위비라는 캐릭터 이름과 브랜드를 만들었다”며 “모바일에 익숙한 세대에게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대상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이 숨어 있는 셈이다.
KB국민은행은 ‘국민’이라는 서민적 이미지에 글로벌 이미지를 결합했다. 1963년 서민금융전담 국책은행으로 출범한 국민은행은 98년 ‘나라사랑 금 모으기 운동’을 주도하는 등 ‘국민’이란 이름에 맞는 금융회사의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름에서 드러나듯 서민경제를 위한 은행, 국민을 위한 은행이라는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ISA에 ‘국민 통장’ 별칭 붙자 국민은행 반색
-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응답하라>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2“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3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4“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5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6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7“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8‘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9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